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목차
<과학의 목적>
<과학적 연구의 특징>
<간주관성>
<연역법과 귀납법>
<쿤(Kuhn)의 과학적 혁명론>
<사회과학의 한계>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사회조사, 사회 서베이, 서베이 조사의 개념>
<과학적 조사의 단계>
<사회조사연구 특징>
<사회복지조사의 특징>
<조사방법>
<조사 목적에 의한 분류>
<설명적 조사>
<미시조사와 거시조사>
<순수조사(pure research)와 응용조사(applied research)>
<횡단조사>
<기술적 조사(descriptive research)>
<탐색적 조사(exploratory study)>
<실험조사>
<현지조사(field study)>
<통계조사(statiscal study) :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사례조사와 서베이 조사>
< 우편조사의 장점>
< 전화면접조사의 장점>
<사회지표조사(social indicator analysis)>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비교>
<면접(interview) 조사>
<관찰(observation) 조사>
<주요 정보제공자조사(key informant method)>
<일반인구조사(general population survey)>
<표적인구조사(target population survey)>
<패널조사(panel study)>
<경향조사(trend styudy)>
<동년배조사(cohort study)>
<응용조사(applied research)>
<평가조사(evaluation research)>
<가설의 정의와 형식>
<가설의 구비조건>
<가설의 기능>
<검증과정에 따른 연구가설의 구분>
<조작적 정의>
<공리, 공준, 정리>
<실험실내 실험>
<인간관계의 개념>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
<실험설계를 위한 기본조건>
<외생변수>
<외적 타당도와 저해요인>
<타당도의 종류>
<수렴적 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실험효과의 종류>
<표본설계 절차>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솔로몬 4집단 설계>
<요인설계>
<복수시계열 설계>
<구조화 면접>
<반구조화 면접>
<심층면접법>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
<참여관찰, 준참여관찰, 비참여관찰>
<참여관찰자의 유형>
<관찰패러다임>
<변수>
<실험조사설계의 기본요소>
<실험조사설계 형태>
<조사설계>
<실험 디자인>
<비실험, 선실험, 유사실험 디자인>
<측정의 정의, 기능, 구조>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와 특성 비교>
<측정의 4등급>
<설문지 개발>
<설문지의 구성요소>
<설문지 작성법>
<신뢰도 평가방법>
<오류의 분류>
<표집의 정의>
<표집을 통한 조사의 특성(표본조사의 특성)>
<표집의 장점과 단점>
<표집 관련 용어>
<표집의 유형과 크기>
<시간표집방법>
<단순무작위표집법>
<체계적 표집>
<층화표집>
<집락표집>
<층화집락표집>
<가중표집법>
<편의표집>
<유의표집>
<척도>
<척도작성 과정>
<척도의 종류>
<평위척도(Tanking Scale): Thurstone척도>
<총화평정척도>
<리커트(Likert)척도>
<거트만(Guttman)척도>
<써스톤(Thurstone>)
<요인척도>
<어의적 분화(semantic differential; S. D.)>
<지수와 척도>
<지수의 구성>
<질문지법>
<쌍열질문(double-barreled question)>
<대인인터뷰(면접법)>
<전화 인터뷰>
<전자 서베이>
<간접관찰>
<문헌 연구>
<단일사례연구설계>
<단일사례 연구설계의 기초선(besideline)>
<단일사례연구의 절차>
<단일사례 연구설계의 유형>
<단일사계연구의 자료기록방법>
<개입의 결과>
<실험조건 충족정도에 따른 조사설계의 구분>
<비실험설계와 실험설계의 차이>
