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차세대 정보통신 기술동향<Grid Computing>
1. 그리드 컴퓨팅의 개요
1) 그리드 컴퓨팅의 개념
2) 그리드 컴퓨팅의 원리
3) 그리드 컴퓨팅의 목적
2. 그리드 컴퓨팅의 분류
1) 활용형태에 따른 분류
2) 서비스 수준에 따른 분류
3) 구축 범위에 따른 분류
3. 그리드 컴퓨팅의 적용
1) 공공분야
2) 기업분야
3) 국가 차원의 그리드 구성
4. 그리드 컴퓨팅의 비전
5. 그리드 컴퓨팅과 미래 생활
1)유비쿼터스와 그리드
2)P2P의 등장
3)모바일 그리드
6. 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나의 견해
7. 참고자료
1. 그리드 컴퓨팅의 개요
1) 그리드 컴퓨팅의 개념
2) 그리드 컴퓨팅의 원리
3) 그리드 컴퓨팅의 목적
2. 그리드 컴퓨팅의 분류
1) 활용형태에 따른 분류
2) 서비스 수준에 따른 분류
3) 구축 범위에 따른 분류
3. 그리드 컴퓨팅의 적용
1) 공공분야
2) 기업분야
3) 국가 차원의 그리드 구성
4. 그리드 컴퓨팅의 비전
5. 그리드 컴퓨팅과 미래 생활
1)유비쿼터스와 그리드
2)P2P의 등장
3)모바일 그리드
6. 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나의 견해
7. 참고자료
본문내용
드 컴퓨팅이다. 그리드 컴퓨팅을 통하여 계산능력을 연결하고, 저장 공간을 연결하고, 각종 작업을 위한 것들을 연결한다. 이는 각각의 디지털 기기들을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 개념과 거의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리드 컴퓨팅이 기술적인 관점인 반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는 인간 중심적인 관점이다. 그리드 컴퓨팅에 인간을 고려하는 개념이 추가된 게 바로 유비쿼터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는 각종기술, 네트워크가 인간의 삶에 의미가 있어야 하고 현실 생활을 보조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결국 그리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적 발전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모바일이라는 이동성 개념이 그리드 컴퓨팅에 접목이 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구현된다.
2)P2P의 등장
인터넷 초기에는 원격접속(Telnet), 파일전송(FTP), 이메일 등이 주요 서비스였지만, 현재는 웹 서비스를 인터넷과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웹이 인터넷 서비스의 대부분을 통합하고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정보검색은 물론 파일전송, 이메일 등의 서비스까지 사용할 수 있다.
웹에서는 정보가 인터넷상의 웹 서버에 저장이 되고 하이퍼텍스트라는 형식으로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여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고 링크에 의해서 다른 홈페이지와 연결이 되어 정보를 불러 올 수 있다. 전 세계의 하이퍼텍스트가 이리저리로 연결된 모습이 마치 거미줄처럼 보이기 때문에 월드 와이드 웹(WWW)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이러한 웹은 웹 서버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이 되고 그 서버에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클라이언트가 접속이 되는 구조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웹 서비스 개념에서 더 나아가 P2P(Peer To Peer)라는 서비스가 있다. 서버가 아닌 인터넷상의 수많은 개인용 컴퓨터들끼리 직접 연결되면서 데이터가 서로 공유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P2P프로그램을 통해 영화나 MP3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용도로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이렇게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수많은 파일들을 자유롭게 주고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데이터 공유에 대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불법복제와 같은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점도 이슈가 되고 있기도 하다. P2P는 그리드 컴퓨팅 중에서 데이터 그리드 형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리바다\"라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이다. 개인 사용자 관점에서는 컴퓨팅 파워 이슈보다는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니즈가 더욱 강하기 때문에 데이터 공유라는 측면에서 그리드 컴퓨팅을 접할 기회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3)모바일 그리드
휴대폰, PDA,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이동형 그리드 컴퓨팅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휴대폰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게 되면 바로 그 휴대폰은 가상 슈퍼컴퓨터의 사용자 단말기가 된다. 또한 모바일 그리드 망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 마이크, 카메라, 동작센서 등등의 정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지에 있는 방문중인 개인 사용자는 현장에서 그리드 서비스 요청을 받고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유비쿼터스 정보제공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개인의 이동성과 센싱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정보제공에 대한 대가를 받는 서비스로의 발전도 가능한 것이다.
