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목적
● 실험방법
● 실험 사진
● 그래프
● 결과값
● 느낀점
● 실험방법
● 실험 사진
● 그래프
● 결과값
● 느낀점
본문내용
(취성재료 항복하중 불분명)
※항복점 = 항복하중(N) / 원단면적 (πr²)
1.연강시험편의 항복점: (60 ×10³N) / [π(13.92mm/2)²]= 394.26kN/mm²
2.탄소강시험편의 항복점: -
♣단면수축률
실험전후에 측정된 직경을 이용하여 단면수축률을 구할 수 있다.
※단면수축률(%) = [(초기단면적 - 실험후단면적) / 초기단면적] × 100
1.연강시험편의 단면수축률:
{[π(13.92mm/2)²-π(8.70mm/2)²]/π(13.92mm/2)²}×100=60.9%
2.탄소강시험편의 단면수축률:
{[π(13.98mm/2)²-π(13.97mm/2)²]/π(13.98mm/2)²}×100=0.14%
♣연신율
실험에서 시험편에 표시한 점사이의 간격 50mm와 시험후 점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구한다.
※연신율(%) = [(실험후 길이 - 초기길이) / 초기길이] × 100
1.연강시험편의 연신율: [(67.25mm - 50mm) / 50mm] × 100 = 34.5%
2.탄소강시험편이 연신율:[(50.17mm-50mm)] / 50mm] × 100 = 0.34%
♣오차의 원인
1. 연신율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는 이유는 처음에 50mm 표시를 할
※항복점 = 항복하중(N) / 원단면적 (πr²)
1.연강시험편의 항복점: (60 ×10³N) / [π(13.92mm/2)²]= 394.26kN/mm²
2.탄소강시험편의 항복점: -
♣단면수축률
실험전후에 측정된 직경을 이용하여 단면수축률을 구할 수 있다.
※단면수축률(%) = [(초기단면적 - 실험후단면적) / 초기단면적] × 100
1.연강시험편의 단면수축률:
{[π(13.92mm/2)²-π(8.70mm/2)²]/π(13.92mm/2)²}×100=60.9%
2.탄소강시험편의 단면수축률:
{[π(13.98mm/2)²-π(13.97mm/2)²]/π(13.98mm/2)²}×100=0.14%
♣연신율
실험에서 시험편에 표시한 점사이의 간격 50mm와 시험후 점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구한다.
※연신율(%) = [(실험후 길이 - 초기길이) / 초기길이] × 100
1.연강시험편의 연신율: [(67.25mm - 50mm) / 50mm] × 100 = 34.5%
2.탄소강시험편이 연신율:[(50.17mm-50mm)] / 50mm] × 100 = 0.34%
♣오차의 원인
1. 연신율에서 오차가 생길 수 있는 이유는 처음에 50mm 표시를 할
추천자료
재료역학콘크리트압축시험
고체역학실험 보의굽힘모멘트 결과레포트
현대물리실험, 공기역학실험Bernoulli베르누이 실험
유체역학실험 레포트
철근콘크리트 역학실험 결과보고서 - 11.콘크리트의 배합설계
토질역학실험 결과보고서 -#3.체 가름(Sieve Analysis) 완성
유체역학실험 레포트
토질역학실험 (결과) #2 비중 완성
인장시험
고체역학실험 - 비틀림 실험
고체역학실험 - 보의처짐 실험
토질역학실험 레포트(에터버그) 인하대학교
역학의 정의(개념)와 기본인자, 역학의 종류와 조사분석 - 역학의 분류(기술역학, 분석역학, ...
열역학실험 액체의 증기평형 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