<비실험조사설계: 횡단적 설계>
<비실험조사설계: 종단적 설계>
<비실험조사설계: 패널연구설계(Panel Study Design)>
<실험조사설계의 기본요소와 분류기준>
<실험조사설계의 절차>
<실험조사설계의 형태>
<욕구조사>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2차적 자료 분석(secondary data analysis)>
<자료관찰 및 기록방법>
<자료수집방법 선택기준>
<통각시험법>
<투사법>
<모치수와 통계치>
<분석단위의 혼동에서 오는 오류>
<정상분포곡선의 특징>
<표본 크기의 실제적 결정요인>
<사업평가의 기법>
<사업평가조사>
<프로그램평가의 기준>
<프로그램 평가>
<루빈(Rubin&Rubin)의 평가의 단계>
<내용분석법>
<내용분석의 장점과 단점>
<조사보고서의 유형>
<PERT: 프로그램 평가검토 기법>
<Gantt Chart: 시간별 활동계획도표>
<과학적 연구의 특징>
<간주관성>
<연역법과 귀납법>
<쿤(Kuhn)의 과학적 혁명론>
<사회과학의 한계>
<사회복지조사의 개념>
<사회조사, 사회 서베이, 서베이 조사의 개념>
<과학적 조사의 단계>
<사회조사연구 특징>
<사회복지조사의 특징>
<조사방법>
<조사 목적에 의한 분류>
<설명적 조사>
<미시조사와 거시조사>
<순수조사(pure research)와 응용조사(applied research)>
<횡단조사>
<기술적 조사(descriptive research)>
<탐색적 조사(exploratory study)>
<실험조사>
<현지조사(field study)>
<통계조사(statiscal study) : 전수조사와 표본조사>
<사례조사와 서베이 조사>
< 우편조사의 장점>
< 전화면접조사의 장점>
<사회지표조사(social indicator analysis)>
<양적조사와 질적조사>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비교>
<면접(interview) 조사>
<관찰(observation) 조사>
<주요 정보제공자조사(key informant method)>
<일반인구조사(general population survey)>
<표적인구조사(target population survey)>
<패널조사(panel study)>
<경향조사(trend styudy)>
<동년배조사(cohort study)>
<응용조사(applied research)>
<평가조사(evaluation research)>
<가설의 정의와 형식>
<가설의 구비조건>
<가설의 기능>
<검증과정에 따른 연구가설의 구분>
<조작적 정의>
<공리, 공준, 정리>
<실험실내 실험>
<인간관계의 개념>
<필요조건, 충분조건, 필요충분조건>
<실험설계를 위한 기본조건>
<외생변수>
<외적 타당도와 저해요인>
<타당도의 종류>
<수렴적 타당도와 판별타당도>
<실험효과의 종류>
<표본설계 절차>
<통제집단 사후검사 설계>
<솔로몬 4집단 설계>
<요인설계>
<복수시계열 설계>
<구조화 면접>
<반구조화 면접>
<심층면접법>
<조직적 관찰과 비조직적 관찰>
<참여관찰, 준참여관찰, 비참여관찰>
<참여관찰자의 유형>
<관찰패러다임>
<변수>
<실험조사설계의 기본요소>
<실험조사설계 형태>
<조사설계>
<실험 디자인>
<비실험, 선실험, 유사실험 디자인>
<측정의 정의, 기능, 구조>
<측정수준에 따른 척도와 특성 비교>
<측정의 4등급>
<설문지 개발>
<설문지의 구성요소>
<설문지 작성법>
<신뢰도 평가방법>
<오류의 분류>
<표집의 정의>
<표집을 통한 조사의 특성(표본조사의 특성)>
<표집의 장점과 단점>
<표집 관련 용어>
<표집의 유형과 크기>
<시간표집방법>
<단순무작위표집법>
<체계적 표집>
<층화표집>
<집락표집>
<층화집락표집>
<가중표집법>
<편의표집>
<유의표집>
<척도>
<척도작성 과정>
<척도의 종류>
<평위척도(Tanking Scale): Thurstone척도>
<총화평정척도>
<리커트(Likert)척도>
<거트만(Guttman)척도>
<써스톤(Thurstone>)
<요인척도>
<어의적 분화(semantic differential; S. D.)>
<지수와 척도>
<지수의 구성>
<질문지법>
<쌍열질문(double-barreled question)>
<대인인터뷰(면접법)>
<전화 인터뷰>
