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배운 여러 가족치료 모델을 선택하여, 자기 혹은 본인 가족을 분석하고 분석 후의 느낌과 소감 및 알게 된 사항 -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 보웬의 가족치료이론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금까지 배운 여러 가족치료 모델을 선택하여, 자기 혹은 본인 가족을 분석하고 분석 후의 느낌과 소감 및 알게 된 사항 -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 보웬의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1. 이론적 배경과 중심개념
1) 가족을 바라보는 관점
2) 가족구조
3) 가족의 하위체계
4) 경계선

2. 치료적 개입
1) 가족치료의 목표와 치료사의 역할
2) 치료체계의 형성 (치료과정)
3) 합류와 적응
4) 진단 (작업가설)
5) 치료계약
6) 하위체게와의 합류
7) 합류와 재구조화
8) 치료기법


◎ Bowen 가족치료이론

1. 이론배경과 발달과정
(1) Bowen 이론 발달배경
(2) 건강과 정상성에 관한 관점

2. 주요개념
(1) 자아분화체계의 구성
(2) 삼각관계
(3) 핵가족의 정서적 체계의 구성
(4) 가족의 투사과정체계의 구성
(5) 정서적 단절
(6) 다세대 전수과정
(7) 형제순위

3. 치료적 개입
(1) 가족치료의 목표
(2) 사정과 평가
(3) 가족도표 작성

4. 가족치료 개입 기법
(1) 가족치료 체계
(2) 치료자의 역할
(3) 치료기법

5. 치료와 결과에 관한 평가

본문내용

지금까지 배운 여러 가족치료 모델들(보웬 다세대 가족치료,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 구조적 및 전략적 가족치료 등) 중 두 개의 모델을 선택하여, 자기 혹은 본인 가족을 분석하고 분석 후의 느낌과 소감 및 알게 된 사항들을 모두 쓰세요.(선택한 치료모델의 여러 주요 개념과 도표 혹은 가계도 등 활용하여 분석)
◎ 미누친의 구조적 가족치료모델
1. 이론적 배경과 중심개념
- 인간의 사회성에서부터 출발
- 사회는 가족을 형성하게 하고, 가족은 개인을 형성한다는 명제
- 개인들의 상호작용유형과 가치관에 가족이 미치는 영향을 강조
- 어떤 방식으로 가족들이 상호작용을 하는 가에 따라서 개인의 행동은 많은 영향을 줌
- 중심개념 : ① 가족구조
② 하위체계
③ 경계선
1) 가족을 바라보는 관점
- 정상가족도 가족구성원의 변화와 성장에 따라 갈등과 불안을 겪음
- 가족치료는 일반적으로, 가족구성원가운데 한 사람에게 증상이 나타났을 때 이루어짐
- 증상은 가족체계를 유지시키는 기제
- 가족에 대한 견해 : ① 변화하고 있는 개방된 사회문화적 체계
② 재구조화가 필요한 여러 단계를 거치며 발달
③ 연속성을 유지하고, 각 가족구성원의
심리사회적 성장 촉진을 위해 변화된 외부환경에 적응 하는 것
⇒ 정상가족은 상황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자신들의 가족구조를 바꿔야 한다.
- 가족문제는 가족내의 질병으로 봄
- 기본전제 : ① 인간은 고립된 존재가 아니다.
② 인간은 사회집단의 성원과 계속해서 활동하고 반응한다.
③ 인간의 경험은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결정된다.
④ 인간은 사회환경의 영향을 주고 반응한다.
2) 가족구조
- 실제적인 상호작용을 관찰할 때, 분명해짐
- 가족이 상호작용을 하는 방식과 관련된 개념으로
가족들이 상호작용방식을 조직화하는 것으로써 보이지 않는 기능적 유형을 말한다.
- 가족 구성원들이 실제로 언제, 어떻게, 누구와 상호작용하는지를 관찰할 때 분명해짐
- 가족구성원들의 행동이 지속적이고, 반복적이고, 예측이 가능할 때
가족구조는 정상적이라고 규정
3) 가족의 하위체계
- 모든 개인은 하나의 하위체계이며, 둘 또는 그 이상의 집단들은 세대, 성별,
공통관심사에 의해 결정된 또 다른 하위체계를 구성한다.
ex) 한 여자 : 딸, 언니, 아내, 어머니, 이모, 조카 등 다양한 역할을 한다.
(1) 부부하위체계
- 상호보완과 적응
