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물실험 반대근거
대안 >
찬성측에게 질문합니다
### 반대이유와 근거들
고통속에 자행되는 동물실험
‘탈리도마이드 사건’ 재현 말아야
전 세계가 동물실험금지 동참해야
찬성측에 질문
반대측에 질문
#반대측에서 찬성측에 대한 반박
# 반박자료
반대 결론
대안 >
찬성측에게 질문합니다
### 반대이유와 근거들
고통속에 자행되는 동물실험
‘탈리도마이드 사건’ 재현 말아야
전 세계가 동물실험금지 동참해야
찬성측에 질문
반대측에 질문
#반대측에서 찬성측에 대한 반박
# 반박자료
반대 결론
본문내용
동물실험 반대근거
동물실험이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어려운 수술이나 신약 개발을 위해 동물에게 실험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실험용 동물에는 마우스라 불리는 생쥐와 집쥐가 가장 많이 쓰이며 토끼, 원숭이, 돼지 등 야생동물보다 온순하고 수명이 짧도록 특별히 개발되며, 유전 및 환경적으로 이상이 없고 질병 등에 문제가 없어야 하므로 특별히 개발되어 관리 됩니다.실험동물들은 실험의 종류에 따라 종양 관련실험에 쓰이는 털이나지 않는 쥐인 누드마우스, 항상 몸을 떠는 쥐, 비만 쥐 등 인간의 필요에 의해 유전자를 변형시켜 만든 동물을 실험용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동물실험은 실효성과 윤리성 이 두 측면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윤리적인 문제로는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동물의 유전자 변형은 물론 배양, 교배, 시험, 해부, 재조합을 무분별하게 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신약 개발의 위한 임상실험 전 단계에는 반드시 동물 실험을 하도록 규정한 법은 동물실험의 무분별한 양산을 초래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동물 보호법에 규정되어있는 동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행한 자는 그 실험이 종료된 후 지체 없이 당해 동물을 검사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당해 동물이 회복될 수 없거나 지속적으로 고통을 받으며 살아야 할 것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고통을 주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라는 규정은 잘 지키지 않아 실험용 동물의 생명윤리와 복지문제를 지나치게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동물실험에 대한 실효성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실효성의 문제로 대표적으로 탈리도마이드를 들 수 있는데, 탈리도마이드는 부작용 없는 임산부들의 입덧방지 약으로 토끼, 개, 쥐 등 동물실험을 거쳐 유래 없을 정도로 안전한 약이라고 광고했지만 이 후 임산부가 복용한 약으로 전 세계 46개국에서 만 명 이상의 기형아가 탄생하였고 이 후 인체에 나타난 치명적 부작용을 재현하기 위해 개, 고양이, 햄스터 등 을 대상으로 재 실험 되었지만 탈리도마이드는 인간에게만 독성을 보일 뿐 이들 동물에게는 어떠한 독성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부작용은 합성 에스트로겐,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은 유산을 막기 위해 임신한 여성에게 처방했으나 자연유산, 조산, 신생아 사망, 기형이 나타났다. 개를 대상으로 실험했던 암 치료제, 노반트론은 인간 심장 기능 장애를 유발 등 여러 동물실험에서는 효과를 보았던 약이 인체에서는 독성을 유발 병을 생산해내 기형 및 장애는 물론 심지어 죽음을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오늘날에서야 밝혀진 사실로는 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으로는 1.16%에 그친다고 합니다.
따라서 저희 조는 실험동물의 권리와 복지를 위협하고 실효성 또한 낮은 동물 실험을 반대합니다.
대안 >
윤리성과 실효성이 낮은 동물실험은 동물실험이라는 방법대신 대안으로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임상실험, 역학조사, 시체해부를 통한 연구와 같이 다른 연구방법으로 유용한 결과를 도출해낸 방법을 점차 늘려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찬성측에게 질문합니다
1)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대표적인 학자는 미국의 저명한 마취학자와 수의사인 레이 그릭과 진 스윙글 그릭 부부로 이들은 공동집필한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이란 책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져있다.
이들은 동물실험을 통해 테스트된 약들이 인간에게 동일한 반응을 보일지 전혀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저서에 따르면 동물실험으로 개발된 의약품을 시장에 내놓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매년 합법적 의약품이 많은 사람을 죽게 한다.