<전자 서베이>
<간접관찰>
<문헌 연구>
<단일사례연구설계>
<단일사례 연구설계의 기초선(besideline)>
<단일사례연구의 절차>
<단일사례 연구설계의 유형>
<단일사계연구의 자료기록방법>
<개입의 결과>
<실험조건 충족정도에 따른 조사설계의 구분>
<비실험설계와 실험설계의 차이>
<비실험조사설계: 횡단적 설계>
<비실험조사설계: 종단적 설계>
<비실험조사설계: 패널연구설계(Panel Study Design)>
<실험조사설계의 기본요소와 분류기준>
<실험조사설계의 절차>
<실험조사설계의 형태>
<욕구조사>
<델파이 기법(delphi technique)>
<2차적 자료 분석(secondary data analysis)>
<자료관찰 및 기록방법>
<자료수집방법 선택기준>
<통각시험법>
<투사법>
<모치수와 통계치>
<분석단위의 혼동에서 오는 오류>
<정상분포곡선의 특징>
<표본 크기의 실제적 결정요인>
<사업평가의 기법>
<사업평가조사>
<프로그램평가의 기준>
<프로그램 평가>
<루빈(Rubin&Rubin)의 평가의 단계>
<내용분석법>
<내용분석의 장점과 단점>
<조사보고서의 유형>
<PERT: 프로그램 평가검토 기법>
<Gantt Chart: 시간별 활동계획도표>
본문내용
)인지 의사소통 향상 (4) 소급한계선
2) 자신 규정 척도
3) 행위 측정
(1) 클라이언트의 자기 관찰 (2) 부유적 관찰 (3) 상황검사와 생리학적 사정
<척도작성 과정>
1. 이론적 개념형성 : 문제의 속성을 인지하고, 이를 표현하는 이론적 개념 형성
2. 경험적 변수화 : 경험적 관찰이 가능한 변수
3. 경험적 지표화 : 변수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경험적 지표 선정
4. 척도작성 : 선정된 지표를 활용하여 지수와 척도를 작성함
<척도의 종류>
1. 평급척도(Rating Scale)
2. 평위척도(Tanking Scale) - Thurstone척도
3. 총화척도(Summated Rating Scale) - Likert형 척도법
4. 누적척도(Cumulative Scale) - Bogardus와 Guttman 척도
<평위척도(Tanking Scale): Thurstone척도>
1.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변수를 선택하고 이들 개념과 변수에 관한 진술이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거나 구축한다.
2. 가급적이면 많은 수의(대체로 15명 이상) 판단자의 협조를 얻어 그들로 하여금 각 진술(의견)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게 한다.
3. 판단자가 매긴 등급(점수)이 그 분포에 있어 지나치게 분산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불분명한 것이라 생각해서 이러한 진술은 제외시킨다.
4. 남은 진술 각각에게 판단자가 부여한 가자의 위치에 따라 척도 값을 매긴다. 이때의 척도 값은 위치의 번호점수와 동일하다.
5. 마지막으로 20개 정도의 문항을 한 극단에서 다른 극단으로 또는 긍정적인 것에 서 부정적인 것으로 고르게 분포하도록 선정한다. 이 때 판단자간에 일치도가 가장 높은 문항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총화평정척도>
1. 한 변수의 측정 질문들을 0(동의하지 않음)과 1(동의함)로 부호화한 척도
2. 모든 질문에 동의한 사람은 최대 점수, 모든 질문에 동의하지 않은 사람은 0점을 받음.
<리커트(Likert)척도>
1. 단순 합계에 의한 합산법(summated rating) 척도의 대표적인 방법
2. 서베이 조사 등의 자료 수집방법들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척도
3. 한 변수의 측정 질문들을 \'적극적으로 동의함\' 에서부터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음\'으로
코딩하여, 가능한 점수의 변량을 증가시키는 척도. 문항 간의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문항은 분석에서 제외.
