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응암 힐스테이트 개요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미장시공 순서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미장 시 시공관리사항
1. 바탕 정리 및 준비 사항
2. 바닥 충격음 차단 단열재
3. 층간 소음 완충재, 측면 완충재
4. 기포 콘크리트
5. 타설 전 관리사항
6. 타설시 관리사항
7. 시공 후 관리사항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미장 시 균열 발생원인 및 저감대책
- 동절기 방통타설시 주의사항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미장시공 순서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미장 시 시공관리사항
1. 바탕 정리 및 준비 사항
2. 바닥 충격음 차단 단열재
3. 층간 소음 완충재, 측면 완충재
4. 기포 콘크리트
5. 타설 전 관리사항
6. 타설시 관리사항
7. 시공 후 관리사항
- 공동주택의 온돌바닥 미장 시 균열 발생원인 및 저감대책
- 동절기 방통타설시 주의사항
본문내용
.
②저감대책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나 단위 시멘트량을 감소시키거나, 수축조인트를 배치하기도하고, 건조수축을 보상할 수 있는 재료나 시멘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기포층의 물살수는 바닥레미탈의 단위수량 감소와 기포층으로부터 꾸준한 수분 공급으로 장기적으로 바닥레미탈 경화체를 치밀하게 양생시켜 주어 후기균열을 현저히 감소시켜 줍니다.
2) 방통현장의 균열저감 방안
1) 소성수축 및 소성침하에 의한 균열 저감대책
(1) 단열층 품질관리
① 사전 살수로 급격한 수분 흡수를 방지
-세대별 동일 수량으로 균등하게 살수
② 소요강도 유지 (약 10 kgf/cm2 내외)
-연약한 기포 콘크리트는 단층균열의 원인이 됨
③ 바닥면을 깨끗하게 하고 균열이 심한 부위 보수.
-균열발생 적은 재료로 기포 시공
④온수 pipe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들뜨지 않게 고정 (특히 곡선 부위)
⑤Wire Mesh, Metal Lath 등을 설치시 고정핀 유격, 철사 평면 돌출등
을 방지
(2) 혼합 및 바닥주입
①적정 혼합수량을 일정하게 유지
②벽체주위(구석부분)에 몰탈을 충분히 공급 구석균열 방지
③온수 Pipe 밑부분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입후 다짐작업 철저
-소성 침하균열 다수 발생
④온수 Pipe상단 몰탈 두께는 최소 25mm이상 유지
⑤야간 기온저하 현상으로 마감미장 시간지연이 예상될때 바닥 주입작
업 조기 종결
-최저 기온 5℃이하 예상시 바닥주입 작업 PM 3:00이전 종료
(3) 미장
①일일 시공세대수에 적합한 숙련된 미장 기술자 확보
-1인 5-6세대(25평형 기준)
②적절한 미장작업시기 및 횟수 조절
-바닥표면의 수분이 증발하고 몰탈공극속의 수분이 감소하여, 표면
장력이 증가되는 시점(물때 조절)에 미장작업을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 소성수축균열은 크게 발생
-미장작업 횟수가 많을수록(4-6회) 바닥면이 매끄럽고, 경화체가
치밀해져 장기 건조수축 균열이 감소함.
