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자격시험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특강 자료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가자격시험 사회복지사 1급 사회복지실천기술론 특강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1장 사회복지사의 역할분류
제2장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제3장 사회복지실천의 목적
제4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성 특성
제5장 사회복지사의 기술 정의
제6장 실천의 기술요소
제7장 실천기술의 두 가지 유형
제8장 사회복지실천의 시작단계의 기초기술
제9장 사회복지사와 사회복지실천기술
제10장 사회복지실천기술을 수행하기 위한 사회복지사의 역할과 활동
제11장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초보 사회복지사의 필수적인 능력(기술)
제12장 사회복지실천기술의 이전성
제13장 사회복지실천이론의 응용 지식
제14장 사회복지사의 지식 기초
제15장 사회복지 이론과 실천의 관계
제16장 사회복지실천방향에서의 사회복지사 직접적 활동
제17장 사회복지실천이론(접근)에서의 사회복지사 직접적 활동
제18장 사회복지사의 실천기술들
제19장 사회복지실천의 기술수준
제20장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 배경
제21장 인지행동모델의 특징
제22장 인지행동 이론의 주요 가정
제23장 엘리스(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의 중심인 ABCDE모델
제24장 인지치료
제25장 역량강화/권한부여(EMPOWERMENT)
제26장 위기개입의 목표: 6가지
제27장 상황적위기와 발달적 위기
제28장 집단
제29장 집단사회사업
제30장 집단발달단계
제31장 집단사회복지사의 역할
제32장 집단 계획
제33장 집단 성원의 역할
제34장 집단문화
제35장 집단에 대한 사정시 집단역동 활용
제36장 집단구조
제37장 집단의 의사소통
제38장 집단의 상호작용의 형태
제39장 집단 매력
제40장 집단 응집력
제41장 가족대상 실천을 위한 기본 개념
제42장 가족 생태학
제43장 가족 구조
제44장 가족개입 초기: 관계형성
제45장 가족개입 초기: 가족 사정
제46장 가족 생태도 분석
제47장 가계도 작성
제48장 지역사회수준의 실천접근방법
제49장 좋은 기록

본문내용

이 포함된다.
3. 집단사회사업은 개별성원, 전체집단 그리고 딥단이 속한 환경이라는 3가지 초점영역을 가지고 있다.
4. 집단사회사업은 주로 소집단을 활용하며, 고통받는 개인뿐만 아니라 건강한 개인들로 구성된 집단을 대상으로 한다.
5. 집단사회사업은 치료집단과 과업집단과의 실무를 포함한다.
6. 집단사회사업은 전문가의 지도와 원조하에 이루어진다.
-집단사회사업의 접근방법
1. 사회적 목표모델 2. 치료모델 3. 상호작용모델
-집단사회사업: 사회적 목표모델
1. 초기 집단사회사업이 실천될 때부터 존재한 전통적인 모델이며, 사회적으로 위급한 상황이 전개될 때 마다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2. 인보관과 청년단체의 집단사회사업으로부터 성장했다. 이 모델에서 각 개인은 사회의 주류에서 의미있는 참여를 할 수 있는 잠재적인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집단은 효과적인 사회변화를 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3. 민주주의와 지역사회의 정의를 유지하고 발달시키려는 데 목적을 두고 있으며, 집단성원들의 주요한 과업 중의 하나는 사회적 의식과 사회적 책임을 발전시킨다.
4. 지역사회 내의 범죄, 빈곤과 같은 문제를 다루기 위해서 지역복지관이나 시민조직에서 활용된다.
5. 집단사회복지사는 집단 내의 사회의식을 개발하기 위해 영향력 있는 사람으로서의 역할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사회적 책임의 가치를 심어 주고 책임 있는 시민으로서 적합한 행동형태를 자극하고 강화하는 역할모델로서 기능한다.
6. 민주적 집단과정을 중시하므로 민주주의적 참여를 통한 학습이 가능하도록 집단내의 민주적 절차를 개발하고 유지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도 중시한다.
-집단사회사업: 치료모델
1. 역사적 맥락에서 볼 때 치료적 모델의 발전은 집단사회사업이 전문사회복지실천에 통합될 수 있게 하였다.
2. 사회적 기능수행에 뚜렷한 문제가 있거나 문제발생의 위험이 높은 개인에게 원조하는 것을 강조하는 임상모델이다.
3. 초점은 집단을 통해 개인을 치료하는 것으로 집단은 개인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고두 또는 상황이며, 집단구조와 집단과정에서의 변화는 그자체가 목적이기보다는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이다.
4.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 법률상의 범죄자, 격리되거 소외된 사람을 위하여 교정시설, 병원, 그리고 가족서비스기관에서 사용된다.
