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브레인스토밍 (Brainstorming)
1.브레인스토밍
1) 브레인스토밍
2) 카드 브레인스토밍 법
3) 브레인라이팅 법
4) P사의 브레인스토밍 법
2.브레인스토밍에 관한 선행연구
3.브레인스토밍의 목적
[2]트리즈 (TRIZ)
1.개요
2.TRIZ의 특징
1) 발명문제 (Inventive Problem)
2) 발명의 수준 (Level of Solution)
3) 발명의 규칙성 (Regularities of Invention)
4) 진화의 법칙 (Laws of Evolution)
3.TRIZ 의 모순과 해결책
4.TRIZ 의 도입과 활동 History
5.TRIZ 활동
1) 프로젝트의 수행
2) 문제해결 역량강화
3) 창의성 전파
6.TRIZ 활동의 어려움
1) 심리적 관성
2) 잘못된 목표설정
3) 지식의 부족
4) 모순해결 회피
참고문헌
1.브레인스토밍
1) 브레인스토밍
2) 카드 브레인스토밍 법
3) 브레인라이팅 법
4) P사의 브레인스토밍 법
2.브레인스토밍에 관한 선행연구
3.브레인스토밍의 목적
[2]트리즈 (TRIZ)
1.개요
2.TRIZ의 특징
1) 발명문제 (Inventive Problem)
2) 발명의 수준 (Level of Solution)
3) 발명의 규칙성 (Regularities of Invention)
4) 진화의 법칙 (Laws of Evolution)
3.TRIZ 의 모순과 해결책
4.TRIZ 의 도입과 활동 History
5.TRIZ 활동
1) 프로젝트의 수행
2) 문제해결 역량강화
3) 창의성 전파
6.TRIZ 활동의 어려움
1) 심리적 관성
2) 잘못된 목표설정
3) 지식의 부족
4) 모순해결 회피
참고문헌
본문내용
스템의 진화유형을 알게 되면 자사의 시스템이 어디를 향하고 있고, 경쟁자의 시스템이 어떻게 변할지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진화의 유형은 혁신적인 해법들을 창출하는데 직접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단 시스템의 진화 혹은 발전의 경로가 정의되고 나면 거기에 필요한 혁신 혹은 발명은 보다 쉬워진다. 만일 그것들이 모순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TRIZ의 다른 도구들을 이용하면된다.
3.TRIZ의 모순과 해결책
알츠슐러는 TRIZ 계발 초기에 누가 보아도 창의적이라고 인정되는 특허 4 만 건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모순을 극복하는 공통점을 찾아냈다. 그래서 모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였고, 모순을 물리적 모순과 기술적 모순 2가지로 분류하였다. 우선 물리적 모순을 해결한 특허 2만 건 가량을 분석하여 물리적 모순을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공통의 원리로서 ‘분리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기술적 모순을 해결한 특허 2만 건 가량을 분석하여 ‘40가지 발명원리’를 도출하였다.
TRIZ를 적용하는 가장 간단하고도 확실한 방법이란 문제를 분석해서 기술적 모순이면 40가지 발명원리를 적용하고, 물리적 모순이면 분리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4.TRIZ의 도입과 활동 History
L사의 TRIZ 도입과 활동에 대한 History에 대해서 이다.
1995년 생산기술원을 통해 TRIZ를 국내 최초로 도입을 하였으나, 사업장별 자체적인 학습과 활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TRIZ 기법의 국내 최초 적용 사례인 ‘에어컨 소음 절감’ 기술계발이 성공사례로 남아있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TRIZ기법이 사업장별 자체활동으로 명분을 유지하다가 TRIZ 전문가의 지원 및 활동이 없어 결국 활동 자체의 답보상태가 되었다.
2005년에 생산기술팀에 전담조직을 다시 만들고 새롭게 활동을 시작하였다.
생산기술원의 전담조직은 여러 사업부의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주로 원가절감, 공정혁신, 신제품 개발, 고질문제 해결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음은 물론, 사업장의 조직 구성원의 역량 :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이나 기량, 힘의 분량.
역량강화 활동도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는 창의적 문제해결 리더 양성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TRIZ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10년 10월에는 TRIZ 마스터인 ‘Simon Litvin\'박사를 초청해 세미나를 진행해왔으며, 이 세미나에서 임직원이 참석해서 참석자 스스로가 창의성에 대해 공유하고 토론하면서, 스스로 변해야 한다는 교훈도 얻을 수 있었다.
2011년 2월에는 TRIZ 학회의 임직원을 초대하여 세미나가 열렸으며, TRIZ 방법론에 대한 소개와 함게 삼성전자와 포스코의 TRIZ 적용현황과 L사의 TRIZ 사례를 공유하면서 120여명의 세미나 참석자는 TRIZ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5.TRIZ 활동
2005년부터 새롭게 시작한 L사의 TRIZ 활동은 2011년 생산기술원 중심의 TRIZ 활동을 살펴보았다.
