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한도전마케팅,무한도전성공사례,무한도전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한도전마케팅,무한도전성공사례,무한도전전략,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예견경쟁
2. New Power 준비 경쟁
3. 초기시장 장악 경쟁
1) <무한도전>의 Brand Elements
1)-(1) Brand Name
1)-(2) URLs
1)-(3) Logo
1)-(4) Characters
1)-(5) Slogans
1)-(6) Jingle
1)-(7) Packaging
2) POP와 POD
2)-(1) POP
2)-(2) POD
4. 주류시장 장악 경쟁
CBBE PYRAMID
1) 브랜드 현저성 BRAND SALIENCE
1)-(1) 시청자 경험 Customer Experience
1)-(2) 차별적 마케팅 Differentiated Marketing
2) 성과 PERFORMANCE
2-(1) 제작의도
2)-(2) 캐릭터
2)-(3) POP와 POD
3) 심상 IMAGERY
3)-(1) 무도팬 Profile
3)-(2) Usage Situation
4) 판단 JUDGEMENTS
4)-(1) 수상경력
4)-(2) 전문가 평가
5) 감정 FEELINGS
6) 반향, 공명 RESONANCE
6)-(1) 다음 팬카페 : “MBC <무한도전> 팬카페”
6)-(2) 디시인사이드 <무한도전> 갤러리 (디시무도갤)
6)-(3) 무도피디아
6)-(4) 리뷰북 (디시무도갤 팬들 제작)
5. 정상 리더십 경쟁
1) 시청률 평가 넘어선 프로그램, <무한도전>!
2) 2010년, <무한도전> 정상에서의 유혹에 빠지다?
3) 2011년, 정상확보와 더 큰 정상을 위한 <무한도전>의 다짐
3)-(1) <무한도전>의 타겟 고객층
3)-(2) <무한도전>, 예능 프로그램으로서의 정체성?
3)-(3) 2011년, <무한도전> 토요 예능 정상으로 복귀하다!
3)-(4) 2012년, 더 큰 정상으로의 <무한도전>!

본문내용

향하는 독특한 인사를 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1)-(6) Jingle
프로그램 시작 시 나오는 로고송은 경쾌한 음과 자동차 경적 소리가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 장난스러운 로고송의 느낌은 무한도전과 잘 어울린다.
1)-(7) Packaging
일반 상품이 아닌 무한도전의 특징상 Packaging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무한도전은 프로그램 내용을 토대로 한 여러 연계상품을 판매하고 있는데, 무한도전 달력이나 CD 등은 무한도전이라는 브랜드에 힘입어 높은 판매률을 보이고 있다.
2) POP와 POD
2)-(1) POP
※ POP(Point of Parity) : 리얼 버라이어티
‘리얼’은 리얼리티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리얼리티 프로그램의 가장 큰 특징은 일상생활 중 겪은 실제 사건들에 다양한 요소를 가미하여 재연함으로서 리얼리티 효과를 강화, 촉진하고자 하는 프로그램이라는 점이다. 혹은 시청자들이나 제작진들을 직접 참여시키면서 리얼리티 효과를 얻기도 한다. 이러한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보여주는 버라이어티와 리얼이라는 요소는 무한도전과 타 경쟁 리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들이 가지고 있는 POP, 공유되는 공통적인 요소이고 또 그로 인하여 높은 시청률을 유지하고 시청자들과 소통하며 시청자들에게 유쾌한 웃음, 공감 그리고 값진 감동을 주는 효과를 얻는다.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다양함을 뜻하는 버라이어티의 의미 그대로 코미디, 음악, 토크, 퀴즈는 물론 교양, 시사까지 포괄하는 복합적인 장르로서, 그 구성이 자유롭고 유행에도 상당히 민감하다는 특징을 지닌다.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예능프로그램 혹은 오락프로그램 일컫는 말로도 이해할 수 있다.
예능프로그램으로 대표되는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의 수명은 평균적으로 아주 짧다. 지금까지 방송됐던 수많은 버라이어티 프로그램 중 22년째 방송중인 <일요일 일요일 밤에>를 제외한 대부분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길어야 1년, 짧으면 6개월 정도 방송되고 종영하였다. 재미와 즐거움이 결여 되어 버린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게 되고 저조한 시청률의 이유로 종영하게 되는데 이처럼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시청자들의 판단과 반응이 즉각적이고 유행과 경향의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사회의 변화와 함께 호흡하지 못할 경우 쉽게 도태될 수밖에 없다.
