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결론
본론
결론
본문내용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에서 형성된 담즙은 담낭에서 농축된 후 음식물이 위를 거쳐 십이지장으로 들어올 때 배출되어 음식의 소화를 돕는데 담즙의 주요 성분인 담즙산은 식사로 십이지장에 들어온 지방질을 장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담석증은 이러한 담낭과 담관에 담즙의 구성 성분들이 돌같이 굳어져 결정이 생기는 병입니다. 담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종족과 성별에 관계없이 빈도가 증가한다. 서양에서는 매우 흔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종족과 성별에 관계없이 빈도가 증가한다. 서양에서는 매우 흔하여 전 인구의 10% 이상의 유병율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보다는 적지만 대략 2~3%의 유병율을 가지고 있어 그리 드문 질환은 아니다. 또한 초음파 등 담석을 쉽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비가 널리 보급되면서 담석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론
1. 문헌고찰
1) 담낭의 구조와 기능
①담낭의 구조
담낭은 7~10cm 정도의 서양배 모양의 기관으로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놓여있다.
담낭관은 담낭에서 나와 간의 간담관과 합쳐져서 총담관을 이룬다.
총담관의 담즙은 Oddi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서 저장되었다가 이 괄약근의 수축과 이완이 일어날 때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②담낭의 기능
- 담낭의 농축과 저장
·담낭은 50~75mL의 담즙을 저장
(간세포는 600~1,000mL를 매일 생산)
·담낭점막은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여 담즙 농축, 담즙을 5~10배로 농축하여 담낭에 저장
- 담즙배설 조절
·cholectystokinin : 지방이 소장에서 소화될 때 장점막에서 유리되는 호르몬, 혈류를 통해 담낭으로 들어가 담낭벽에 있는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Oddi 괄약근을 이완
·미주신경 :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나오는 secretin이라는 호르몬은 간의 담즙배설을 약하게 자극, 음식물이 연동운동을 자극하면 Oddi 괄약근은 더욱 이완
2) 담석증의 정의
-담석증 : 담낭에서 결석이 형성되거나 존재하는 것
-담관결석증 : 총담관에 결석이 있는 것
-담석증의 원인
① 담즙으로부터 수분흡수가 너무 많을 때
② 담즙으로부터 담즙산 흡수가 너무 많을 때
③ 담즙 내에 Cholesterol이 너무 많을 때
④ 담낭상피에 염증이 있을 때
3) 담석증의 병태생리
①콜레스테롤 담석
-콜레스테롤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콜레스테롤의 용해도는 담즙에 포함된 담즙산이나 레시틴 성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담석이 생기기 쉬운 대상자들은 간에서 담즙산의 합성은 감소하는 반면, 콜레스테롤의 합성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담즙에서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므로 침전되어 담석을 형성하게 된다.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당분은 담석을 형성하는 소인으로 작용하며, 자극 물질로 작용하여 담낭에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담석은 매끄럽고 흰 빛을 띤 노란색에서부터 황갈색을 띄고 있다.
② 색소성 담석
- 담즙에서 비결합성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이 많이 있다. 색소성 담석은 검은것(용혈증이나 경변증과 관련이 있음)과 흙색의 calcium bilirubinate 담석(담도계의 감염과 관련이 있음)으로 분류된다
③ 혼합성 담석
-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의 결합물이거나 이 둘 중 어느 하나와 다른 calcium carbonate, phosphates, bile salts 등은 담석의 작은 부분을 형성하는 담석 구성물질이다.
- 결석으로 인해 담낭으로부터 담즙의 흐름이 폐색되면 담낭에 담즙이 정체되고 담낭이 염증, 부종 및 팽대되며, 팽대된 담낭은 정맥울혈을 일으키고 담낭순환에 변화를 가져온다. 담낭에 정체된 담즙은 자극제로 작용하여 3, 4일후에 담낭벽에 세포침윤을 일으키며 담즙정체로 인한 혈관폐색은 담낭의 점막층을 괴사, 처음에는 담낭내의 담즙이 무균성이나 며칠내에 세균이 급속히 성장
5)GB stone의 임상증상
- 담석증은 담석이 담관을 막거나 염증을 일으킬 때까지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고칼로리 식이나 지방음식 섭취 후의 소화불량, 가끔 우상복부 불편감과 식후 트림이 정상인보다 심할 수 있다.