매년 모든 입원환자의 15퍼센트에 해당하는 100만명의 환자가 약물 거부반응으로 죽게 되는데 이들 약물은 동물실험을 통해 개발됐다는 것인데 이 점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2) 과학 연구에 희생되는 동물들의 수를 아십니까? 2005년 미국 농무부의 통계에 따르면, 1177566마리의 영장류와 개, 돼지, 토끼, 기니피그, 햄스터,등의 동물종들이 실험 과정에 사용
동물실험이란 사람을 대상으로 하기 어려운 수술이나 신약 개발을 위해 동물에게 실험을 하는 것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실험용 동물에는 마우스라 불리는 생쥐와 집쥐가 가장 많이 쓰이며 토끼, 원숭이, 돼지 등 야생동물보다 온순하고 수명이 짧도록 특별히 개발되며, 유전 및 환경적으로 이상이 없고 질병 등에 문제가 없어야 하므로 특별히 개발되어 관리 됩니다.실험동물들은 실험의 종류에 따라 종양 관련실험에 쓰이는 털이나지 않는 쥐인 누드마우스, 항상 몸을 떠는 쥐, 비만 쥐 등 인간의 필요에 의해 유전자를 변형시켜 만든 동물을 실험용으로 사용합니다. 하지만 이 동물실험은 실효성과 윤리성 이 두 측면에서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윤리적인 문제로는 위에서 언급했던 것과 같이, 동물의 유전자 변형은 물론 배양, 교배, 시험, 해부, 재조합을 무분별하게 한다는 점에서 윤리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신약 개발의 위한 임상실험 전 단계에는 반드시 동물 실험을 하도록 규정한 법은 동물실험의 무분별한 양산을 초래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동물 보호법에 규정되어있는 동물을 사용하여 ‘실험을 행한 자는 그 실험이 종료된 후 지체 없이 당해 동물을 검사하여야 한다. 이 경우 당해 동물이 회복될 수 없거나 지속적으로 고통을 받으며 살아야 할 것 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가능한 빨리 고통을 주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처리하여야 한다.’ 라는 규정은 잘 지키지 않아 실험용 동물의 생명윤리와 복지문제를 지나치게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동물실험에 대한 실효성이 없다는 사실입니다. 실효성의 문제로 대표적으로 탈리도마이드를 들 수 있는데, 탈리도마이드는 부작용 없는 임산부들의 입덧방지 약으로 토끼, 개, 쥐 등 동물실험을 거쳐 유래 없을 정도로 안전한 약이라고 광고했지만 이 후 임산부가 복용한 약으로 전 세계 46개국에서 만 명 이상의 기형아가 탄생하였고 이 후 인체에 나타난 치명적 부작용을 재현하기 위해 개, 고양이, 햄스터 등 을 대상으로 재 실험 되었지만 탈리도마이드는 인간에게만 독성을 보일 뿐 이들 동물에게는 어떠한 독성도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부작용은 합성 에스트로겐, 디에틸스틸베스트롤은 유산을 막기 위해 임신한 여성에게 처방했으나 자연유산, 조산, 신생아 사망, 기형이 나타났다. 개를 대상으로 실험했던 암 치료제, 노반트론은 인간 심장 기능 장애를 유발 등 여러 동물실험에서는 효과를 보았던 약이 인체에서는 독성을 유발 병을 생산해내 기형 및 장애는 물론 심지어 죽음을 초래하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오늘날에서야 밝혀진 사실로는 인간과 동물이 공유하는 질병으로는 1.16%에 그친다고 합니다.
따라서 저희 조는 실험동물의 권리와 복지를 위협하고 실효성 또한 낮은 동물 실험을 반대합니다.
대안 >
윤리성과 실효성이 낮은 동물실험은 동물실험이라는 방법대신 대안으로 병을 앓고 있는 환자의 임상실험, 역학조사, 시체해부를 통한 연구와 같이 다른 연구방법으로 유용한 결과를 도출해낸 방법을 점차 늘려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찬성측에게 질문합니다
1) 동물실험에 반대하는 대표적인 학자는 미국의 저명한 마취학자와 수의사인 레이 그릭과 진 스윙글 그릭 부부로 이들은 공동집필한 \'탐욕과 오만의 동물실험\'이란 책으로 대중에게 잘 알려져있다.
이들은 동물실험을 통해 테스트된 약들이 인간에게 동일한 반응을 보일지 전혀 보장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이들의 저서에 따르면 동물실험으로 개발된 의약품을 시장에 내놓는 것은 매우 위험하며 매년 합법적 의약품이 많은 사람을 죽게 한다.
매년 모든 입원환자의 15퍼센트에 해당하는 100만명의 환자가 약물 거부반응으로 죽게 되는데 이들 약물은 동물실험을 통해 개발됐다는 것인데 이 점은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가?
2) 과학 연구에 희생되는 동물들의 수를 아십니까? 2005년 미국 농무부의 통계에 따르면, 1177566마리의 영장류와 개, 돼지, 토끼, 기니피그, 햄스터,등의 동물종들이 실험 과정에 사용
추천자료
[식품분석 및 실험] 유지의 화학적 성질
(생명윤리) 인체실험의 정의, 문제점, 정당화 조건, 법규, 우리의 견해
동물해방과 동물의 권리
[동물육종학 -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동물육종 및 개량방법]
흰쥐에서 콜레스테롤 첨가 고지방식이와 대조식이의 비교를 통한 건강기능평가 실험
[일반생물학 실험] 베네딕트에 의한 환원당의 측정
[NGO 분석] 동물자유연대 (동물보호 단체의 등장, 설립배경, 동물자유연대 핵심가치, 연혁, ...
탄수화물의 검출 및 소화효소 : 화학적 반응실험으로 탄수화물을 검정하고, 아밀라아제로 pH ...
[일반생물학 및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현미경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
[동물행동학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 로렌츠(Lorenz)의 각인이론, 보울비(Bowlby)의 애착이...
[동물생태학이론] 동물생태학적 이론 - 동물생태학의 주요개념(본능과 각인), 보울비(Bowlby)...
[동물행동학이론] 동물행동학적 이론 - 로렌츠의 각인이론, 보울비의 애착이론, 윌슨의 사회...
[동물매개심리치료] 동물매개치료의 역사와 연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