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정의 및 속성
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 행태
2.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이용 행태
본문내용
수 있다.
이 외에도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20대의 SNS 이용목적을 살펴보면, 이들 가운데 93.6%가 '친교·교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SNS를 처음 이용하게 되었다고 답하였으며,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4.5%)'와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83.8%)'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블로그·미니홈피(82.0%), 인스턴트 메신저(94.0%), 인맥관리(교류) 서비스(87.0%) 및 가상현실 서비스(74.8%)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뉴스 이용보다는 주로 ‘친교·교제’에 관심이 높았으며 카페·클럽·인터넷 동호회는 ‘지식,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75.6%)’가 주된 이용 동기였다.
한편, SNS 이용자 중 일반 SNS사용자와 모바일 SNS이용자 사이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일반 SNS 이용자들이 주로 미니홈피, 동호회/카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면, 모바일 SNS 사용자들은 단문 위주의 트위터나 미투데이와 같은 마이크로블로그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즉 일반 이용자들은 SNS를 주로‘정보와 관계의 도구’로서 이용하고 있었으며, 자신이 정보를 만들어 내기보다는 외부로부터 습득하는 수동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SNS를 즐긴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지만 모바일 SNS 사용자들은 일반 SNS 사용자에 비해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특히 모바일 SNS 이용자들은 시사 현안에 대해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강한 사회적 성향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SNS 이용자들의 대표적인 성향은 첫째, 사회 참여적이며 인맥이 넓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일반 인터넷 이용자보다 사회성이 강하며, 시사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사회 이슈에 대한 참여 의식이 높고 인맥도 넓다. 둘째, 이용자들은 사회적 지위에 민감하다. 이들은 일반 사용자에 비해 타인의 시선에 신경 쓰고 지위에 민감한 면모를 보인다. 즉, 그들은 SNS 인맥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한다고 생각하고, 브랜드 역시 자신의 사회적 지위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다. 셋째, 이들은 일반 사용자에 비해 새로움에 대한욕구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즉, 트렌드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제품, 경험, 문화, 네트워크 등 여러 부문에 걸쳐 새로움을 추구하며 실제로 스마트폰 보유율이나 해외 경험 등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 외에도 가장 높은 이용률을 보이는 20대의 SNS 이용목적을 살펴보면, 이들 가운데 93.6%가 '친교·교제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 SNS를 처음 이용하게 되었다고 답하였으며, '개인의 일상생활이나 관심사를 공유하기 위해서(84.5%)'와 '지식, 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83.8%)'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블로그·미니홈피(82.0%), 인스턴트 메신저(94.0%), 인맥관리(교류) 서비스(87.0%) 및 가상현실 서비스(74.8%)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뉴스 이용보다는 주로 ‘친교·교제’에 관심이 높았으며 카페·클럽·인터넷 동호회는 ‘지식,정보 등을 공유하기 위해서(75.6%)’가 주된 이용 동기였다.
한편, SNS 이용자 중 일반 SNS사용자와 모바일 SNS이용자 사이에서 차이점이 나타났는데 일반 SNS 이용자들이 주로 미니홈피, 동호회/카페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반면, 모바일 SNS 사용자들은 단문 위주의 트위터나 미투데이와 같은 마이크로블로그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2009). 즉 일반 이용자들은 SNS를 주로‘정보와 관계의 도구’로서 이용하고 있었으며, 자신이 정보를 만들어 내기보다는 외부로부터 습득하는 수동적인 면을 보여주고 있었다. 다시 말해 기본적으로 SNS를 즐긴다는 점에서는 변함이 없지만 모바일 SNS 사용자들은 일반 SNS 사용자에 비해 더욱 적극적인 활동을 한다는 것이다.
특히 모바일 SNS 이용자들은 시사 현안에 대해 활발한 활동을 보이며 강한 사회적 성향을 보이고 있다. 스마트폰 환경 하에서의 SNS 이용자들의 대표적인 성향은 첫째, 사회 참여적이며 인맥이 넓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일반 인터넷 이용자보다 사회성이 강하며, 시사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사회 이슈에 대한 참여 의식이 높고 인맥도 넓다. 둘째, 이용자들은 사회적 지위에 민감하다. 이들은 일반 사용자에 비해 타인의 시선에 신경 쓰고 지위에 민감한 면모를 보인다. 즉, 그들은 SNS 인맥이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반영한다고 생각하고, 브랜드 역시 자신의 사회적 지위의 일환으로 생각하고 있다. 셋째, 이들은 일반 사용자에 비해 새로움에 대한욕구가 높은 경향을 보인다. 즉, 트렌드에 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제품, 경험, 문화, 네트워크 등 여러 부문에 걸쳐 새로움을 추구하며 실제로 스마트폰 보유율이나 해외 경험 등도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추천자료
- 소셜네트워크
- 소셜네트워크 트위터의 전략 분석
- 소셜네트워크마케팅과사례
- 국내 소셜커머스의 동향, 사례, 문제점, 방안
- 소셜네트워크 페이스북의 핵심역량과 방안 분석
- 소셜커머스,공동구매,sns,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
- 한국 정치 현황과 실태를 통한 현대 정치의 발전 방향 (A Study of Future`s Progressive Pol...
- [사회복지현장실습] 사회복지기관(사업) 홍보기획서_[A+자료]_사회복지현장실습레포트
- SNS 트위터 등장 배경, 정보분석, 소셜네트워크, 개념, 변천사, 현황, 성격, 향후 전망, 발전...
- 소셜커머스 그루폰 GROUPON 기업분석및 그루폰 마케팅전략분석과 그루폰 향후전망
- [정보사회와디지털문화]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스마트워크의 사례를 찾은 후 업...
- [디지털 경제 보고서] 페이스북 (Facebook) (시장의 규모, 성장 전망, SNS, 기업 분석, 수익 ...
- Hot6ix 핫식스 마케팅전략 분석과 핫식스 새로운 광고,IMC전략제안과 미래전략 분석
- 모바일광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