- 담석 산통(gallstone colic), 담관 산통(biliary colic)
·담석이 담도게를 막으면 생김
·통증은 중앙 심와부에서 시작, 우상복부로 퍼지고 견갑골 하부의 등과 우측 어깨로 방사
·통증은 극심하며 빈맥, 발한, 오심, 구토 동반
- 총담관 폐색
·혈청의 총 빌리루빈과 결합빌리루빈이 상승하며 황달이 생김
- 소변이 진한 색으로 변함
-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지 못해 회색 대변이 나옴
-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 A,D,E,K의흡수에 장애가 생김
- 비타민 K가 흡수되지 않아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6)GB stone의 진단검사
- 대부분은 염증을 동반하고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해보면 백혈구가 증가되어있다. 정상인에게 있어서 백혈구 수는 4천~6천개 정도인데 염증이 수반된 환자에게서는 1만개 이상인 경우가 많다. 또 혈정청검사에서는 알칼린포스파타제(Alkalin phosphatase) 및 빌리루빈치가 상승되어 있다.
① 단순 복부 촬영
-일반 X선 촬영처럼 배사진만 찍는 것
-제일 간단하지만 담석이 X선에 나타나는 경우는 10~15%에 불과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② 정맥 담관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 특수 X선 촬영의 일종으로 정맥에 특수 조영제를 주사해서 담도나 담관의 담석을 진단하는데 주로 이용
-대부분 경구 담낭 조영술을 거친 환자에게서 담석이 총관에도 존재하는가를 진단하는데 많이 사용
-혈관내에 조영제를 주사해서 사진을 찍는 정맥담관조영술은 담낭보다도 담관의 이상을 보기 위한 것
- 환자의 황달이 심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간에서 형성된 담즙은 담낭에서 농축된 후 음식물이 위를 거쳐 십이지장으로 들어올 때 배출되어 음식의 소화를 돕는데 담즙의 주요 성분인 담즙산은 식사로 십이지장에 들어온 지방질을 장이 흡수할 수 있도록 한다. 담석증은 이러한 담낭과 담관에 담즙의 구성 성분들이 돌같이 굳어져 결정이 생기는 병입니다. 담석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흔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종족과 성별에 관계없이 빈도가 증가한다. 서양에서는 매우 흔하며, 나이가 많을수록 종족과 성별에 관계없이 빈도가 증가한다. 서양에서는 매우 흔하여 전 인구의 10% 이상의 유병율을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보다는 적지만 대략 2~3%의 유병율을 가지고 있어 그리 드문 질환은 아니다. 또한 초음파 등 담석을 쉽고 간편하게 진단할 수 있는 장비가 널리 보급되면서 담석증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론
1. 문헌고찰
1) 담낭의 구조와 기능
①담낭의 구조
담낭은 7~10cm 정도의 서양배 모양의 기관으로 간의 아래쪽 움푹 들어간 곳에 놓여있다.
담낭관은 담낭에서 나와 간의 간담관과 합쳐져서 총담관을 이룬다.
총담관의 담즙은 Oddi괄약근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담낭에서 저장되었다가 이 괄약근의 수축과 이완이 일어날 때 십이지장으로 들어간다.
②담낭의 기능
- 담낭의 농축과 저장
·담낭은 50~75mL의 담즙을 저장
(간세포는 600~1,000mL를 매일 생산)
·담낭점막은 물과 전해질을 흡수하여 담즙 농축, 담즙을 5~10배로 농축하여 담낭에 저장
- 담즙배설 조절
·cholectystokinin : 지방이 소장에서 소화될 때 장점막에서 유리되는 호르몬, 혈류를 통해 담낭으로 들어가 담낭벽에 있는 평활근을 수축시키고 Oddi 괄약근을 이완
·미주신경 : 십이지장과 공장에서 나오는 secretin이라는 호르몬은 간의 담즙배설을 약하게 자극, 음식물이 연동운동을 자극하면 Oddi 괄약근은 더욱 이완
2) 담석증의 정의
-담석증 : 담낭에서 결석이 형성되거나 존재하는 것
-담관결석증 : 총담관에 결석이 있는 것
-담석증의 원인
① 담즙으로부터 수분흡수가 너무 많을 때
② 담즙으로부터 담즙산 흡수가 너무 많을 때
③ 담즙 내에 Cholesterol이 너무 많을 때
④ 담낭상피에 염증이 있을 때
3) 담석증의 병태생리
①콜레스테롤 담석
-콜레스테롤은 물에 용해되지 않는다. 콜레스테롤의 용해도는 담즙에 포함된 담즙산이나 레시틴 성분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담석이 생기기 쉬운 대상자들은 간에서 담즙산의 합성은 감소하는 반면, 콜레스테롤의 합성은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담즙에서 콜레스테롤이 과포화 상태가 되므로 침전되어 담석을 형성하게 된다.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당분은 담석을 형성하는 소인으로 작용하며, 자극 물질로 작용하여 담낭에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담석은 매끄럽고 흰 빛을 띤 노란색에서부터 황갈색을 띄고 있다.