1) 프로젝트의 수행
프로젝트 유형은 원가절감, 공정혁신, 신제품 개발, 고질문제의 해결등을 TDR(Tear Doen & Redesign) 조직에 참가하여 직접 활동을 하는 것이며, 다양한 사업장의 과제 수행을 통해 특허 확보 및 원가절감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활동 사례로는 냉장고 사업부의 개발에 참여해서 사용 편의성 개선, Neck 문제해결, 신기능 개발에 참여하였다. Display 사업부의 개발에 명실 명암비 향상을 위한 PDP 필터 개발과 신개념 체결 구조 도출 등 TRIZ를 활용한 프로젝트가 Best practice로 인정을 받았다.
또한, 계열사에도 프로젝트 참여로 Display용 Glass 파손방지, Cell공정혁신 등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 활동에서 성공을 인정받았다.
2) 문제해결 역량강화
L사 조직 구성원의 역량향상을 위해 TRIZ 교육 과정개발 및 운영을 하였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조직 구성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실제 과제 수행에 병행함으로써 TRIZ 적용 Best practice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일을 통한 경험까지 확보하는 Core-man 확보를 하게 되었다.
3) 창의성 전파
사내 뉴스레터 발행을 통하여 사업장내 조직 구성원들을 위한 TRIZ 이론 홍보와 사례를 공유하였다. 이러한 뉴스레터를 한 방향 커뮤니케이션만 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궁금증 해소를 해결해 주는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도 확보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물론 Creative Workshop 결성 및 창의성 공유의 장을 Off-line에서 만들어 L사 내 TRIZ 활동을 전파하였다.
6. TRIZ 활동의 어려움
L사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TRIZ를 도입 하였으나, 조직 구성원들의 활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나타났다.
TRIZ 문제해결 Process중에서 Generate 단계에서 혁신적인 Solution 발상 즉,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장애가 나타났다
1) 심리적 관성
조직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을 만족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버리는 것이다.
2) 잘못된 목표설정
잘못된 목표 설정으로 TRIZ의 모순을 잘못 설정해서 아이디어의 방향이 틀어진 거이다.
3) 지식의 부족
지식의 부족으로 TRIZ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이 없어서 막연한 두려움으로 머뭇거리는 것이다.
4) 모순해결 회피
모순의 해결을 회피함으로써 도출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고객의 요구와 일치하는 여부에 대한 두려움으로 아이디어를 쉽게 채택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네 가지 이유로 TRIZ 활동 중 아이디어 발상에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신민정, 『브레인스토밍』, 거름, 2003
정명진, 『브레인스토밍 100배 잘하기』, 21세기 북스, 2003
김효준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 인피니티북스, 2009
나자 『슈네츨리(강신작 역) 아이디어 머신』, 크레듀, 2006
박성균, 『알기 쉬운 TRIZ』, 인터비젼, 2005
한국 TRIZ협회, 『비즈니스 TRIZ』, 교보문고, 2009
3.TRIZ의 모순과 해결책
알츠슐러는 TRIZ 계발 초기에 누가 보아도 창의적이라고 인정되는 특허 4 만 건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모순을 극복하는 공통점을 찾아냈다. 그래서 모순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하였고, 모순을 물리적 모순과 기술적 모순 2가지로 분류하였다. 우선 물리적 모순을 해결한 특허 2만 건 가량을 분석하여 물리적 모순을 해결하는데 사용되는 공통의 원리로서 ‘분리의 원리’를 도출하였으며, 기술적 모순을 해결한 특허 2만 건 가량을 분석하여 ‘40가지 발명원리’를 도출하였다.
TRIZ를 적용하는 가장 간단하고도 확실한 방법이란 문제를 분석해서 기술적 모순이면 40가지 발명원리를 적용하고, 물리적 모순이면 분리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이다.
4.TRIZ의 도입과 활동 History
L사의 TRIZ 도입과 활동에 대한 History에 대해서 이다.
1995년 생산기술원을 통해 TRIZ를 국내 최초로 도입을 하였으나, 사업장별 자체적인 학습과 활용으로 인해 어려움을 많이 겪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TRIZ 기법의 국내 최초 적용 사례인 ‘에어컨 소음 절감’ 기술계발이 성공사례로 남아있다.
이러한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TRIZ기법이 사업장별 자체활동으로 명분을 유지하다가 TRIZ 전문가의 지원 및 활동이 없어 결국 활동 자체의 답보상태가 되었다.
2005년에 생산기술팀에 전담조직을 다시 만들고 새롭게 활동을 시작하였다.
