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행동주의적 접근
1. Watson(왓슨)의 실험
2. Pavlov(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3. Thorndike(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
4. Skinner(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5. Bandura(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1. Watson(왓슨)의 실험
2. Pavlov(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3. Thorndike(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
4. Skinner(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5. Bandura(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본문내용
행동주의적 접근
〔행동주의〕
〔학습초점〕
│
〔외적 행동의 변화 〕
〔원리〕
│
〔자극 - 반응〕
〔Stimulus - Response〕
〔학습이론〕
│
〔Pavlov의 고전적 조건 형성〕
〔Thorndike의 시행착오설〕
〔Skinner의 조작적 조건〕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인간의 외적 행동변화에 초점.
• 단점 : 학습의 내적 과정 혹은 절차 등을 고려하지 못함
1. Watson의 실험
╋━━━━━━━━━━─────────
11개월 아이
흰쥐를 가까이 댐
공포감 유발
흰색의 털 동물
흰색의 물건
공포감 유발
모든 종류의 행동을 습득할 수 있도록 조건 형성
고전적 조건형성(=반응적 조건화)
≪ 사 진 ≫
이반 파블로프 (Ivan Petrovich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1849년 9월 26일 러시아 랴잔에서 출생. 생리학자. 개가 주인의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침을 분비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조건 반사'로서 뇌의 작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화와 신경지배의 연구로 1904년 노벨 생리 ·의학상을 수상.
1단계 - 무조건자극(음식물) -----> 무조건반응(타액분비)
2단계 - 무조건자극+중성자극(종소리) -----> 무조건반응(타액분비)
3단계 - 조건자극(종소리) -----> 조건반응(타액분비)
• 자극- 중립자극 무조건자극 조건자극
• 반응-무조건반응 조건반응
〔행동주의〕
〔학습초점〕
│
〔외적 행동의 변화 〕
〔원리〕
│
〔자극 - 반응〕
〔Stimulus - Response〕
〔학습이론〕
│
〔Pavlov의 고전적 조건 형성〕
〔Thorndike의 시행착오설〕
〔Skinner의 조작적 조건〕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 인간의 외적 행동변화에 초점.
• 단점 : 학습의 내적 과정 혹은 절차 등을 고려하지 못함
1. Watson의 실험
╋━━━━━━━━━━─────────
11개월 아이
흰쥐를 가까이 댐
공포감 유발
흰색의 털 동물
흰색의 물건
공포감 유발
모든 종류의 행동을 습득할 수 있도록 조건 형성
고전적 조건형성(=반응적 조건화)
≪ 사 진 ≫
이반 파블로프 (Ivan Petrovich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
1849년 9월 26일 러시아 랴잔에서 출생. 생리학자. 개가 주인의 발자국 소리만 들어도 침을 분비한다는 것을 발견하고 '조건 반사'로서 뇌의 작용에 대해 연구하였다. 소화와 신경지배의 연구로 1904년 노벨 생리 ·의학상을 수상.
1단계 - 무조건자극(음식물) -----> 무조건반응(타액분비)
2단계 - 무조건자극+중성자극(종소리) -----> 무조건반응(타액분비)
3단계 - 조건자극(종소리) -----> 조건반응(타액분비)
• 자극- 중립자극 무조건자극 조건자극
• 반응-무조건반응 조건반응
추천자료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과 사례에 관한 연구
[사범/법학] 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및 적용
[인문과학]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반두라의 생애 주요개념 성격이론의 적용 사회인지적 이론의 평가
반듀라의 사회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사회학습이론에 대해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하고 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논하시오
사회학습이론의 개념과 반두라
기본 이론 개요와 학습이론과의 차이도 기술했으며, 사회학습이론의 실천과 적용 부문'까지 기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인 관찰과 모방이 현재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사회학습이론에 근거하여 아동이 특정 행동을 어떻게 습득하는지 설명.
사회학습이론 (인지과정과 상호결정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