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회사 개요 ‥‥‥‥‥‥‥‥‥‥‥‥‥‥‥‥‥‥‥‥‥‥‥‥ 1
2. 비즈니스 개요 ‥‥‥‥‥‥‥‥‥‥‥‥‥‥‥‥‥‥‥‥‥‥ 3
Ⅱ. 본론
1. 구글라이제이션의 중심인 M&A 전략 ‥‥‥‥‥‥‥‥‥‥‥ 5
2. 구글은 왜 M&A에 열 올리는가? ‥‥‥‥‥‥‥‥‥‥‥‥‥ 5
3. 구글의 최근 기업 인수 ․ 합병(M&A) 동향 ‥‥‥‥‥‥‥‥‥ 7
4. 구글 M&A전략 사례① - 유튜브 ‥‥‥‥‥‥‥‥‥‥‥‥ 12
5. 구글 M&A전략 사례② - DoubleClick by Google ‥‥‥‥‥17
6. 구글의 M&A 문제점 ‥‥‥‥‥‥‥‥‥‥‥‥‥‥‥‥‥‥ 18
7. 현재 구글의 상황 ‥‥‥‥‥‥‥‥‥‥‥‥‥‥‥‥‥‥‥ 19
Ⅲ. 결론
Ⅳ. 참고문헌
1. 회사 개요 ‥‥‥‥‥‥‥‥‥‥‥‥‥‥‥‥‥‥‥‥‥‥‥‥ 1
2. 비즈니스 개요 ‥‥‥‥‥‥‥‥‥‥‥‥‥‥‥‥‥‥‥‥‥‥ 3
Ⅱ. 본론
1. 구글라이제이션의 중심인 M&A 전략 ‥‥‥‥‥‥‥‥‥‥‥ 5
2. 구글은 왜 M&A에 열 올리는가? ‥‥‥‥‥‥‥‥‥‥‥‥‥ 5
3. 구글의 최근 기업 인수 ․ 합병(M&A) 동향 ‥‥‥‥‥‥‥‥‥ 7
4. 구글 M&A전략 사례① - 유튜브 ‥‥‥‥‥‥‥‥‥‥‥‥ 12
5. 구글 M&A전략 사례② - DoubleClick by Google ‥‥‥‥‥17
6. 구글의 M&A 문제점 ‥‥‥‥‥‥‥‥‥‥‥‥‥‥‥‥‥‥ 18
7. 현재 구글의 상황 ‥‥‥‥‥‥‥‥‥‥‥‥‥‥‥‥‥‥‥ 19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월에 설립되었으며 이후 동영상 공유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으면서 순식간에 인터넷의 블루칩으로 떠올랐다. 구글이 유튜브를 인수한 배경에는 온라인 비디오가 사용자에게 폭넓게 받아 들여지는 환경적 변솨가 있었다. 브로드밴드 통신회선이 널리 보급 되어 비디오 공유 서비스를 지원하는 기술이 개선됨에 따라 , 유튜브로의 트래픽이 급증하였으며, 웹 트래픽을 측정하는 ‘힛와이즈’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유튜브의 온라인 비디오 시장에 있어서의 점유율은 45%에 가까웠다.
② 새롭게 부상하는 있는 온라인 비디오 시장에 대한 광범위한 투자전략의 일환으 로 유튜브를 인수
: 슈미트 CEO는 유튜브는 비디오 분야에서 구글이 계획하고 있는 “많은 투자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슈미트 CEO는 유튜브가 앞으로도 독자적으로 운영될 것이지만 사용자들에게 더 광범위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문적인 콘텐츠 보유자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주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③ 구글이 휴대폰 등의 디바이스를 팔려고 유튜브를 인수
: 세계적인 디바이스업체의 디바이스와 구글의 인터넷검색과 유튜브의 UCC콘텐츠가 결합된 팜랫폼을 상상해본다면 이는 분명 엄청난 플랫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의 리더쉽을 능가할 플랫폼은 떠올리기 어렵다. 즉, 구글은 디바이스 업체와의 제휴가 필수적이다. 결과론적이지만, 구글은 지난달 24일 대반 HTC와 함께 구글폰을 개발완료 발표를 하였고 이번달 22일 미국에서 판매 예정이다.