③야간 미장 작업시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확보하여야 함
④집중 일사부위는 차광
-시공 당일 건조주의보 발령 (상대습도 50%이하) 및 강한 바람이
불경우 방풍대책 미수립시 시공불가
2)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저감대책
(1) 인장보강 방법
①Wire Mesh, Metal lath , 단섬유 등을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보강하
는 방법으로 균열의 폭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균열발생 자체
를 억제하는 효과는 미흡
(2) 수축보상방법(크랙방지재,팽창재)
①석고석회계의 수축 저감재(크랙방지재)를 몰탈 생산시 첨가하여 시
공후, 수축을 보상하는 방법, 균열저감효과 우수
50 ~ 80% 균열발생 감소
(3) 기포층에 충분한 물살수
①바닥레미탈 단위수량 감소로 건조수축율 감소로 균열저감
②기포층으로부터 꾸준한 수분공급으로 장기적으로 바닥레미탈 경화체를 치밀하게 양생시켜 주어 후기균열 현저히 감소
(4) 양생
①시공후 3일 양생후 1회 살수
②초기양생중(최소 3일) 출입을 차단하며, 충격, 진동, 중량물 재하를
금지
-양생초기(7일간 이내) 에는 바닥면 긁힘 현상으로 모래입자 돌출
(5) Boiler 가동
①최소 양생기간 3개월 경과후 가동
②저온에서부터, 1주일간 서서히 온도를 상승( 5℃이내/일 소폭 상승)
5.동절기 방통 타설시 주의 사항
일 평균기온이 4℃ 이하로 되는 기상조건 하에서는 몰탈의 초기경화반응이 몹시 지연되어 밤중이나 새벽뿐 아니라 낮에도 몰탈이 동결할 염려가 있으므로 한중 시공으로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시공방법으로는 기온, 타설 부위의 종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바닥미장의 시공은 얇은 두께로 넓은 면적을 타설하는 마감공사로 다음사항에 주의하여야 한다.
1. 바닥 미장 타설 시 주의사항
1)일반적으로 대기기온 4℃이상에서는 보통의 시공방법으로 할 수 있으나, 4℃
이하에서는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2)타설 시에는 충분한 보온 설비를 하여, 양생시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지 않도
록 해야 한다.
3)저녁이나, 다음날 영하로 온도하강이 예상되면 타설 당일 14: 00 이전에 타 설작업을 종료하고, 몰탈의 동해(Frost Damage, 凍害)를 방지해야 한다.
-몰탈의 초기 동해는 표면박리(Scaling, 면의 경화 불량) 또는 초기균열 발생의 형태로 나타나며, 열화 메카니즘(mechanism)은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면서 몰탈내의 모세관 수가 동결되어 물이 얼음으로 되면서 약 9%의 체적 팽창이 일어난다.
2. 바닥 미장 양생 시 주의사항 (콘크리트 타설 시방 인용, 일본
토목학회)
1)바닥몰탈 시공 후 양생종료 시에 필요한 압축강도는 기상조건, 부재의 크기,
노출 조건 등에 따라 다르나, 심한 기상작용을 받는 상태에서는 [표 1〕에서 제시한 압축강도를 얻을 때까지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심한 기상작용을 받는 몰탈 양생종료 시의 소요압축강도의 표준(kgf/cm2)
단 면
구조물의 노출상태
얇은 경우
보통의 경우
두꺼운 경우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물로 포화되는 부분
150
120
100
(2) 보통의 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50
50
50
2)몰탈의 양생 후 급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생종료 후 2일간은 몰탈 온도를
0℃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상기 〔표 1〕의 강도를 얻기에 필요한 양생일 수는 일반적으로 시험에 의하
여 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5℃ 및 10℃에서 양생할 경우의 대체적인 표준은
〔표 2〕와 같다.
〔표 2〕5 ℃ 및 10 ℃ 에서의 양생일 수의 표준
구조물의 노출상태
보통의 경우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물로 포화되는 부분
5℃
10℃
9일
7일
(2) 보통의 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5℃
10℃
4일
3일
4)열풍기로 난방 보온 시에는 대기온도를 너무 높게 하여, 바닥미장 표면의 건조 불균형 양생
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급격한 표면건조 시, 균열발생 및 균열부위 표면 말림으로 들뜸현상(단차이) 발생될 가능성
이 크다.
참고자료 : 일본 건축학회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JASS 5)
일본 토목학회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시공편)
②저감대책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위수량이나 단위 시멘트량을 감소시키거나, 수축조인트를 배치하기도하고, 건조수축을 보상할 수 있는 재료나 시멘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기포층의 물살수는 바닥레미탈의 단위수량 감소와 기포층으로부터 꾸준한 수분 공급으로 장기적으로 바닥레미탈 경화체를 치밀하게 양생시켜 주어 후기균열을 현저히 감소시켜 줍니다.