4. 장점 : 용이성, 일관성, 객관성, 단순성, 정밀성
5. 단점 : 1) 서열적 측정치 : 등간척도 값이 아님 2) 일치성 결여 : 동일한 태도를 지닌 응답자들의 응답항목이 항상 일치한다고 보기 힘듦 구분의 난이성 : 문항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척도로 사용 표본의 대표성 확보 어려움 :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 선정이 어려움
<거트만(Guttman)척도>
1. 척도 구성의 문항들이 내용의 강도에 따라 일관성 있게 서열을 이루고 있어, 단일 차원적이고 누적적인 척도를 구성하는 방법.
2. 누적 스케일링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이 척도의 특징은 척도에 동원된 개별 문항들을 서열화하는 구성을 취함
3. 응답자의 응답이 누적적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오류로 간주, 일정한 오루 수준 이하일 때
척도로 활용 가능.
<써스톤(Thurstone>)
1. 등간척도의 한 예
2. 척도를 구성하는 각 문항에 대해 평가자들이 점수를 매기게 하여 중앙치를 척도값으로
결정하는 방식
3. 평가자들이 소홀하게 평가한 것이나 평가된 의견이 너무 엇갈리는 문항은 제거.
<요인척도>
1. 변수 간에 존재하는 상호관계의 유형을 밝히고, 밀접하게 연관된 변수의 묶음을 발견하여, 보다 적은 수의 가설적 변수, 즉 요인(factor)들로 축소시키기 위한 척도화
2. 장점: 1) 계산상 용이함 : 통계 프로그램 사용 2) 단일 차원성 : 각 요인척도는 단일 차원적이고 다른 요인척도들과의 독립성을 확보 3) 항목에 가중치 부여 : 항목과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가중치 부여- 연속점수 : 등간/비율 척도로 연속점수를 가짐
3. 단점: 1) 손수 계산이 어려움 :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으면 계산이 어렵다. 2) 분석을 위한 분석 : 문항 간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통계상으로 의미가 있더라도 이론적 가치가 없을 수 있음.
<어의적 분화(semantic differential; S. D.)>
1. 오스굳(Osgood), 쑤시(Suci), 태넌보움(Tannenbaum)이 개발
2. 고도로 지적이고, 언어적으로 유동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개념의 의미에 대해 직접적으로 질문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라고 봄
3. 하나의 개념에 대한 응답자들의 의견이나 태도를 몇개의 의미차원에서 직접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응답자들이 손쉽고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음
4. 평정척도 : 측정대상의 연속성을 전제로, 일정한 등급법에 따라 평가하는 척도
<지수와 척도>
1. 지수 : 개별적인 속성에 부여한 지표의 점수를 단순히 누가해서 구성한 것.
2. 척도 : 속성들의 유형에다 점수를 줌으로써 구성된 것.
<지수의 구성>
1. 문항선정
(1)안면타당성 (2)단일 차원성 (3)개념적 균형의 유지 (4)문항간의 통계적 상관성
2. 지수의 점수
(1)응답범주의 범위와 숫자부여 (2)지수문항의 가늠질 (3)자료분실의 극복
3. 지수의 타당성 검사
(1)내적 타당도 (2)외적 타당도
<질문지법>
1. 질문지법의 장점
면접법 실시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에 비하여 질문지법은 양쪽 모두가 절약된다.
응답자의 편의에 따라 질문에 대한 대답을 완성할 수 있다.
익명성이 있어서 응답자가 안심하고 마음대로 응답할 수 있다.
표준화된 언어구성으로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면접자의 편의가 배제될 수 있다.
응답자가 질문에 답하기 전에 개인적 기록을 참고하거나 동료와 상담할 수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넓은 범위에서 보다 쉽게 응답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
2. 질문지법의 단점
필요에 따라 질문의 요지를 설명할 수 없어서 융통성이 없다.
우편질문지법의 경우 질문지의 회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비언어적 행위나 다른 개인적 특성이 자료로 기록될 수 없다.