6.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나의 견해
개인 관점에서는 이렇게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통합 관리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또한 제 능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컴퓨팅 파워들을 잘 이용할 필요성도 있다. 집안내의 인터넷 냉장고, 디지털 TV등의 정보가전에 내장된 컴퓨터를 잘 활용만 해도 훌륭한 개인 분산 컴퓨팅 환경이 될 것이다. 이렇게 유선 및 무선 환경 속의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수많은 디지털 기기들을 연결하여 마치 하나의 기기처럼 활용을 하는 퍼스널 그리드 서비스가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이라는 기술이 개발되고 웹이라는 서비스가 생활 속에 큰 영향을 미쳤듯이, 그리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그리스 서비스가 제2의 인터넷 생활 혁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모든 초고속 네트워크 서비스는 그리드 컴퓨팅을 통해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만큼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은 앞으로 우리 정보통신생활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게 될 기술이다.
이전부터 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이렇다할 큰 성과가 없었다. 요즘들어 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신기술들이 개발되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다시 한번 그리드 컴퓨팅에 대해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제 그리드를 이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생각할 때이다. 현재 한국도 세계 각국의 그리드 기술 개발 및 프로젝트들을 벤치마킹 하여 향후 그리드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하고 국가 그리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제 세부적인 기술 개발 및 그리드 관련 프로젝트들이 잘 추진되어 지식 강국 그리드 강대국으로 가는 초석을 잘 다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7.참고자료
[1] https://www.ibm.com/kr/eserver/grid/
[2] http://www.kisti.re.kr/~trend/Content524/computer22.html
[3] http://www.cs.virginia.edu/~sp2kn/paper/ms_thesis.pdf
[4] http://hepgrid.knu.ac.kr/talks/grid_product/2002/kiss_0826.hwp
[5] http://www.sun.com/servicelist/ps/gridcomputingarchitectureworkshop-kr-kr-20030915.html
[6] http://www.kotech.org/infomation/sense_view.asp?num=17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그리드 컴퓨팅이 기술적인 관점인 반면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는 인간 중심적인 관점이다. 그리드 컴퓨팅에 인간을 고려하는 개념이 추가된 게 바로 유비쿼터스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유비쿼터스는 각종기술, 네트워크가 인간의 삶에 의미가 있어야 하고 현실 생활을 보조해 줄 수 있어야 한다. 결국 그리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적 발전을 바탕으로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더욱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모바일이라는 이동성 개념이 그리드 컴퓨팅에 접목이 되면서 언제, 어디서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고 각종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는 유비쿼터스 네트워크가 구현된다.
2)P2P의 등장
인터넷 초기에는 원격접속(Telnet), 파일전송(FTP), 이메일 등이 주요 서비스였지만, 현재는 웹 서비스를 인터넷과 거의 동일한 개념으로 이해를 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웹이 인터넷 서비스의 대부분을 통합하고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웹 브라우저만 있으면 정보검색은 물론 파일전송, 이메일 등의 서비스까지 사용할 수 있다.
웹에서는 정보가 인터넷상의 웹 서버에 저장이 되고 하이퍼텍스트라는 형식으로 서로 연결이 되어 있다. 인터넷 주소를 사용하여 해당 홈페이지에 접속을 하고 링크에 의해서 다른 홈페이지와 연결이 되어 정보를 불러 올 수 있다. 전 세계의 하이퍼텍스트가 이리저리로 연결된 모습이 마치 거미줄처럼 보이기 때문에 월드 와이드 웹(WWW)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하지만 이러한 웹은 웹 서버를 중심으로 네트워크가 형성이 되고 그 서버에 개인용 컴퓨터와 같은 클라이언트가 접속이 되는 구조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웹 서비스 개념에서 더 나아가 P2P(Peer To Peer)라는 서비스가 있다. 서버가 아닌 인터넷상의 수많은 개인용 컴퓨터들끼리 직접 연결되면서 데이터가 서로 공유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P2P프로그램을 통해 영화나 MP3파일을 다운로드 받는 용도로 많이 활용이 되고 있다. 이렇게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수많은 파일들을 자유롭게 주고 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데이터 공유에 대한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게 되었다. 하지만 불법복제와 같은 저작권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점도 이슈가 되고 있기도 하다. P2P는 그리드 컴퓨팅 중에서 데이터 그리드 형태의 한 예라고 할 수 있으며, 국내에서는 \"소리바다\"라는 프로그램이 대표적인 예이다. 개인 사용자 관점에서는 컴퓨팅 파워 이슈보다는 이러한 데이터에 대한 니즈가 더욱 강하기 때문에 데이터 공유라는 측면에서 그리드 컴퓨팅을 접할 기회가 많을 것으로 보인다.