- 그들의 부모나 자녀, 외부로부터 분리되는 경계선을 가지고 있어야 함
- 분명한 경계선은 부부하위체계를 유지해 줄 뿐만 아니라,
가족구조 내의 위계질서를 잡아주어 부모로서의 권위가 존중받을 수 있게 한다.
(2) 부모하위체계
- 자녀의 발달에 따른 양육, 지도, 통제
- 부모로써의 권위를 적절히 사용함으로써 기능을 발휘
- 부모와 자녀 하위체계간의 상호작용 유형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정되어야 함
- 가족체계의 성장을 촉진시킴
(3) 형제하위체계
- 자녀들이 또래 관계를 훈련할 수 있는 최초의 사회적 실험실
- 초기 형제 하위체계에서 얻어진 위치는 이후 이어지는 삶의 과정에서 매우중요
(4) 부모-자녀하위체계
- 세대가 다른 사람들
- 체계간 위계구조가 분명하면, 건강한 가족구조를 유지할 수 있다.
4) 경계선
- 다른 사람들과 접촉하는 수준을 규제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장벽
(개인, 하위체계, 전체가족 - 대인관계성의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어짐)
- 위계와 거리를 조정하면서 가족, 개인, 하위체계의 자율성을 보호
- ① 명확한 경계 : 분명하고 명료한 경계선을 지닌 가족은 안정되고 융통성이 있으며, 가족성원들은 서로 지지적이고 상호간의 자율성을 존중.
② 경직된 경계 : 지나치게 엄격하고 외부체계들과의 접촉을 거의 허용하지 않는 유리된가족 (disengaged family). 심하게 유리된 가족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경향이 있어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고 가족의 보호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움.
경직된 경계선을 가진 가족들은 가족성원들간에 거리감, 소외감, 소속감 부족. 지역사회 에서 고립되어 있으며, 도움이 필요할 때 원조를 요청하는 능력이 부족. 반면 가족성원 들은 자율적으로 기능하여 독립적임.
③ 밀착된 경계 : 가족성원들 사이의 경계선이 미분화되어 있고 지나치게 얽혀서 모든 문제에 필요이상으로 관여하는 밀착된 가족(enmeshed family)
2. 치료적 개입
1) 가족치료의 목표와 치료사의 역할
① 구조적 가족치료의 목표
- 가족구조의 변화, 즉 가족의 재구조화 : 주조를 활성화시키는 작업
- 증상의 변화와 가족기능의 강화는 상호 관련된 치료목표
: 증상들을 지속시키며 가족유형을 바꾸는 것
- 가족체계의성장을 촉진시킴
- 효과적인 위계질서의 창조 : 부모들은 자녀들과 동등한 위치에 있기보다,
분화된 권위를 행사할 수 있어야 함
- 부모가 응집력있는 하위체계 역할을 하도록 함
: 경계선을 유연하게 만들어서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것
② 가족치료사의 역할
- 구조적가족치료 : 행동치료 → 현재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것
- 원조과정 : ① 치료사가 지도력을 가지고 가족에 합류
② 가족의 구조를 파악
③ 구조를 변형하기 위해 개입
2) 치료체계의 형성 (치료과정)
① 문제정의
② 정보수집
③ 가설설정 (가족구조의 집단, 사정)
④ 치료목표의 설정 (단기/장기목표)
⑤ 치료적 개입
⑥ 2번으로 피드백
3) 합류와 적응
- 합류 : 치료사가 가족구성원이나 가족체계와의 관계를 직접적으로 맺고자 하는
행동을 강조할 때 사용
- ① 현상유지 : 치료사가 가족구조를 자각하고 보석할 때,
의도적으로 가족구조를 지지해 주는 적응 기술
(가족하위체계에 대한 적극적인 승인과 지지가 포함)
② 추적 : 내용을 명확히 하기위한 질문을 하고, 찬성한다는 의견을 말하거나,
가족이 말한 내용을 확대시켜 문제
  • 가격3,3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13.03.20
  • 저작시기2012.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50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