3) 구글이 제시한 조건
① 유튜브의 가격: 16억5000만달러(약 1조6000억원)
② 유튜브에 관련된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대형 소송을 대응해 줌
③ CBS, 유니버설 뮤직 그룹, 소니 BMG 뮤직 엔터테인먼트 등과 저작권 보호를 받 는 뮤직비디오 및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올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신 광고수익을 나눔.
4) 구글이 유튜브를 인수한 이유
① 유튜브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확보
유투브는 첫 서비스를 시작하여 1년 8개월만에 인터넷 비디오 시장의 1인자로 떠오르며 상당히 빠른 성공을 거두었다. 유투브는 미국에서만 매달 3400만명의 방문이 이루어지며, 매일 1억개의 비디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일 65,000개의 새로운 비디오가 올라온다. 숫자로만 봐서는 일단 유투브의 인지도나 확보한 사용자 수만으로도 값어치가 충분히 있는 회사다. 비디오 공유의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찾는 사이트로 거듭 날수 있기 때문이다.
② 구글의 몸값 올리기
1조 6천억원이라는 인수 값은 구글 역사상 가장 큰 지불이다. 유튜브M&A를 할 당시 구글의 시가총액은129조원에 달하고 유동성 자산은 9조 8천억원이다. 그 외에 유투브의 인수설로 구글의 시가총액은 대략 4조원의 상승을 가져왔다. 액수로만 따진다면 1조 6천억원은 정말 큰 금액이다 그러나 구글의 입장에서는 전혀 risk가 없다고 봐도 될 것이다.
③ 동영상 사업 확대
구글 최고경영자는 유튜브를 인수하는 것은 구글이 온라인 동영상 사업을 확대하는데 있어 수 많은 투자 중 하나라고 말하였다. 이어 \"구글이 자체 동영상 사이트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유튜브가 동영상 공유 분야에서 명백한 승자이기 때문에 인수를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자체 동영상 사이트도 계속 운영할 방침이다.
5) M&A 성과
<긍정적인효과>
① 유튜브 저작권 수익 모델화
비디오 검증기술로 콘텐츠 저작권자가 유튜브의 불법 동영상을 이용, 관리하거나 수익모델화할 수 있도록 해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로 구글의 독창적인 저작권 관리 기술이다. 비디오검증기술로 파악된 불법 업로드 컨텐츠는 저작권자에게 바로 통지하게 되고 이 때 저작권자는 공유금지, 추적, 수익모델화 중 한가지를 선택하게 된다. 즉, 저작권자가 요청하면 컨텐츠를 삭제할 수도 있고 컨텐츠 업로드 정보를 파악해 이용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광고를 붙여 저작권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튜브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 대체 방안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저작권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내놓았다. 미국인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동영상 사이트는 구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부문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컴스코어가 2007년 3월 현재 동영상 사이트 순위에서 구글은 5740만명의 사용자들이 12억개의 동영상 자료를 수록(전체의 16.7%), 이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유튜브가 차지하는 비중은 5350만명, 11억건으로 유튜브의 저력을 보여줬다.
폭발적 성장 동영상 광고시장 선점하기 위하여 구글은 미국 인터넷 동영상 시장 점유율이 \'구글 비디오\' 11%에서 유튜브(점유율 46%)을 합해 57%로 늘어났다. 구글은 나스닥시장에서 M&A를 한 다음날 8.50달러(2.02%) 오른 429달러를 기록했다.