3)모바일 그리드
휴대폰, PDA, 노트북과 같은 모바일 기기들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이동형 그리드 컴퓨팅 환경을 구성할 수 있다. 휴대폰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을 하게 되면 바로 그 휴대폰은 가상 슈퍼컴퓨터의 사용자 단말기가 된다. 또한 모바일 그리드 망에 연결되어 있는 다른 사람의 휴대폰 마이크, 카메라, 동작센서 등등의 정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광지에 있는 방문중인 개인 사용자는 현장에서 그리드 서비스 요청을 받고 해당 정보를 수집하여 실시간으로 제공해주는 유비쿼터스 정보제공자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개인의 이동성과 센싱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정보제공에 대한 대가를 받는 서비스로의 발전도 가능한 것이다.
6.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나의 견해
개인 관점에서는 이렇게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들을 통합 관리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또한 제 능력을 활용하지 못하는 컴퓨팅 파워들을 잘 이용할 필요성도 있다. 집안내의 인터넷 냉장고, 디지털 TV등의 정보가전에 내장된 컴퓨터를 잘 활용만 해도 훌륭한 개인 분산 컴퓨팅 환경이 될 것이다. 이렇게 유선 및 무선 환경 속의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수많은 디지털 기기들을 연결하여 마치 하나의 기기처럼 활용을 하는 퍼스널 그리드 서비스가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인터넷이라는 기술이 개발되고 웹이라는 서비스가 생활 속에 큰 영향을 미쳤듯이, 그리드 컴퓨팅이라는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그리스 서비스가 제2의 인터넷 생활 혁명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모든 초고속 네트워크 서비스는 그리드 컴퓨팅을 통해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만큼 그리드 컴퓨팅 시스템은 앞으로 우리 정보통신생활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하게 될 기술이다.
이전부터 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이렇다할 큰 성과가 없었다. 요즘들어 그리드 컴퓨팅에 대한 신기술들이 개발되고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면서 다시 한번 그리드 컴퓨팅에 대해 전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시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이제 그리드를 이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생각할 때이다. 현재 한국도 세계 각국의 그리드 기술 개발 및 프로젝트들을 벤치마킹 하여 향후 그리드 관련 프로젝트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하고 국가 그리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이제 세부적인 기술 개발 및 그리드 관련 프로젝트들이 잘 추진되어 지식 강국 그리드 강대국으로 가는 초석을 잘 다질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7.참고자료
[1] https://www.ibm.com/kr/eserver/grid/
[2] http://www.kisti.re.kr/~trend/Content524/computer22.html
[3] http://www.cs.virginia.edu/~sp2kn/paper/ms_thesis.pdf
[4] http://hepgrid.knu.ac.kr/talks/grid_product/2002/kiss_0826.hwp
[5] http://www.sun.com/servicelist/ps/gridcomputingarchitectureworkshop-kr-kr-20030915.html
[6] http://www.kotech.org/infomation/sense_view.asp?num=17
키워드
추천자료
텔레매틱스 정의,기술,동작원리,연구동향
텔레매틱스의 정의, 기술, 동작원리, 연구동향, 활용분야에 대한 세미나자료
[나노][나노기술][나노분말][나노텍][나노소재][나노분말 특허출원][나노기술 전망]나노기술...
지노믹스와 프로테오믹스 연구의 중요성 및 사용기술의 종류, 최근 연구동향 분석
[CDMA][CDMA기술][주파수][이동통신][디지털][CDMA 특징][CDMA관련 디지털 기술][CDMA 장점][...
[HSDPA]HSDPA 기술의 이해와 활용, HSDPA의 주요 특징과 핵심기술(AMC, H-ARQ, Node B 스케줄...
OLED의 개요, 핵심기술, 기술개발 동향, 개선점 및 관련특허분석, 시장분석 발표 자료
VoIP 개요 및 기술, 동작 원리, 동향, 특성, 이용자 측면,서비스 차원에서의 장점과 단점
[게놈][게놈 특허성][게놈 연구][게놈 유전정보][DNA][게놈 기술 동향][게놈 문제점]게놈의 ...
[게놈][게놈프로젝트][제4의 물결][게놈 기술개발 동향][게놈 연구 사례][게놈 문제점]게놈의...
[VoIP] 차세대 전화 VoIP(인터넷전화) 서비스의 모든 것 - VoIP의 개념 및 장단점, 필요성, V...
[부직포공학] Dry-lay 부직포 제조방법별 특징 및 용도& 부직포 신기술 제품 및 동향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 동향 및 중소기업 육성 방안 (2013) _㈜엠앤엠 네트웍스 (초연결 사회...
Essay. 인지기술 관련 기술 동향에 대한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