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로의 성공과 진로의 일본진출(진로재팬)성공배경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진로의 성공과 진로의 일본진출(진로재팬)성공배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진로의 성공과 진로의 일본진출(진로재팬)성공배경


-기업소개-
진로연혁
진로재팬연혁
- 독 점 적 우 위 배 경 -
고 가격 정책으로 이미지 업
Market customization 일본적인 맛 ‘DRY’

진로재팬은 소주가 아니다?
진로재팬은 한국산이 아니다? 세련된 용기, 로고, 라벨디자인
-장소적 특유 우위-
- 내부적 특유 우위 -
진로댄스를 추는 젊은이들의 암호
신제품 출시로 타깃을 젊은 층으로 확대
젊은층을 유혹하는 감성적 홈페이지
진로그룹의 해외진출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기용했다. 한국의 신예스타인 영화배우 최지연을 모델로 기용하며 모델 이미지와 자연스럽게 조화되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진로재팬의 상징적인 녹색 병을 과감히 탈피하는 대신 초록색 바탕에 영어로 쓰여진 ‘Chamisul’ 을 사용한다.
일본인의 식문화를 최대한 살려 증류주 원액을 첨가하고 깨끗한 맛을 최대한 살린 것이 ‘Chamisul’ 의 특징인 만큼, 새로운 패키지는 시판 중인 일본 소주들을 연상시키며 동시에 산뜻한 이미지와 담백하고 깔끔한 맛을 더욱 강조한다.
젊은층을 유혹하는 감성적 홈페이지
Jinro를 둘러싼 세계 젊은이들의 모습에서‘ Let’s Jinro’ 를 굳이 외치지 않아도 그들의 다양하며 이색적인 재미난 동작들로 구성된 홈페이지로 인해 이 홈페 이지를 방문한 소비자들은 진로에 대한 새롭고 재미난 즐거움을 체험하게 된다.
제품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게 제품소개를 하고, 소비자 패널처럼 진로의 소비상황을 다양하게 표현한다. ‘패션 진로, 한여름의 석양…’ 등 칵테일 이름도 감성적인 멘트를 통해 젊은 층을 유혹한다. 다양한 소비상황에 맞게 설정된 재미난 동작들의 칵테일 소개는 진로를 젊은 소비층으로 확장하는 전략과 맞아 떨어져 마치 스타벅스가 고객들의 라이프스타일을 구체화시킨 것처럼 다양한 소비자 체험과 가치를 소구 한다. “깔끔하고 담백한 맛 Jinro를 다양한 과일과 함께 마셔요… 여러분의 입맛에 맞는 칵테일, 즐거움을 제공하기 위해 Jinro는 항상 노력합니다.” 진로재팬 홈페이지는 ‘즐거운 술’ 이란 캠페인의 시작으로 감성적인 소비상황을 연상시키는 데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서로에게 유대감이 생기는 순간 소비자들은 다양한 생각 속에서“ 내 가 그것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가?” 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소비자는 좋은 감정을 느낄 때 제품과 기업을 좋아하게 되며, 나쁘다고 느낄 때 그들은 제품과 회사를 회피한다. 만약 마케팅 전략으로 인해 소비자들이 좋은 감정을 지속적으로 느낄 수 있다면 강력하고 지속적인 브랜드 선호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감성마케팅의 첫 출발인 셈이다. 가벼운 정서 상태인 긍정적 자세를 유지하며 ‘Let’s Jinro’ 라는 새로운 캠페인의 시작은 소비자로 하여금 긍정적 느낌과 감정을 이제는 의미 있는 정서적 체험으로 확장시켜 가고 있다.
일본 젊은이들 간의 즐겁고, 재미있는 기쁨의 암호는 화려한 색상 대비를 보이는 홈페이지, 일관된 communication, 슬로건, 그리고 여지없이 광고의 마지막 부분에 나가는 노란 띠를 두른 악보 속에 음자리가 되어 있는 Jinro이다. 이제 일본 젊은이들에게 있어 진로는 단순한 소주 음료보다는 즐거운 삶의 리듬인 것이다.
