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마트(walmart) 기업분석과 월마트 마케팅 전략분석및 월마트 성공,실패사례분석과 월마트 성공요인분석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월마트(walmart) 기업분석과 월마트 마케팅 전략분석및 월마트 성공,실패사례분석과 월마트 성공요인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월마트 기업소개

[본론]
1. 월마트 시스템분석
(1) Cross-docking System
(2) RFID 도입
(3) 전용 운송 시스템 구축
(4) 탄력적인 공급 시스템인 QR 시스템 구축

2. 월마트 SWOT분석
1) 강점 (S)
2) 약점 (W)
3) 기회 (O)
4) 위협 (T)

3. 월마트 마케팅믹스 4P 분석
(1) 점포계획 (Place)
(2) 가격전략 (Price)
(3) 상품전략 (Product)
(4) 촉진전략 (Promotion)

4. 월마트 STP 전략분석
(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2) 표적시장 설정(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5-1. 월마트 성공사례분석
영국
5-2. 월마트 실패사례분석
한국

6. 월마트 성공요인분석

참고문헌

본문내용

을 주력상품으로 내세웠으며 이는 한국 소비자들에게 부담으로 느껴졌을 것이다.
- 원스톱 쇼핑이 불가능한 매장
한국 소비자들은 쾌적한 쇼핑공간을 가족과 함께 방문하여 쇼핑을 비롯한 식사, 오락 등을 한꺼번에 해결하기를 원한다. 이에 국내 할인점은 복층 구조로 쇼핑공간과 식사, 오락공간을 마련하여 그 욕구를 충족시켰지만 월마트는 이를 도외시한 쇼핑만을 위한 넓은 단층 구조를 제시하였다.
- 도외 성곽의 상주인구가 적은 장소에 입지
앞으로도 이어질 경쟁사와의 갈동과도 관계가 있는 마지막 요인은 지점의 위치이다. 도시 외곽의 도로변에 할인점을 이치 시키면 교통이 편리해지고, 지가가 저렴하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는 반면에 당연히 그러한 환경에서는 상주인구가 적을 수밖에 없다. 이는 앞에서 말했듯이 동네 슈퍼 가듯이 할인점을 방문하는 한국인들의 매장 방문형태와 부합하지 못했다.
- ‘예상보다 강한’ 토종 할인점과의 경쟁에서 쓰러지다.
월마트와 까르푸 등 세계적으로 유통기업이 국내시장에서 철수하고 글로벌 브랜드의 무덤이라는 비판을 듣고 있는 것에는 현지 적응에 미숙했다는 것과 더불어 높은 진입 장벽이 존재하기 때문으로도 볼 수 있다. 즉 이미 시장을 선점해 충성도 높은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면서도 비용이나 부동산면에서 유리한 한국 업체들과 힘겨운 싸움을 벌여야 했으니 더욱 어려웠던 것이다.
- 시장 진입 초기 유리한 입지 선점 실패
일단 입지 선점에서 불리할 수밖에 없었다. 월마트는 서울에는 강남점 단 1개뿐인 것으로 짐작 할 수 있듯 점포 접근성에서 여타 할인점에 비해 떨어진다. 이러한 외곽과 지방에만 포진한 모양새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이는 월마트가 추구하는 입지 스타일이기도 하지만 월마트 진출 당시에는 이미 토종기업들이 다수 존재하였기 때문에 초기에 좋은 입지를 선점하는데 실패했기 때문이기도 하다.
- 출점 경쟁에서의 패배
당시 E-마트는 벌써 국내 10여개 점포를 가지고 있었다. 킴스클럽도 14개 점포를 보유했다. 하지만 월마트는 한국 상륙 후에도 출점경쟁을 벌이지 않고 영국계 홈플러스가 3년간 13개의 점포를 출점할 동안 단 몇 개의 지점만을 출점하였다. 월마트가 주춤하던 사이 타국의 할인점들은 공격적으로 매장을 늘려갔으며 그로 인해 월마트의 점포 장악 속도는 점점 뒤떨어지기 시작했다. 그 결과 입지 선점에서 뒤떨어지다보니 월마트 매장은 B급 입지가 많아졌고 주변에도 할인점이 산재하는 한국 소비자는 월마트가지 가지 않게 된 것이다. 월마트 본사조차 ‘한국에서 할인점이 이처럼 급성장할 줄 몰랐다. 잠시 주춤주춤 하던 사이 시장 주도권을 뺏겨버렸고 그게 최고 패인이 됐다’고 분석할 정도이다