응답
2) 자신 규정 척도
3) 행위 측정
(1) 클라이언트의 자기 관찰 (2) 부유적 관찰 (3) 상황검사와 생리학적 사정
<척도작성 과정>
1. 이론적 개념형성 : 문제의 속성을 인지하고, 이를 표현하는 이론적 개념 형성
2. 경험적 변수화 : 경험적 관찰이 가능한 변수
3. 경험적 지표화 : 변수의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경험적 지표 선정
4. 척도작성 : 선정된 지표를 활용하여 지수와 척도를 작성함
<척도의 종류>
1. 평급척도(Rating Scale)
2. 평위척도(Tanking Scale) - Thurstone척도
3. 총화척도(Summated Rating Scale) - Likert형 척도법
4. 누적척도(Cumulative Scale) - Bogardus와 Guttman 척도
<평위척도(Tanking Scale): Thurstone척도>
1. 측정하고자 하는 개념이나 변수를 선택하고 이들 개념과 변수에 관한 진술이나 의견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거나 구축한다.
2. 가급적이면 많은 수의(대체로 15명 이상) 판단자의 협조를 얻어 그들로 하여금 각 진술(의견)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 정도에 따라 등급을 매기게 한다.
3. 판단자가 매긴 등급(점수)이 그 분포에 있어 지나치게 분산되어 있는 경우 이것은 불분명한 것이라 생각해서 이러한 진술은 제외시킨다.
4. 남은 진술 각각에게 판단자가 부여한 가자의 위치에 따라 척도 값을 매긴다. 이때의 척도 값은 위치의 번호점수와 동일하다.
5. 마지막으로 20개 정도의 문항을 한 극단에서 다른 극단으로 또는 긍정적인 것에 서 부정적인 것으로 고르게 분포하도록 선정한다. 이 때 판단자간에 일치도가 가장 높은 문항에 우선권이 주어진다.
<총화평정척도>
1. 한 변수의 측정 질문들을 0(동의하지 않음)과 1(동의함)로 부호화한 척도
2. 모든 질문에 동의한 사람은 최대 점수, 모든 질문에 동의하지 않은 사람은 0점을 받음.
<리커트(Likert)척도>
1. 단순 합계에 의한 합산법(summated rating) 척도의 대표적인 방법
2. 서베이 조사 등의 자료 수집방법들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척도
3. 한 변수의 측정 질문들을 \'적극적으로 동의함\' 에서부터 \'적극적으로 동의하지 않음\'으로
코딩하여, 가능한 점수의 변량을 증가시키는 척도. 문항 간의 일관성을 떨어뜨리는 문항은 분석에서 제외.
4. 장점 : 용이성, 일관성, 객관성, 단순성, 정밀성
5. 단점 : 1) 서열적 측정치 : 등간척도 값이 아님 2) 일치성 결여 : 동일한 태도를 지닌 응답자들의 응답항목이 항상 일치한다고 보기 힘듦 구분의 난이성 : 문항점수를 합산하여 총점을 척도로 사용 표본의 대표성 확보 어려움 : 모집단을 대표하는 표본 선정이 어려움
<거트만(Guttman)척도>
1. 척도 구성의 문항들이 내용의 강도에 따라 일관성 있게 서열을 이루고 있어, 단일 차원적이고 누적적인 척도를 구성하는 방법.
2. 누적 스케일링의 대표적인 형태이다. 이 척도의 특징은 척도에 동원된 개별 문항들을 서열화하는 구성을 취함
3. 응답자의 응답이 누적적으로 되어 있지 않으면 오류로 간주, 일정한 오루 수준 이하일 때
척도로 활용 가능.
<써스톤(Thurstone>)
1. 등간척도의 한 예
2. 척도를 구성하는 각 문항에 대해 평가자들이 점수를 매기게 하여 중앙치를 척도값으로
결정하는 방식
3. 평가자들이 소홀하게 평가한 것이나 평가된 의견이 너무 엇갈리는 문항은 제거.