우선, 진로가 일본에서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요인은 진로의 일본시장 진출이유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첫째로, 일본은 우리와 지리적 인접성을 갖고 있는 나라라는 점이다. 지리적으로 근접하므로 문화적으로 비슷한 시장이며, 통제가 용이하고 관리하기 편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었다. 둘째로 비슷한 생활양식을 지니고 있었다는 점이다. 일본은 우리와 같은 한자 문화권 및 쌀 소비 문화권에 속해 있고, 소주라는 독특한 주류를 소비하고 있어 매우 유리했다. 주류 소비문화에 관한 소비자들의 관심사항이나 구매 특징 등에 있어서 유사한 소비자 그룹을 발견할 수 있어 국내의 전략을 적용시킬 수 있었기 때문이다. 셋째로 일본의 주류시장 규모가 우리나라에 약 4배에 해당했음을 들 수 있다. 일본의 인구는 우리나라의 약 2.8배에 해당하며 일본의 소주 시장은 아직 우리에 비해서는 작지만, 매년 성장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넷째로는 우선적 접근이 가능한 표적 소비자 층이 존재했다는 것이다. 진로소주는 일본에 처음 상륙해 재일교포들을 주 고객으로 삼음으로써 일본시장에 진출함에 있어 용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진로의 일본진출 성공은 기업의 역량에 따라 세분시장을 2단계로 진행한 Target Segmentation 이 유효했으며 일본 시장에 진입한 후 일본인의 음주 습성과 입맛에 적합한 제품과 고급화 이미지를 첨가하여 고품격의 브랜드 효과를 얻을 수 있었던 점, 까다롭고 복잡한 일본의 유통망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고 현지 유통업체들과의 끈끈한 신뢰구축 및 공생전략과 적응한 이 후 진로에게 맞게 효율적으로 개척한 유통 전략의 성공 등 철저한 브랜드 관리 조력이 가장 큰 도움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진로도 처음부터 일본 시장에서 성공을 이룰수 있었던 것은 아니다..
많은 문화적 차이가 우리나라 술과 일본의 술의 차이점을 극복해서 오늘날의 진로를 이루게 된것이다.
진로그룹의 해외진출 전망-
아르헨티나, 호주, 브라질, 캐나다, 중국, 독일, 괌, 이태리, 인도네시아,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필리핀, 싱가포르, 베트남, 카자흐스탄 등 전세계 80여개 국가에 진로소주를 수출하고 있다.국내 주류업계 최초로 수출 5천만불을 달성한데 이어 01년에는 7천만불 수출탑을 수상했다.
한국의 주류업계를 이끌어온 진로의 양조(酒造)기술은 이미 오래전에 국제적으로도 인정을 받았다. 1980년 제11회 국제주류품평회(IWSC) 6개부문 금메달 수상과 제18회 몽드셀렉션 8개부문 금상수상에 이어 1982년에는 제20회 몽드셀렉션에서 아시아 최초로 '국제최고 품질대상'을 수상하였다.
세계적 브랜드로 자리잡은 진로는 1995년부터 세계 유수의 위스키, 보드카, 럼, 진 등의 판매량을 훨씬 앞질러 2000년 단일 브랜드로 당당히 전세계 증류주 부문 판매량과 판매성장률 부분에서 2위, 판매액 기준으로 세계 8위를 차지하였고, 이어 2001년에는 세계 증류주 시장 판매량 1위에 오르는 성과를 올렸다.
특히 일본에서는 지난 1998년 일본시장내 86개 희석식 소주업체중 단일브랜드로 1위에 오른 진로소주는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5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진로그룹 : http://www.jinro.co.kr/
네이버 : http://www.naver.com/
다음 : http://www.daum.net
진로재팬 : http://www.jinro.co.jp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3.03.04
  • 저작시기2013.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2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