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발배경
Ⅱ. 요구분석
Ⅲ. 요구의 우선순위 결정
Ⅳ. 차이분석 및 요구의 우선순위 조정
Ⅴ. 교수 목적의 설정
Ⅵ. 교수분석
Ⅶ. 학습자 분석
Ⅷ. 학습 상황 분석
Ⅸ. 수행 상황 분석
Ⅹ. 수행 목표 진술
Ⅺ. 평가 도구 개발
Ⅻ. 교수전략 개발
XIII. 교수자료 개발
XIIII.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Ⅱ. 요구분석
Ⅲ. 요구의 우선순위 결정
Ⅳ. 차이분석 및 요구의 우선순위 조정
Ⅴ. 교수 목적의 설정
Ⅵ. 교수분석
Ⅶ. 학습자 분석
Ⅷ. 학습 상황 분석
Ⅸ. 수행 상황 분석
Ⅹ. 수행 목표 진술
Ⅺ. 평가 도구 개발
Ⅻ. 교수전략 개발
XIII. 교수자료 개발
XIIII.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본문내용
법을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 (학습목표 알려주기)
교수자
보색을 사용하여 명암을 조절해본다. (학습을 지도하기)
물감, 종이, 붓
명암을 조절하기 위해 검은색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를 보여준다. (학습을 지도하기/ 학습자료 제시하기)
보색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 차트
ㅂ
교수 목표⑤ : 채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학습목표 알려주기)
교수자
물을 섞어 명암을 조절해서 칠해본다. (학습 지도하기)
물감, 종이, 붓, 물
종이의 흰 바탕을 이용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
(학습자료 제시하기)
수채화 완성 작품
흰 색과 검은색을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보여준다.
(학습자료 제시 / 학습을 지도하기)
색입체 표본,
물감, 종이, 붓
ㅅ
학생들이 지금까지 그린 그림을 발표하고
잘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을 서로 평가하도록 한다.
(수행을 평가하기 / 파지전이를 고양하기)
(본 내용과 차시내용의 관계에 대해 언급)
교수자
XIII. 교수 자료 개발
수채물감으로 인물화 그리기에 사용될 교수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수채화 용구
2. 색입체 표본
3. 보색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 차트
이상의 세 가지 자료 중 색입체 표본은 특별활동실에서 최소 5개 이상 준비하여 학생들이 소그룹별로 둘러앉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색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 차트’에서는 보색으로 조정된 명암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의 차이를 알도록 하고 검은색으로 조절되는 명암의 변화가 그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한다.
XIIII.형성평가와 총괄평가
1. 형성평가
평가 영역
집중 수준 (각 영역마다 하나씩 동그라미를 치시오)
1. 대상 학습 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참여 여부
A. 학습자가 문제를 이해하는가?
B. 학습자가 사전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C. 교수 내용과 방법에 대해 흥미를 보이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2. 교수 내용과 방법의 적합성 여부
A. 학습자에게 어디가 어려운지 혹은 아이디어와 문 제점을 논의하기 위해 적절한 교수 자료를 사용 하였는가?
B. 만약 학습자가 사례를 이해하지 못했다면
a. 정보를 더하거나 제시 순서를 바꾸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가?
b. 다른 예를 설명 하였는가?
c. 이러한 교수 방법들로 인해 그 문제점이 명료해 졌는가?
C. 학습자가 교수 자료를 지루해 하거나 혼란스럽게 여겼다면
a. 연습이나 피드백을 주기 전에 학습 자료의 제시 에 변화를 주었는가?
b. 더 크거나 혹은 더 작은 정보의 단위를 포함시 키는 등 교수 자료를 재구조화 시켰는가?
D. 사례, 예증, 부가할 수 있는 정보, 형성 평가 과정 에서 학습자가 교수 자료에서 방향을 잃지 않도록 절차를 신속 정확하게 기록하였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3. 교과 내용의 전문성 여부
A. 교수 분석을 명확히 하였는가?
B. 행동 목표를 분명히 정하였는가?
C. 교수내용에 정확흥미최신성을 갖추었는가?
D. 검사, 다른 사정 도구를 적절히 준비 하였는가?
E. 어휘, 흥미 가치, 계열, 학습자 참여 활동에 대한 교수 자료가 적절하였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4. 이러한 형성평가로 얻을 수 있는 결과물
A. 형성 평가를 통해 발견된 문제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하였는가?
B.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과 기능들은 적절하고 명확 하게 준비 하였는가?