② 색소성 담석
- 담즙에서 비결합성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이 많이 있다. 색소성 담석은 검은것(용혈증이나 경변증과 관련이 있음)과 흙색의 calcium bilirubinate 담석(담도계의 감염과 관련이 있음)으로 분류된다
③ 혼합성 담석
- 콜레스테롤 담석과 색소성 담석의 결합물이거나 이 둘 중 어느 하나와 다른 calcium carbonate, phosphates, bile salts 등은 담석의 작은 부분을 형성하는 담석 구성물질이다.
- 결석으로 인해 담낭으로부터 담즙의 흐름이 폐색되면 담낭에 담즙이 정체되고 담낭이 염증, 부종 및 팽대되며, 팽대된 담낭은 정맥울혈을 일으키고 담낭순환에 변화를 가져온다. 담낭에 정체된 담즙은 자극제로 작용하여 3, 4일후에 담낭벽에 세포침윤을 일으키며 담즙정체로 인한 혈관폐색은 담낭의 점막층을 괴사, 처음에는 담낭내의 담즙이 무균성이나 며칠내에 세균이 급속히 성장
5)GB stone의 임상증상
- 담석증은 담석이 담관을 막거나 염증을 일으킬 때까지 증상이나 징후가 없다.
고칼로리 식이나 지방음식 섭취 후의 소화불량, 가끔 우상복부 불편감과 식후 트림이 정상인보다 심할 수 있다.
- 담석 산통(gallstone colic), 담관 산통(biliary colic)
·담석이 담도게를 막으면 생김
·통증은 중앙 심와부에서 시작, 우상복부로 퍼지고 견갑골 하부의 등과 우측 어깨로 방사
·통증은 극심하며 빈맥, 발한, 오심, 구토 동반
- 총담관 폐색
·혈청의 총 빌리루빈과 결합빌리루빈이 상승하며 황달이 생김
- 소변이 진한 색으로 변함
-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흐르지 못해 회색 대변이 나옴
-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 A,D,E,K의흡수에 장애가 생김
- 비타민 K가 흡수되지 않아 프로트롬빈 시간 연장
6)GB stone의 진단검사
- 대부분은 염증을 동반하고 있으므로 혈액검사를 해보면 백혈구가 증가되어있다. 정상인에게 있어서 백혈구 수는 4천~6천개 정도인데 염증이 수반된 환자에게서는 1만개 이상인 경우가 많다. 또 혈정청검사에서는 알칼린포스파타제(Alkalin phosphatase) 및 빌리루빈치가 상승되어 있다.
① 단순 복부 촬영
-일반 X선 촬영처럼 배사진만 찍는 것
-제일 간단하지만 담석이 X선에 나타나는 경우는 10~15%에 불과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② 정맥 담관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 특수 X선 촬영의 일종으로 정맥에 특수 조영제를 주사해서 담도나 담관의 담석을 진단하는데 주로 이용
-대부분 경구 담낭 조영술을 거친 환자에게서 담석이 총관에도 존재하는가를 진단하는데 많이 사용
-혈관내에 조영제를 주사해서 사진을 찍는 정맥담관조영술은 담낭보다도 담관의 이상을 보기 위한 것
- 환자의 황달이 심할
키워드
추천자료
[논문] 담낭절제술
[수술실]LIH ( patch herniorrhaphy )
Cholelithiasis
(성인-수술실컨퍼) 뇌실 - 복강간 단락수술(사진 많음, 동영상 있음)
수술실 진단 자료
[간호학]laparo scopic cholecystectomy
복강경담낭절제술 문헌고찰 및 case study
Appendectomy (충수절제술) case (수술실 충수절제술)
ER casestudy-Thyroid lobectomy-10쪽
OR 충수돌기염.hwp
성인간호 laparoscopic 담낭절제술
OR 간호실습) L.C case study
수술실간호실습(수술 사례연구) - 뇌종양 - 진단명 : brain tumor | 수술명 : craniotomy
[간호] 수술실 서류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