5. 집단사회복지사는 집단형성과 운영에 강한 힘과 영향력을 행사한다.
6. 집단성원은 전문가의 진단에 의해 구성된다. 사회복지사는 집단구성원 개개인의 욕구와 집단의 욕구를 구체적 목표달성과 관련하여 파악한 후 개입전략을 정하고, 이에 따라 집단 회기의 내용을 미리 구조화해야 한다.
-집단사회사업: 상호작용모델
1. 중간모델 또는 인본주의 모델로도 불리는 상호작용모델은 개별 성원과 집단간의 상호관계에 초점을 둔다.
2. 집단활동 이전에 구체적인 목표를 정하지 않으며, 목표설정은 사회복지사와 집단성원간의 상호관계 속에서 이루어지는 집단작용의 본질적인 부분으로 인식된다.
3. 일반적으로 지지집단이라 불리는 집단이 상호작용모델의 개념에 속한다.
4. 상호작용모델에서 사회복지사는 개인과 집단이 상호원조체계가 되도록 중재하는 역할을 한다.
5. 사회복지사는 구성원들과 권력을 공유하고 집단에 대한 통제권을 공유하도록 요구된다.
제30장 집단발달단계
1. 중간단계: 성원간의 상호관계와 집단응집력 발달, 문제해결 형성 유지 친밀감 성숙함 등.
2. 차별화단계: 집단성원이 새롭고 대안적인 행동유형을 자유롭게 탐색 집단은 자체적으로도
효과적으로 조직될 수 있고 모든 성원은 공평하게 지도력을 가지고 역할 한다. 집단응집력
의 경우 개인의 통합성을 키우고 각 성원들은 긍정적인 방식으로 간계를 맺는다. 문제해결,
친민감 성숙함 등,
3. 개방집단: 언제든지 새로운 성원이 들어올 수 있다. 집단 응집력을 저해할 수 있음.
4. 폐쇄집단: 같은 성원들로 계속 진행, 집단 연속성, 성원들 간 응집력이 강함.
5. 집단성원 개개인에 대한 사정내용: 집단성원 특성, 대인관계와 성원간 상호 작용 집단성
원의 환경
6. 집단발달 - 중간단계 집단성원은 집단목적을 이해하면서 동시에 자기 방식대로 통제하려고 함 성원들 간에 불신감과 투쟁, 사회복지사에 대한 저항 등, 초기단계보다 신뢰감과
응집력이 커짐, 사회복지사 개입 없이 성원들이 서로 원조.
7. 집단 의사소통의 초점유지: 집단과정의 특정영역에 초점을 둠으로써 관련 없는 부분에 대
한 의사소통을 감소,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탐색, 초점 유지기술로는 명확화, 특정 의사소
통의 반복, 토론범위의 제한 등.
-학자별로 본 집단발달단계 비교
발달단계
Bales
1950
Tuckman
1963
Northen
1969
Hartford
1971
Klein
1972
Trecker
1972
Sarri &
Galinsky
1985
Garland,Jones & Kolodny
1976
Henry
1992
Toseland Rivas
1995
Reid
1997
초기단계
오리엔테이션
집단
형성
계획/
오리엔테이션
단계
전집단계획
단계/
소집
단계/
집단형성단계
오리엔테이션
저항
단계
초기
단계/
집단감정의/
출현단계
시초단계/
형성단계
친밀전
단계/
권력과 통제
단계
착수단계/
소집단계
계획단계/
초기단계/
사정단계
임신
출생
중간단계
평가
갈등
단계/
규범
설정
단계/
수행
단계
탐색과 시험/
문제
해결
와해 및
갈등
단계/
집단
기능 및
유지
단계
협상단계/
친밀단계
유대,
목적
,응집력/ 발단
단계/ 강한 집단 의식
단계/ 집단
의식의 감소
단계
중간1단계/
중간2단계/
성숙단계
친밀
단계/
차별화
단계
갈등단계/
유지단계
작업
단계/
평가
단계
아동
기/
청소
년기/
성인기
종결단계
의사결정
-
종결
단계
전종결
단계/
종결
단계
종결단계
종결
단계
종결
단계
이별
단계
종결단계
종결단계
사망
-집단 초기 단계
1. 집단감정이 출현하지만 집단감정이 평탄하게 나타나지는 않는다.
(예) 성원들은 자신의 자율성을 유지하면서 집단의 성원이 되고자 하거나 집단압력에 저항을 나타낸다.
2. 초기단계가 진전되고 집단의 규범과 규칙이 차별화 되면서 성원들은 집단내에서 자신이
  • 가격3,000
  • 페이지수48페이지
  • 등록일2013.04.02
  • 저작시기2005.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7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