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금융기관에 대한 정리 1금융권 2금융권 3금융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금융기관에 대한 정리 1금융권 2금융권 3금융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금융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와 함께 금융기관은 다양한 리스크관리 기법과 분산투자 등을 통해 리스크를 축소하거나 분산함으로써 자금을 보다 안정적으로 운용한다. 한편 경제주체간의 각종 거래를 종결시켜 주는 지급결제수단을 제공하여 경제활동을 보다 활성화 시켜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2) 제1금융권 (banking sector, 통화금융기관)
우리나라의 금융기관 중 예금은행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은행에는 시중, 지방, 특수은행과 농업협동조합중앙회의 신용사업부문, 수산업협동조합중앙회의 신용사업부문까지 포함된다.
전국에 지점망을 갖춘 일반은행인 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특정 지역에서만 독자적으로 영업하는 지방은행인 부산은행, 대구은행, 전북은행
특수법규를 적용받아 특별업무를 하는 특수은행인 기업은행, 농협, 수협, 축협 등이 있다. 농협은 중앙회와 단위농협으로 나뉘는데 농협중앙회는 1금융권, 단위(지역)농협은 2금융권이다.
3) 제2금융권 (non-banking sector, 비통화금융기관)
비은행금융기관이라고도 불리며 전형적인 금융기관인 은행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를 통칭하는 것으로 1980년대 이후 급신장한 보험회사, 신탁회사, 증권회사, 종합금융회사, 상호저축은행(옛 상호신용금고) 등을 일컫는 비공식적인 용어이며 주로 언론을 통해 보급된 말이다.
4) 제3금융권
최근 등장한 용어로 제1금융권, 제2금융권과 같이 사진적인 의미가 아닌 제도권 밖의 대금업체이다. \'사금융권\' 이란 말과 같은 뜻으로 사용된다. 언론에서는 \'소비자 금융\' 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주로 대출을 전문으로 하는 대부업체 및 사채업체가 여기에 해당된다.
제1금융권과 제2금융권을 합해 제도금융권이라고 하며 제3금융권은 비제도권 대부업이라 한다.
2. 금융권의 발생
우리나라는 1960년대 이래 고도성장 경제정책으로 인하여 높은 인플레이션과 기업의 만성적인 자금의 초과수요로 인해 은행을 중심으로 한 제도금융 시장과는 달리 광범위한 사금융시장이 발달하여 금융의 이중구조가 심화되어왔다.
이러한 사금융을 제도금융권 안으로 흡수하고 경제발전에 필요한 자금수요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해 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제2금융권이 설립되어 발전해왔다.
그리고 외환위기 이후 서민자금이용이 어려워지자 대부업이 양성화가 논의되기 시작하였다. 2002년 7월 말 국회통과 후 10월 말 대부업법이 시행되면서 양성화가 추진되었다.
구분
종류
내용
제1금융
  • 가격8,9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4.29
  • 저작시기2017.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17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