2) 방통현장의 균열저감 방안
1) 소성수축 및 소성침하에 의한 균열 저감대책
(1) 단열층 품질관리
① 사전 살수로 급격한 수분 흡수를 방지
-세대별 동일 수량으로 균등하게 살수
② 소요강도 유지 (약 10 kgf/cm2 내외)
-연약한 기포 콘크리트는 단층균열의 원인이 됨
③ 바닥면을 깨끗하게 하고 균열이 심한 부위 보수.
-균열발생 적은 재료로 기포 시공
④온수 pipe는 바닥면에 견고하게 들뜨지 않게 고정 (특히 곡선 부위)
⑤Wire Mesh, Metal Lath 등을 설치시 고정핀 유격, 철사 평면 돌출등
을 방지
(2) 혼합 및 바닥주입
①적정 혼합수량을 일정하게 유지
②벽체주위(구석부분)에 몰탈을 충분히 공급 구석균열 방지
③온수 Pipe 밑부분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입후 다짐작업 철저
-소성 침하균열 다수 발생
④온수 Pipe상단 몰탈 두께는 최소 25mm이상 유지
⑤야간 기온저하 현상으로 마감미장 시간지연이 예상될때 바닥 주입작
업 조기 종결
-최저 기온 5℃이하 예상시 바닥주입 작업 PM 3:00이전 종료
(3) 미장
①일일 시공세대수에 적합한 숙련된 미장 기술자 확보
-1인 5-6세대(25평형 기준)
②적절한 미장작업시기 및 횟수 조절
-바닥표면의 수분이 증발하고 몰탈공극속의 수분이 감소하여, 표면
장력이 증가되는 시점(물때 조절)에 미장작업을 실시하지 못하는
경우 소성수축균열은 크게 발생
-미장작업 횟수가 많을수록(4-6회) 바닥면이 매끄럽고, 경화체가
치밀해져 장기 건조수축 균열이 감소함.
③야간 미장 작업시 충분한 밝기의 조명을 확보하여야 함
④집중 일사부위는 차광
-시공 당일 건조주의보 발령 (상대습도 50%이하) 및 강한 바람이
불경우 방풍대책 미수립시 시공불가
2)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 저감대책
(1) 인장보강 방법
①Wire Mesh, Metal lath , 단섬유 등을 사용하여 인장강도를 보강하
는 방법으로 균열의 폭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균열발생 자체
를 억제하는 효과는 미흡
(2) 수축보상방법(크랙방지재,팽창재)
①석고석회계의 수축 저감재(크랙방지재)를 몰탈 생산시 첨가하여 시
공후, 수축을 보상하는 방법, 균열저감효과 우수
50 ~ 80% 균열발생 감소
(3) 기포층에 충분한 물살수
①바닥레미탈 단위수량 감소로 건조수축율 감소로 균열저감
②기포층으로부터 꾸준한 수분공급으로 장기적으로 바닥레미탈 경화체를 치밀하게 양생시켜 주어 후기균열 현저히 감소
(4) 양생
①시공후 3일 양생후 1회 살수
②초기양생중(최소 3일) 출입을 차단하며, 충격, 진동, 중량물 재하를
금지
-양생초기(7일간 이내) 에는 바닥면 긁힘 현상으로 모래입자 돌출
(5) Boiler 가동
①최소 양생기간 3개월 경과후 가동
②저온에서부터, 1주일간 서서히 온도를 상승( 5℃이내/일 소폭 상승)
5.동절기 방통 타설시 주의 사항
일 평균기온이 4℃ 이하로 되는 기상조건 하에서는 몰탈의 초기경화반응이 몹시 지연되어 밤중이나 새벽뿐 아니라 낮에도 몰탈이 동결할 염려가 있으므로 한중 시공으로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시공방법으로는 기온, 타설 부위의 종류, 크기에 따라 다르지만, 바닥미장의 시공은 얇은 두께로 넓은 면적을 타설하는 마감공사로 다음사항에 주의하여야 한다.