‘한국에서는 불통인 월마트의 차별화‘
- 위성을 동원한 물류 시스템이 불필요한 한국특성
앞선 기업분석에서 제시했듯 월마트의 강점은 위성을 동원한 물류 시스템이다. 하지만 그것은 동서횡단에 1주일도 넘게 걸린다는 미국에서만 유효했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반나절도 채 걸리지 않는 작은 국토의 한국에서는 위성을 동원한 물류시스템이 전혀 강점으로 작용되지 못했던 것이다.
- 시행되기 어려우며, 모방된‘Everyday Low Price'
또 다른 월마트의 차별화는 ‘Everyday Low Price' 이다. 하지만 이것 역시 여의치 않았다. 글로벌 소싱으로는 가격경쟁력을 갖추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토종기업이 갖게 되는 부동산, 비용에 대한 이점을 월마트는 가질 수 없었으며, 동시에 월마트의 자랑이자 핵심 역량인 ’Low Price'또한 월마트인 POD(point of difference)가 아닌 모든 할인점의 핵심 역량으로 POP(point of parity)화 되어 차별화에 실패한 것이다.
6. 월마트 성공요인분석
- EDLP (Every Day Low Price)
대규모 배열체제, 전자문서 교환 실시로 영업 비용의 감소
물류 및 구매에 대한 규모의 경제 실현
선두적 물류 정보화 시스템 구축
- 현장 중심의 경영관라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사장 및 임원 주 4일 현장 경영 실시
매장간 커퓨니케이션 활동 강화
- Cross Docking System
100여 개의 도시 유통 물류 수요를 만족시킴
- 철저한 염가 정책
중소도시 및 외곽지역 공략
- 인간종중의 경영철학
이익공유제도
주식매입 할인제도
손실량 감소 장려제도
- POS System 구축
1998년 모든 점포 POS 도입 완료
바코드와 슬롯 스캐너 도입으로 실시간 재고 관리 가능
- QR System
발주에서 제품이 조달되는 기간을 단축
POS System 구축으로 실시간 구매상황 파악 가능
고객 니즈의 즉각적인 충족 지향
참고문헌
- ‘월마트의 고객은 사장이다’ (모리 다츠오, 1995년)
- ‘월마트 슈퍼마켓 하나로 세계유통을 지배하기까지’ (로버트 슬레이터, 2003년)
- ‘7인의 베스트 CEO' (제프리 크레임스, 2003년)
- ‘월마트 방식’ 마이클 (버그날 , 김원호)
http://atypical.egloos.com/808118
http://cafe.naver.com/gmakorea/11535
http://cafe.naver.com/32wh/42
http://cafe.naver.com/gmakorea/11548 좋은경영천사 카페
http://cafe.naver.com/walmart4525/12
< 목차 >
[서론]
월마트 기업소개
[본론]
1. 월마트 시스템분석
(1) Cross-docking System
(2) RFID 도입
(3) 전용 운송 시스템 구축
(4) 탄력적인 공급 시스템인 QR 시스템 구축
2. 월마트 SWOT분석.
1) 강점 (S)
2) 약점 (W)
3) 기회 (O)
4) 위협 (T)
3. 월마트 마케팅믹스 4P 분석
(1) 점포계획 (Place)
(2) 가격전략 (Price)
(3) 상품전략 (Product)
(4) 촉진전략 (Promotion)
4. 월마트 STP 전략분석
(1) 시장세분화(Segmentation)
(2) 표적시장 설정(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5-1. 월마트 성공사례분석
영국
5-2. 월마트 실패사례분석
한국
6. 월마트 성공요인분석
참고문헌
  • 가격5,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3.04.15
  • 저작시기201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39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