② 구글은 유튜브 인수를 통해 정보와 비디오 프로그램이 한 곳에서 서비스되는 플랫폼을 마련했으며, 이는 광고 판매, 비디오 프로그램의 제작과 배급 등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유튜브는 2005년 출범한 이후 일반인들이 직접 제작한 비디오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 방송하면서 급속히 성장했는데, 기존의 거대 방송사가 아닌 일바 인들이 방송에 참여함으로써 수용자 중심의 매체로 여겨져 왔다. IT산업에서의 성공방정식은 플랫폼의 확대 및 플랫폼 리더쉽의 쟁취다. 인턴세 광고 수입의 비중이 높은 구글로서는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위해 또 다른 수입원을 찾아야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 유튜브는 새로운 매력적인 수입원이 된다. 구글은 유튜브를 인수함으로써 수용자 중심의 특징을 계속 유지하면서 구글의 기술과 결합해 텔레비전 시청자들이나 인터넷 사용자들의 비디오 프로그램 이요에 새로운 지평이 열리다고 바라봤다.
<부정적인 효과>
① 구글이 유튜브 인수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됐던 것은 바로 저작권이 었다. 유튜브는 2005년 11월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1천만명이 넘는 회원을 확보하면서 하루 1억개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게시, 미국 내에서 동영상 공유라는 새루운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냈다. 유튜브에 등록되는 동영상은 대부분 유저가 직접
② 새롭게 부상하는 있는 온라인 비디오 시장에 대한 광범위한 투자전략의 일환으 로 유튜브를 인수
: 슈미트 CEO는 유튜브는 비디오 분야에서 구글이 계획하고 있는 “많은 투자 가운데 하나”라고 말했다. 슈미트 CEO는 유튜브가 앞으로도 독자적으로 운영될 것이지만 사용자들에게 더 광범위한 경험을 제공하는 동시에 전문적인 콘텐츠 보유자들이 자신의 콘텐츠를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주력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③ 구글이 휴대폰 등의 디바이스를 팔려고 유튜브를 인수
: 세계적인 디바이스업체의 디바이스와 구글의 인터넷검색과 유튜브의 UCC콘텐츠가 결합된 팜랫폼을 상상해본다면 이는 분명 엄청난 플랫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플랫폼의 리더쉽을 능가할 플랫폼은 떠올리기 어렵다. 즉, 구글은 디바이스 업체와의 제휴가 필수적이다. 결과론적이지만, 구글은 지난달 24일 대반 HTC와 함께 구글폰을 개발완료 발표를 하였고 이번달 22일 미국에서 판매 예정이다.
3) 구글이 제시한 조건
① 유튜브의 가격: 16억5000만달러(약 1조6000억원)
② 유튜브에 관련된 저작권 침해와 관련된 대형 소송을 대응해 줌
③ CBS, 유니버설 뮤직 그룹, 소니 BMG 뮤직 엔터테인먼트 등과 저작권 보호를 받 는 뮤직비디오 및 콘텐츠를 웹사이트에 올릴 수 있도록 허용하는 대신 광고수익을 나눔.
4) 구글이 유튜브를 인수한 이유
① 유튜브를 사용하는 사용자를 확보
유투브는 첫 서비스를 시작하여 1년 8개월만에 인터넷 비디오 시장의 1인자로 떠오르며 상당히 빠른 성공을 거두었다. 유투브는 미국에서만 매달 3400만명의 방문이 이루어지며, 매일 1억개의 비디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매일 65,000개의 새로운 비디오가 올라온다. 숫자로만 봐서는 일단 유투브의 인지도나 확보한 사용자 수만으로도 값어치가 충분히 있는 회사다. 비디오 공유의 기술력뿐만이 아니라 인터넷에서 가장 많이 찾는 사이트로 거듭 날수 있기 때문이다.
② 구글의 몸값 올리기
1조 6천억원이라는 인수 값은 구글 역사상 가장 큰 지불이다. 유튜브M&A를 할 당시 구글의 시가총액은129조원에 달하고 유동성 자산은 9조 8천억원이다. 그 외에 유투브의 인수설로 구글의 시가총액은 대략 4조원의 상승을 가져왔다. 액수로만 따진다면 1조 6천억원은 정말 큰 금액이다 그러나 구글의 입장에서는 전혀 risk가 없다고 봐도 될 것이다.