C. 해결을 위해 기능을 사용할 시기는 적절한가?
D. 기능의 사용을 위해 조직적인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가?
E. 원하는 만큼의 지원 수준을 누릴 수 있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2. 총괄평가
총괄평가를 면담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총괄평가를 위한 설문지 문항들은 교수에 있어 조직의 요구와 목적은 일치하는가? 교수 자료의 학습원리, 교수, 동기가 뚜렷한가? 학습자의 성취수준과 동기수준은 만족스러운가? 시간, 비용은 적절한가? 등 일치도 분석, 내용분석, 설계분석, 실행 가능성 분석, 결과 분석, 관리 분석 등으로 여러 각도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총괄평가의 결과 중에서 몇몇 부분을 살펴보면, 우선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요구와 교수의 목적이 일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미술 활동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은 수채화 물감으로 그림그리기였다. 수채화 물감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에 소유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대상이 고2인 것으로 보아 미술활동 요구분석에서 2위로 나온 찰흙 등의 도구를 이용한 만들기 활동보다는 수채화 물감으로 인물화 그리기가 적절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교수의 수업자료를 보면 특별히 준비한 자료는 없고 가끔 색입체표본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이해를 도와주었다. 학습자들도 교수의 자료의 대체로 만족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살펴보면, 학습자의 성취수준은 그리 높지는 않았지만 학습자들이 학습경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다. 그 이유는 입시부담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학습자들이 수채화 물감으로 인물화 그리기 특별활동을 통해 잠시나마 입시 부담을 느끼지 않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인물화 그리기 활동은 후에 취미활동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대체로 학습자들이 만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총괄평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대체로 만족하였고 선호하였기 때문에 앞으로도 과중한 입시 위주의 학업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해 이 특별활동은 계속 실행할 것이다. 다만 보충할 점은 학습자들이 인물화 그리기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그리기에는 프로그램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시간에
교수자
보색을 사용하여 명암을 조절해본다. (학습을 지도하기)
물감, 종이, 붓
명암을 조절하기 위해 검은색을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를 보여준다. (학습을 지도하기/ 학습자료 제시하기)
보색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 차트
ㅂ
교수 목표⑤ : 채도를 조절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학습목표 알려주기)
교수자
물을 섞어 명암을 조절해서 칠해본다. (학습 지도하기)
물감, 종이, 붓, 물
종이의 흰 바탕을 이용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
(학습자료 제시하기)
수채화 완성 작품
흰 색과 검은색을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를 보여준다.
(학습자료 제시 / 학습을 지도하기)
색입체 표본,
물감, 종이, 붓
ㅅ
학생들이 지금까지 그린 그림을 발표하고
잘된 부분과 잘못된 부분을 서로 평가하도록 한다.
(수행을 평가하기 / 파지전이를 고양하기)
(본 내용과 차시내용의 관계에 대해 언급)
교수자
XIII. 교수 자료 개발
수채물감으로 인물화 그리기에 사용될 교수 자료는 다음과 같다.
1. 수채화 용구
2. 색입체 표본
3. 보색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 차트
이상의 세 가지 자료 중 색입체 표본은 특별활동실에서 최소 5개 이상 준비하여 학생들이 소그룹별로 둘러앉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보색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 차트’에서는 보색으로 조정된 명암과 검은색으로 조절된 명암의 차이를 알도록 하고 검은색으로 조절되는 명암의 변화가 그림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내도록 한다.
XIIII.형성평가와 총괄평가
1. 형성평가
평가 영역
집중 수준 (각 영역마다 하나씩 동그라미를 치시오)
1. 대상 학습 집단에 속한 학습자들의 참여 여부
A. 학습자가 문제를 이해하는가?
B. 학습자가 사전에 필요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가?
C. 교수 내용과 방법에 대해 흥미를 보이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2. 교수 내용과 방법의 적합성 여부
A. 학습자에게 어디가 어려운지 혹은 아이디어와 문 제점을 논의하기 위해 적절한 교수 자료를 사용 하였는가?
B. 만약 학습자가 사례를 이해하지 못했다면
a. 정보를 더하거나 제시 순서를 바꾸어서 상세히 설명하였는가?
b. 다른 예를 설명 하였는가?
c. 이러한 교수 방법들로 인해 그 문제점이 명료해 졌는가?
