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處容歌) - 수지하언고(誰支下焉古)의 해석 난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처용가(處容歌) - 수지하언고(誰支下焉古)의 해석 난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처용가
-誰支下焉古의 해석 난제


1. 원문정리

2. 배경설화

3. 기존의 연구사
 가. 저서
 나. 논문
  제 1기: 처용가의 해독 및 그 배경설화에 관심을 갖는 시기
  제 2기:처용가 해독의 정리와 문학적 해석의 준비기
  제 3기: 인접학문을 원용한 처용가·처용설화의 해석 및 종합적인 연구심화기
  제 4기:처용가 해독의 재검토 및 문학적 해석의 새로운 탐색기

4. 해당구절 풀이
 가. 기존의 해독
 2.기존해독에 대한 비판과 대안제시

본문내용

처용가
-의 해석 난제
1. 원문정리
2. 배경설화
제 49대 헌강대왕 대에는 서울에서 동해변까지 집들이 맞닿았으며 담장이 서로 이어졌고 초가는 한 채도 없었다. 길가에 음악이 끊이지 않았고 풍우가 사철 순조로웠다. 이에 대왕이 개운포에 놀러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물가에서 쉬었는데 홀연 구름과 안개가 캄캄하게 덮여 길을 잃게 되었다. 이상히 여겨 좌우 사람들에게 물으니 점성관이 \"이것은 동해의 용이 변괴를 일으키는 것이므로 좋은 일을 행하여 풀어야 합니다\" 하였다. 유사에게 칙령을 내려 \"용을 위하여 이 근처에 절을 짓도록 하라.\" 하였다. 왕의 명령이 내리자마자 안개가 흩어져 이름을 개운포라 했다. 동해용이 기뻐하여 아들 일곱 명을 데리고 임금 앞에 나타나서 대왕의 덕을 칭송하며 음악을 연주하고 노래와 춤을 추었다. 아들 하나를 딸려서 서울로 보내어 왕의 정사를 돕도록 하였는데 그의 이름은 처용이었다. 왕은 미모의 여자로 아내를 삼아 주고 그의 뜻을 사로잡기 위하여 급간의 벼슬을 주었다. 그의 아내는 너무나 아름다워 역신이 탐을 내고 사람으로 변신하여 밤에 몰래 그 집으로 들어가 같이 잤다. 처용이 밖에서 돌아와 잠자리에 두 사람이 있는 것을 보고서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며 물러났다.
이 때 역신이 모습을 드러내고 처용 앞에 꿇어 엎드려 말하기를 \"내가 공의 아내를 흠모하여 죄를 범했습니다. 그런데도 공은 노하지 않으니 그 미덕에 감복했습니다. 지금 이후로는 공의 얼굴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집에는 들어가지 않기로 맹세하겠습니다.\" 하였다. 이 말에 따라 사람들은 처용의 모습을 문에 붙여 사악한 기운을 물리치고 경사스런 일을 맞는다 하였다. 왕이 궁중에 돌아와 영취산 동쪽에 좋은 땅을 가려 절을 짓고 망해사 혹은 신방사라 했다. 이는 용을 위해서 지은 것이다. 또 포석정에 행차했을 때 남산의 신이 나타나 왕 앞에서 춤을 추었으나 옆 사람들은 보지 못하고 왕만 보았다. 어떤 사람이 앞에 나타나 춤을 추므로 왕이 직접 신이 추는 춤을 추어서 그 원형을 보여 주었다. 신의 이름을 혹은 상심이라고 하여 지금까지 그 춤을 전해 오면서 어무상심 또는 어무산신이라 한다. 혹은 이미 산신이 나와 춤을 추므로 그 모습을 본따서 공장이를 시켜 조각하게 하여 후세에 전했기 때문에 이름을 상심무 또는 상염무라 한다 하는데 이것은 그 모양을 이른 말이다. 또 금강령에 행차했을 때 북악의 신이 춤을 바쳤으니 옥도근이라 한다. 또 동례전에서 잔치할 때에 지신이 나와 춤을 추었으니 이름은 지백급간이었다. 어법집에 이르되 그때 산신이 나와 춤을 올리며 노래를 부르되 \'지리다도파도파\'라 한 것은 대개 지혜로써 나라를 다스릴 자들이 미리 알고 많이 도망했으니 나라가 장차 망하리라는 말이었다. 이에 지신과 산신이 나라가 망할 춤을 추어 깨우쳐 준 것인데 사람들은 깨닫지 못하고 오히려 상서로움이 나타났다고 더욱 탐락에 빠져 나라가 끝내 망한 것이라 한다. [삼국유사 권2 기이. 처용랑 망해사]
3. 기존의 연구사
가. 저서
해독
현대역
긔 래
밤 드리 노니다가
드러 자리 보곤
가리 네히어라
둘흔 내해엇고
둘흔 뉘해언고
본 내해다마
아 엇디릿고
서울의 밝은 달에
밤 늦도록 놀며 다니다가
들어와 자리를 보니
가랑이가 넷이 로구나
둘은 내 것이었고
둘은 누구의 것인고?
본디 내 것이지만은
빼앗긴 것을 어찌하겠는가?
①양주동
특징 : 해독이 시적이며, 연철·ㅎ종성의 적용 및 ㅿ, ㅸ을 활용하였다.
어구 풀이 - 울>셥울>셔블>셔울>서울(동경은 신라의 서울인 경주를 뜻함으로 동경으로 해석을 하는 것이나 울로 해석하는 것이나 본질적 차이는 없다.)
- 보곤 : 보니
- 내해+엇(과거시제)+고
- 아 : (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2.17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1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