<요인척도>
1. 변수 간에 존재하는 상호관계의 유형을 밝히고, 밀접하게 연관된 변수의 묶음을 발견하여, 보다 적은 수의 가설적 변수, 즉 요인(factor)들로 축소시키기 위한 척도화
2. 장점: 1) 계산상 용이함 : 통계 프로그램 사용 2) 단일 차원성 : 각 요인척도는 단일 차원적이고 다른 요인척도들과의 독립성을 확보 3) 항목에 가중치 부여 : 항목과 요인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가중치 부여- 연속점수 : 등간/비율 척도로 연속점수를 가짐
3. 단점: 1) 손수 계산이 어려움 :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으면 계산이 어렵다. 2) 분석을 위한 분석 : 문항 간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통계상으로 의미가 있더라도 이론적 가치가 없을 수 있음.
<어의적 분화(semantic differential; S. D.)>
1. 오스굳(Osgood), 쑤시(Suci), 태넌보움(Tannenbaum)이 개발
2. 고도로 지적이고, 언어적으로 유동적인 주제에 대해서는 개념의 의미에 대해 직접적으로 질문하는 것이 좀 더 효과적이라고 봄
3. 하나의 개념에 대한 응답자들의 의견이나 태도를 몇개의 의미차원에서 직접 평가하도록
함으로써 응답자들이 손쉽고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음
4. 평정척도 : 측정대상의 연속성을 전제로, 일정한 등급법에 따라 평가하는 척도
<지수와 척도>
1. 지수 : 개별적인 속성에 부여한 지표의 점수를 단순히 누가해서 구성한 것.
2. 척도 : 속성들의 유형에다 점수를 줌으로써 구성된 것.
<지수의 구성>
1. 문항선정
(1)안면타당성 (2)단일 차원성 (3)개념적 균형의 유지 (4)문항간의 통계적 상관성
2. 지수의 점수
(1)응답범주의 범위와 숫자부여 (2)지수문항의 가늠질 (3)자료분실의 극복
3. 지수의 타당성 검사
(1)내적 타당도 (2)외적 타당도
<질문지법>
1. 질문지법의 장점
면접법 실시에 따르는 시간과 비용에 비하여 질문지법은 양쪽 모두가 절약된다.
응답자의 편의에 따라 질문에 대한 대답을 완성할 수 있다.
익명성이 있어서 응답자가 안심하고 마음대로 응답할 수 있다.
표준화된 언어구성으로 모든 응답자에게 동일하게 적용된다.
면접자의 편의가 배제될 수 있다.
응답자가 질문에 답하기 전에 개인적 기록을 참고하거나 동료와 상담할 수 있어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넓은 범위에서 보다 쉽게 응답자에게 접근할 수 있다.
2. 질문지법의 단점
필요에 따라 질문의 요지를 설명할 수 없어서 융통성이 없다.
우편질문지법의 경우 질문지의 회수율이 낮아질 가능성이 높다.
비언어적 행위나 다른 개인적 특성이 자료로 기록될 수 없다.
응답
추천자료
2012년 2학기 사회복지조사론 중간시험과제물 A형(양적 조사에서의 접근 자세)
사회복지조사론 문제 및 정답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물 b형> 양적조사에서의 측정도구 타당도에 대해 논하시오.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물 a형> 양적조사에서의 접근 자세에 대해 논하시오
방통대 <사회복지조사론 과제물c형> 양적조사에서의 질문지 작성 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논하...
[사회복지조사론] 연구계획서 (인터넷중독 실태 조사 및 분석) ( 설문지포함)
사회복지조사론 - 양적 조사에서 측정도구의 타당도에 대해 논하시오
[사회복지조사론] 조사문제와 연구디자인(인과관계의 개념, 인과관계의 확인) 및 연구 디자인...
사회복지조사론 - 관찰법(관찰의 의의, 관찰법의 장점과 단점, 관찰법의 유형, 관찰의 내용, ...
[사회복지조사론] 실험조사설계의 타당도 - 내적타당도와 외적타당도의 의의와 저해요인 및 ...
[사회복지조사론] 실험조사설계의 유형별 장단점과 타당도의 문제 및 실험실 실험과 현지실험
[사회복지조사론] 표본추출의 개념과 장정 및 한계, 표본추출(표집) 관련용어, 표본조사의 절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