C. 학습자가 교수 자료를 지루해 하거나 혼란스럽게 여겼다면
a. 연습이나 피드백을 주기 전에 학습 자료의 제시 에 변화를 주었는가?
b. 더 크거나 혹은 더 작은 정보의 단위를 포함시 키는 등 교수 자료를 재구조화 시켰는가?
D. 사례, 예증, 부가할 수 있는 정보, 형성 평가 과정 에서 학습자가 교수 자료에서 방향을 잃지 않도록 절차를 신속 정확하게 기록하였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3. 교과 내용의 전문성 여부
A. 교수 분석을 명확히 하였는가?
B. 행동 목표를 분명히 정하였는가?
C. 교수내용에 정확흥미최신성을 갖추었는가?
D. 검사, 다른 사정 도구를 적절히 준비 하였는가?
E. 어휘, 흥미 가치, 계열, 학습자 참여 활동에 대한 교수 자료가 적절하였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4. 이러한 형성평가로 얻을 수 있는 결과물
A. 형성 평가를 통해 발견된 문제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 하였는가?
B.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과 기능들은 적절하고 명확 하게 준비 하였는가?
C. 해결을 위해 기능을 사용할 시기는 적절한가?
D. 기능의 사용을 위해 조직적인 수준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가?
E. 원하는 만큼의 지원 수준을 누릴 수 있는가?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약간 1 2 3 4 5 매우 집중
2. 총괄평가
총괄평가를 면담과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다. 총괄평가를 위한 설문지 문항들은 교수에 있어 조직의 요구와 목적은 일치하는가? 교수 자료의 학습원리, 교수, 동기가 뚜렷한가? 학습자의 성취수준과 동기수준은 만족스러운가? 시간, 비용은 적절한가? 등 일치도 분석, 내용분석, 설계분석, 실행 가능성 분석, 결과 분석, 관리 분석 등으로 여러 각도에서 평가를 실시하였다.
총괄평가의 결과 중에서 몇몇 부분을 살펴보면, 우선 일치도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요구와 교수의 목적이 일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들이 미술 활동에서 가장 선호하는 것은 수채화 물감으로 그림그리기였다. 수채화 물감은 대부분의 학생들이 집에 소유하고 있으며, 학습자의 대상이 고2인 것으로 보아 미술활동 요구분석에서 2위로 나온 찰흙 등의 도구를 이용한 만들기 활동보다는 수채화 물감으로 인물화 그리기가 적절하다고 생각되었다. 그리고 교수의 수업자료를 보면 특별히 준비한 자료는 없고 가끔 색입체표본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이 이해를 도와주었다. 학습자들도 교수의 자료의 대체로 만족하였다. 또한 결과 분석을 살펴보면, 학습자의 성취수준은 그리 높지는 않았지만 학습자들이 학습경험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였다. 그 이유는 입시부담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학습자들이 수채화 물감으로 인물화 그리기 특별활동을 통해 잠시나마 입시 부담을 느끼지 않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으며, 인물화 그리기 활동은 후에 취미활동으로 연결이 되기 때문에 대체로 학습자들이 만족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총괄평가를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이 대체로 만족하였고 선호하였기 때문에 앞으로도 과중한 입시 위주의 학업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을 위해 이 특별활동은 계속 실행할 것이다. 다만 보충할 점은 학습자들이 인물화 그리기를 충분히 이해하고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하여 그리기에는 프로그램 시간이 짧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시간에
추천자료
유아용Software평가척도관련연구분석및유아용Software현황조사
금속교재분석및평가
문항분석 및 제작
기업분석_안철수연구소
초등3학년1학기사회교과서문제점분석
직무분석의 의의와 목적 및 방법
교과교육-교과서분석-물리
[수업관찰][음악교육][미술교육]수업관찰의 중요성, 수업관찰의 기본전제와 수업관찰의 음악...
[수업관찰]수업관찰의 의미, 수업관찰의 유형별 접근, 수업관찰의 과정과 사회과(사회과교육)...
교과서분석 중학교 1학년 2학기 국어 1단원 능동적으로 읽기
기업경영분석(롯데칠성,남양유업)
브랜드네이밍_캔커피시장분석 레포트,한국의 캔커피시장조사
LED산업분석 및 향후전망(2014년 08월 업데이트)
[현대소설론 공통] 다음 두 연작소설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 중 두 명(연작소설 두 편)을 골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