1. 바닥 미장 타설 시 주의사항
1)일반적으로 대기기온 4℃이상에서는 보통의 시공방법으로 할 수 있으나, 4℃
이하에서는 주의하여 시공하여야 한다.
2)타설 시에는 충분한 보온 설비를 하여, 양생시 영하의 온도가 유지되지 않도
록 해야 한다.
3)저녁이나, 다음날 영하로 온도하강이 예상되면 타설 당일 14: 00 이전에 타 설작업을 종료하고, 몰탈의 동해(Frost Damage, 凍害)를 방지해야 한다.
-몰탈의 초기 동해는 표면박리(Scaling, 면의 경화 불량) 또는 초기균열 발생의 형태로 나타나며, 열화 메카니즘(mechanism)은 온도가 0℃ 이하로 내려가면서 몰탈내의 모세관 수가 동결되어 물이 얼음으로 되면서 약 9%의 체적 팽창이 일어난다.
2. 바닥 미장 양생 시 주의사항 (콘크리트 타설 시방 인용, 일본
토목학회)
1)바닥몰탈 시공 후 양생종료 시에 필요한 압축강도는 기상조건, 부재의 크기,
노출 조건 등에 따라 다르나, 심한 기상작용을 받는 상태에서는 [표 1〕에서 제시한 압축강도를 얻을 때까지 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심한 기상작용을 받는 몰탈 양생종료 시의 소요압축강도의 표준(kgf/cm2)
단 면
구조물의 노출상태
얇은 경우
보통의 경우
두꺼운 경우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물로 포화되는 부분
150
120
100
(2) 보통의 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50
50
50
2)몰탈의 양생 후 급냉을 방지하기 위하여 양생종료 후 2일간은 몰탈 온도를
0℃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상기 〔표 1〕의 강도를 얻기에 필요한 양생일 수는 일반적으로 시험에 의하
여 정하는 것이 원칙이나, 5℃ 및 10℃에서 양생할 경우의 대체적인 표준은
〔표 2〕와 같다.
〔표 2〕5 ℃ 및 10 ℃ 에서의 양생일 수의 표준
구조물의 노출상태
보통의 경우
(1) 계속해서 또는 자주 물로 포화되는 부분
5℃
10℃
9일
7일
(2) 보통의 노출상태에 있고, (1)에 속하지 않는 부분
5℃
10℃
4일
3일
4)열풍기로 난방 보온 시에는 대기온도를 너무 높게 하여, 바닥미장 표면의 건조 불균형 양생
으로 균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
-급격한 표면건조 시, 균열발생 및 균열부위 표면 말림으로 들뜸현상(단차이) 발생될 가능성
이 크다.
참고자료 : 일본 건축학회 『건축공사 표준 시방서』(JASS 5)
일본 토목학회 『콘크리트 표준 시방서』(시공편)
추천자료
건설공사의 품질 관리란
조경시설의 이해와 품질관리 전략
영아기 및 유아기 발달특성 및 영양관리에 대하여 설명
건설산업에서의 공급사슬관리 (SCM : Supply Chain Manage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 ...
장경간 FCM 교량의 처짐 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학년 2학기 물류관리 과제
유치원어린이집 :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 유치원어린이집 평가인증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보건의료 시스템을 재구성하게 하는 압력요인을 제시하고 그 세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 4학년 전략적 간호관리 과제물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E] 어린이집과 유치원 평가제를 비교하시오 [인용출처표기, 참고...
정신건강 공통 2017>자기관리의 의미와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논하시오. 정신건강 다음 중 한...
[2017 유아교육기관운영관리4E] 어린이집과 유치원 평가제를 비교하시오 [출처본문표기, 인용...
[단체급식관리 공통] 교육기관, 산업체, 의료기관, 사회복지시설, 영유아보육시설 등의 급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