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문학] 음성학, 음운론에 대해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문학] 음성학, 음운론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lar Coda.
- 음절 처음부분에서 음절 마지막 부분으로 음을 이동시켜서 음절 마지막 부분에 나오는 자음들이 부적절하다면 다음 onset보다는 이전의 coda가 불규칙의 부담을 가져야 한다.
- 스페인어 transcribir에서 첫 번째 원칙인 principle of maximal open syllabicity에 따르면 tra$nscribir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스페인어에서 단어 첫머리에 nscr( c=/u/ )이 나올수 없으므 로 n을 앞음절의 coda로 옮겨서 tran$scribir로 바꾼다. 그러나 scr도 역시 단어 첫머리에 나오는 것은 부절절하므로 trans$cribir로 다시 음절을 나누어준다. 단어 끝에 ns가 나오는 것도 부적절 하지만 onset보다는 coda가 어휘 구조 제약을 어기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trans$cribir가 아니라 tran$scribir로 나눈다.
13. 표기규약(Notional Conversation)
① 중괄호 표기(Brace Notation): 두 개의 규칙을 하나로 묶을 때.
- A → B/ _____ X X
⇒ A → B/ ______ { }
A → B/ _____ Y Y
※ # : word boundary (단어경계)
# # : phrase boundary (구경계)
+ : morpheme boundary (형태소경계)
$ : syllable boundary (음절경계)
- 공모규칙(conspiracy rule)
예) Φ → i/ c ____ c # #
⇒ Φ → i/ c ____c { }
Φ → i/ c ____ cc c
② Parenthesis Notation(소괄호표기) : 선택적인 분절음의 표시
- A → B/ ___ XY
A → B/ ____ Y ⇒ A → B/ ____ (X)Y
예) V → [+stress] / ____ Co V # V #
[ ] ⇒ V → [+stress] / ___ Co ([ ])
-tense -tense
③ Bracket Notation(괄호표기) : 분절음들을 수평적으로 서로 연결시키는데 사용
- AC → BC A C
⇒ [ ] → B/ _____ [ ]
ED → BD E D
④ Alpha Notation(알파표기 : α,β → +/-의 방향으로 사용)
- [αF, αG] ; [+F, +G] 또는 [-F, -G]
- [αF, -αG] ; [+F, -G] 또는 [-F, +G]
- [αF, βG] ; [+F, +G] 또는 [-F, -G], [+F, -G] 또는 [-F, +G]
⑤ Angled Bracket Notation(직각괄호표기) : 선택적 자질들간의 상호의존관계를 나타냄.
- X Y Z W Q  ⇒ X Z Q
- X Z Q
⑥ Mirror Image Rules(거울영상규칙: %)
- A → B / ___ X ⇒ A → B % X
- A → B / X ___
예) 우리말에는 다음(a)와 같이 // (으) 가 모음뒤에 올 때 탈락하고, (b)와 같이 모음앞에 올 때 또한 탈락한다.
(a) /mk-myn/ → [mgmyn] \'먹으면‘
/ka-myn/ → [kamyn] \'가면‘
∴ V +‘으’ 는 ‘으’탈락, V 앞의 ‘으’는 탈락
(b) /mk-la/ → [mgra] \'먹어라‘
/s\'-la/ → [s\'ra] \'써라‘
∴ → Φ % V
⑦ 기타
- +F
[ ] → [ +H ]
+G
____
- [ +F ] → [ + H ] / [ +G ] : [+F]가 [+G]와 동일한 환경에 놓여있는 경우에 [+F]가 [+H] 로되는 첫 번째를 규칙으로 나타냄.
14. 급여와 출혈(Feeding & Bleeding)
① 규칙의 적용순서와 관련된 용어, 두 개의 규칙 A와 B가 있고 또 어떤 구조 기술이 규칙A는 적용가 능하고 규칙 B는 적용불가능하다고 할 때.
- A가 적용되면 B가 적용될수 있는 구조가 생길 때, 규칙 A는 규칙 B에 급여관계(feeding order) 라고한다.
- 반대로 어떤 구조 기술에 두 규칙 A, B가 모두 다 적용 가능한데, 만약 A가 먼저 적용되면 B가 적용될 수 없는 구조가 나오게 되고, 반대로 B가 먼저 적용되면 A가 적용될 수 없는 경우가 나 온다. 전자의 경우 A가 B에 출혈관계(bleeding order)에 있고, 후자의 경우는 B가 A에 출혈관계 에 있다.
- 급여관계(feedign)의 예
a. 장모음화규칙(Vowel Lengthening) : 모음이나 이중모음의 일부를 유성자음앞에서 장모음화 시 키는 규칙.
C
V → [ +long ] / ______ [ ]
+voiced
b. 설탄음화 규칙(Flapping) : 모음사이에 t나 d가 올 경우 이를 설탄음(flapping) D로 바뀌는 규 칙이다.
t V
{ } → D / V _____ [ ]
d -stress
예) 장모음화 규칙(Vowel lengthening)을 설탄음화규칙(flapping)보다 ‘writer’에 먼저 적용시킴 으로써 장모음화가 일어나지 않았던 것이 규칙을 반대로 적용시킴으로써 ‘writer’에 장모 음화 규칙이 적용되었다.
즉 Writer
a. Vowel lengthening → Flapping
- # rayD+r #
b. Flapping → Vowel lengthening
# rayD+r # # rra:yD+r #
* 먼저 적용된 설탄음화 규칙은 장모음화 규칙이 적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여 주었다 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규칙관계를 급여관계(feeding)라고 한다.
예) write [rayt], ride [ra:yd], writer [rayDr], rider [ra:yDr]
- 출혈관계(bleeding)의 예
* Umlaut규칙
V → [-back] / # Co ____ ..., ] plural
* 저모음화 규칙(vowel lowering)
O → ⊃ / ___ C
[ +cor ]
+ant ⇒ /t, d, s, n, l, r, z/
15. 강세(Stress) - Hyman
① 복합어 강세규칙(Compound Stress Rule : CSR)
- 두 개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복합어를 형성하는 경우, 복합어의 첫 번

키워드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3.03.12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35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