생산기술원의 전담조직은 여러 사업부의 창의적 문제해결 활동을 지원하고 있으며, 주로 원가절감, 공정혁신, 신제품 개발, 고질문제 해결 등의 과제를 수행하고 있음은 물론, 사업장의 조직 구성원의 역량 : 어떤 일을 해낼 수 있는 힘이나 기량, 힘의 분량.
역량강화 활동도 지원을 하고 있다.
특히, 2010년부터는 창의적 문제해결 리더 양성을 위한 활동의 일환으로 TRIZ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있다.
또한, 2010년 10월에는 TRIZ 마스터인 ‘Simon Litvin\'박사를 초청해 세미나를 진행해왔으며, 이 세미나에서 임직원이 참석해서 참석자 스스로가 창의성에 대해 공유하고 토론하면서, 스스로 변해야 한다는 교훈도 얻을 수 있었다.
2011년 2월에는 TRIZ 학회의 임직원을 초대하여 세미나가 열렸으며, TRIZ 방법론에 대한 소개와 함게 삼성전자와 포스코의 TRIZ 적용현황과 L사의 TRIZ 사례를 공유하면서 120여명의 세미나 참석자는 TRIZ에 대한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었다.
5.TRIZ 활동
2005년부터 새롭게 시작한 L사의 TRIZ 활동은 2011년 생산기술원 중심의 TRIZ 활동을 살펴보았다.
1) 프로젝트의 수행
프로젝트 유형은 원가절감, 공정혁신, 신제품 개발, 고질문제의 해결등을 TDR(Tear Doen & Redesign) 조직에 참가하여 직접 활동을 하는 것이며, 다양한 사업장의 과제 수행을 통해 특허 확보 및 원가절감 효과에 기여하고 있다. 주요 활동 사례로는 냉장고 사업부의 개발에 참여해서 사용 편의성 개선, Neck 문제해결, 신기능 개발에 참여하였다. Display 사업부의 개발에 명실 명암비 향상을 위한 PDP 필터 개발과 신개념 체결 구조 도출 등 TRIZ를 활용한 프로젝트가 Best practice로 인정을 받았다.
또한, 계열사에도 프로젝트 참여로 Display용 Glass 파손방지, Cell공정혁신 등 원가절감과 생산성 향상 활동에서 성공을 인정받았다.
2) 문제해결 역량강화
L사 조직 구성원의 역량향상을 위해 TRIZ 교육 과정개발 및 운영을 하였으며, 이러한 교육으로 조직 구성원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실제 과제 수행에 병행함으로써 TRIZ 적용 Best practice를 확보하는 것은 물론 일을 통한 경험까지 확보하는 Core-man 확보를 하게 되었다.
3) 창의성 전파
사내 뉴스레터 발행을 통하여 사업장내 조직 구성원들을 위한 TRIZ 이론 홍보와 사례를 공유하였다. 이러한 뉴스레터를 한 방향 커뮤니케이션만 하는 것이 아니라 네트워크를 통해 조직 구성원들의 궁금증 해소를 해결해 주는 등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채널도 확보하고 운영하고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물론 Creative Workshop 결성 및 창의성 공유의 장을 Off-line에서 만들어 L사 내 TRIZ 활동을 전파하였다.
6. TRIZ 활동의 어려움
L사는 창의적 문제해결을 위해 TRIZ를 도입 하였으나, 조직 구성원들의 활용하기가 어려운 점이 나타났다.
TRIZ 문제해결 Process중에서 Generate 단계에서 혁신적인 Solution 발상 즉,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의 장애가 나타났다
1) 심리적 관성
조직 구성원의 지식과 경험으로 인해 고객이 요구하는 품질을 만족하기 어렵다고 생각해 버리는 것이다.
2) 잘못된 목표설정
잘못된 목표 설정으로 TRIZ의 모순을 잘못 설정해서 아이디어의 방향이 틀어진 거이다.
3) 지식의 부족
지식의 부족으로 TRIZ에 대한 교육이나 경험이 없어서 막연한 두려움으로 머뭇거리는 것이다.
4) 모순해결 회피
모순의 해결을 회피함으로써 도출된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고객의 요구와 일치하는 여부에 대한 두려움으로 아이디어를 쉽게 채택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 네 가지 이유로 TRIZ 활동 중 아이디어 발상에 장애가 나타나고 있다.
참고문헌
신민정, 『브레인스토밍』, 거름, 2003
정명진, 『브레인스토밍 100배 잘하기』, 21세기 북스, 2003
김효준 『창의성의 또다른 이름 트리즈』, 인피니티북스, 2009
나자 『슈네츨리(강신작 역) 아이디어 머신』, 크레듀, 2006
박성균, 『알기 쉬운 TRIZ』, 인터비젼, 2005
한국 TRIZ협회, 『비즈니스 TRIZ』, 교보문고, 2009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