③ 동영상 사업 확대
구글 최고경영자는 유튜브를 인수하는 것은 구글이 온라인 동영상 사업을 확대하는데 있어 수 많은 투자 중 하나라고 말하였다. 이어 \"구글이 자체 동영상 사이트를 가지고 있기는 하지만, 유튜브가 동영상 공유 분야에서 명백한 승자이기 때문에 인수를 결심했다\"고 설명했다. 구글은 자체 동영상 사이트도 계속 운영할 방침이다.
5) M&A 성과
<긍정적인효과>
① 유튜브 저작권 수익 모델화
비디오 검증기술로 콘텐츠 저작권자가 유튜브의 불법 동영상을 이용, 관리하거나 수익모델화할 수 있도록 해 저작권을 보호하는 기술로 구글의 독창적인 저작권 관리 기술이다. 비디오검증기술로 파악된 불법 업로드 컨텐츠는 저작권자에게 바로 통지하게 되고 이 때 저작권자는 공유금지, 추적, 수익모델화 중 한가지를 선택하게 된다. 즉, 저작권자가 요청하면 컨텐츠를 삭제할 수도 있고 컨텐츠 업로드 정보를 파악해 이용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광고를 붙여 저작권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유튜브의 저작권 문제에 대해서 대체 방안을 제시했을 뿐만 아니라 저작권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내놓았다. 미국인들이 가장 활발하게 활동한 동영상 사이트는 구글인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부문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컴스코어가 2007년 3월 현재 동영상 사이트 순위에서 구글은 5740만명의 사용자들이 12억개의 동영상 자료를 수록(전체의 16.7%), 이 부문 1위를 차지했다. 이 가운데 유튜브가 차지하는 비중은 5350만명, 11억건으로 유튜브의 저력을 보여줬다.
폭발적 성장 동영상 광고시장 선점하기 위하여 구글은 미국 인터넷 동영상 시장 점유율이 \'구글 비디오\' 11%에서 유튜브(점유율 46%)을 합해 57%로 늘어났다. 구글은 나스닥시장에서 M&A를 한 다음날 8.50달러(2.02%) 오른 429달러를 기록했다.
② 구글은 유튜브 인수를 통해 정보와 비디오 프로그램이 한 곳에서 서비스되는 플랫폼을 마련했으며, 이는 광고 판매, 비디오 프로그램의 제작과 배급 등 모든 부분에 영향을 미쳤다. 유튜브는 2005년 출범한 이후 일반인들이 직접 제작한 비디오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 방송하면서 급속히 성장했는데, 기존의 거대 방송사가 아닌 일바 인들이 방송에 참여함으로써 수용자 중심의 매체로 여겨져 왔다. IT산업에서의 성공방정식은 플랫폼의 확대 및 플랫폼 리더쉽의 쟁취다. 인턴세 광고 수입의 비중이 높은 구글로서는 사업의 포트폴리오를 위해 또 다른 수입원을 찾아야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 유튜브는 새로운 매력적인 수입원이 된다. 구글은 유튜브를 인수함으로써 수용자 중심의 특징을 계속 유지하면서 구글의 기술과 결합해 텔레비전 시청자들이나 인터넷 사용자들의 비디오 프로그램 이요에 새로운 지평이 열리다고 바라봤다.
<부정적인 효과>
① 구글이 유튜브 인수하는데 있어서 가장 큰 걸림돌이 됐던 것은 바로 저작권이 었다. 유튜브는 2005년 11월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1천만명이 넘는 회원을 확보하면서 하루 1억개 이상의 비디오 클립을 게시, 미국 내에서 동영상 공유라는 새루운 문화적 현상을 만들어냈다. 유튜브에 등록되는 동영상은 대부분 유저가 직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