그렇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5년이라는 시간동안 장수하고 있는 무한도전의 성공 비결은 무엇으로 볼 수 있는가? 그 이유는 바로 POP (Point of Parity)와 POD (Point of Difference)의 요소를 상호보완적으로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즉, 무한도전의 성공 비결은 POP의 요소의 중요성을 간과하지 않으며 POD, 차별화 요소를 두었기 때문이다. 그것이 바로 무한도전의 꾸준한 인기의 이유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무한도전의 타 경쟁 프로그램과의 POD, 차별화 요소는 무엇인가?
2)-(2) POD
※ POD (Point of Difference)
형식의 파괴
출연자의 개인적인 인간관계와 제작진의 참여
3C 정신 : Challenge / Creativeness / Change
김태호 PD만의 자막
공익적 요소/사회환원적 요소
형식의 파괴
타 경쟁 프로그램과 무한도전의 가장 큰 차별화 요소는 형식의 파괴이다.
무한도전이 생기기 전의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은 대부분 어떠한 특정한 포맷이 존재하고 게스트가 변경되는 시스템이었다. <동거동락>, <엑스맨>, <연애시대> 등이 그러한 대표적인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었다. 이런 프로그램들이 정해진 포맷과 게임으로 게스트들을 변경하면서 프로그램을 이끌어 나가는 형태가 대세를 이루고 있을 때 <무한도전>은 고정적인 MC와 멤버들을 두고 무포맷과 무형식의 형태를 지향하기 시작했다.
형식과 포맷을 정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진행을 하다 보니 MC와 멤버들이 중요하게 되었고 그로 인하여 제작진은 각 멤버들을 촬영 할 수 있게 MBC 측에 각 멤버를 찍을 수 있는 카메라를 요구했다. 그 당시에 버라이어티 프로그램이 6대의 카메라를 쓰는 경우가 있지 않았고 MBC와의 줄다리기 끝에 각 멤버를 촬영 할 수 6대의 카메라가 생겼고 MC와 멤버들의 하나하나의 작은 행동에 신경을 쓰고 또다른 포맷이 되어 멤버들의 작은 행동 하나하나가 에피소드를 낳을 새로운 형식의 버라이어티를 만들었다.
출연자의 개인적인 인간관계와 제작진의 참여
또 나아가 무한도전의 제작진들이나 출연자의 가족, 매니저, 스타일리스트 등이 종종 직접 출연하여 에피소드 내에서 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출연자의 개인적인 인간관계와 제작진의 참여 역시 무한도전과 타 경쟁 프로그램과의 차이를 보여주는 요소이다.
3C 정신 : Challenge / Creativeness / Change
무한도전의 3C정신의 실천 역시 POD로 볼 수 있다. 3C는 challenge, creativeness, change를 의미한다. 무한도전이라는 이름에서부터 무한도전은 항상 도전을 하고 있다는 것을 바로 알 수 있듯이 도전은 무한도전만의 컨셉이며 타 경쟁 프로그램과 차별화를 두는 대표적 요소이다. 도전은 일상생활에서의 소재로 하며 시청자의 생활과 밀접한 소재로 선택하여 시청자의 공감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예로 들어 무한도전은 드라마, 가요제, 스포츠댄스, 레슬링, 에어로빅, 벼농사 등 매번 새로운 도전을 한다. 또 멤버들의 도전하는 노력과 꾸밈없는 진솔한 모습을 보여주는 것 역시 무한도전만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무한도전의 창의력은 타 경쟁 프로그램과 비교를 논할 수 없을 정도로 언제나 시청자들의 허를 찌른다. 매번 참신하고 새로운 도전 과제를 생각해 내는 것도 그렇지만 무한도전의 창의력의 중심은 제작진이 만들어 내는 자막과 편집 그리고 여러 로고들이라고 볼 수 있고 이 역시 무한도전만의 차별화를 보여준다.
무한도전의 변화 역시 무한도전만의 차별화 요소이다. 무한도전의 변화라 하면 각 멤버들의 캐릭터들의 변화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무한도전에서 모든 멤버들은 계속해서 캐릭터를 변화 시키고 있다. 또한, 매번 다른 소재, 다른 프로젝트들에 도전함으로써 끊임없이 변화를 주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41페이지
  • 등록일2013.04.10
  • 저작시기2011.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8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