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간호학실습 출혈 뇌내출혈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인간호학실습 출혈 뇌내출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글씨쓰기 장애에서부터 시작하여 나중에는 걸음걸이에 변화가 오며 대부분은 기억력 장애와 실행 불은증이 함께 나타난다.
· 실행방법을 바꾸면 어느 정도 해낼 수 있게 되기도 한다.
· 슬리퍼를 사용, 식사시 수저를 사용하기보다는 손가락으로 먹게 한다.
· 한번에 한 가지 일을 하게하며 어려 단계로 나누어 시행한다.
4) 일몰증후군(Sundowm syndrom)
· 치매환자들은 대개 오후가 되면 상태가 더욱 나빠지는 경향이 있다.
· 원인은 명확하지 않으나 다만 어두워지면서 사물을 질 식별할 수 없게 되어 혼동이 심 화되는 것으로 추축하고 있으며 이를 일몰 증후군이라고 한다. 따라서 밤에 불을 켜놓고 있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다.
5) 부적절한 성적 행동
· 가끔 치매환자들은 아무데서나 옷을 벗거나 입지 않는 상태로 공공장소를 돌아다닐 수 있고 자위행위 등의 부적절한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 성적 행동이 증가하는 것은 심각한 뇌손상이 있음을 보여주는 것일 수 있으므로 즉시 의사와 상의 하는 것이 좋다.
· 치매환자의 부적절한 성적 행동은 실제 성적 행동의 증가로 인한 것 일수도 있고 단지 옷이 거추장스럽거나 날씨가 더워서 혹은 장소를 목욕탕이나 화장실 등으로 착각해서 일 수도 있다.
6) 공격적이고 난폭한 행동
치매환자들은 때때로 매우 화를 내거나 폭력적인 행동을 하여 간호사들을 힘들게 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싫다는 거부의사의 표현일 수도 있고 상황에 대한 잘못된 이해, 판 단 때문일 수도 있다. → 간호사들은 겁내거나 놀라지 말고 차분히 대처하도록 해야 한다.
7) 비명을 지르거나 고함을 친다.
· 공포나 불안 혹은 정신과적 증상에 의하거나 의미 없이 습관적인 것 일수도 있다.
· 불편감이 발견되면 제거해 주고 친근한 얼굴로 다가가서 다정히 대해 준다.
· 손을 잡아 주거나 얘기를 함으로서 해소시킬 수도 있다.
· 주의를 환기시켜 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된다.
8) 반복행동
· 반복적인 질문이나 행동을 보여 간간호자를 지키게 만드는 일이 흔하게 일어난다.
이런 증상은 기억력 장애로 방금 자신이 행한 언행에 대하여 잊어버리거나 주변상황에 대한 지각 부족으로 생소하고 불안하게 느껴지기 때문일 수 있으며 단지 관심을 끌기 위 한 것일수도 있다.
· 절대로 화를 내거나 귀찮아하는 반응을 보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 기억력 장애로 인한 거일 역우는 성의껏 대답을 해주고 나서 다른 일로 관심을 전환 시 켜 보도록 한다.
· 환경에 대한 불안이 원인이 될 경우에는 다정하게 안심시켜 주고 다독이는 것이 도움이 될 수 도 있다.
· 그러나 관심을 끌기 위함이라면 일단 모른 척하고 무시하는 것이 낫다.
9) 의존적인 행동과 초초 불안
· 기억력과 상황 판단 능력의 저하 등으로 불안을 느끼거나 퇴행되어 종일 칭얼거리거나 안절부절못하여 간호사를 쫓아다닐 수 있다.
· 일단은 환자의 관심을 끌만한 것을 제공하여 주위를 환기시키도록 하고 환자가 가장 불 안해하는 시간에는 되도록 함께 있어주고 안심시킨다.
10) 우울과 위축
· 주변 환경에 대해 무관심해지고 자극에 무감각해지는 등 전반적으로 활동이 줄고 우울 해질수 있다.
· 지속적으로 따듯한 태도로 환자를 간호해야하며 이유를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 식사, 수면이 소홀해지기 쉬우므로 영양 및 건강 전방에 관하여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 이 중요하다.
11) 거부
각기 나름대로 있을 수 있으므로 원인을 잘 파악하여 해결하도록 한다.
① 식사거부
· 한두번의 거부는 문제가 되지 않으나 식사거부가 지속되면 영양실조나 탈수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 식사거부의 원인을 파악한다.
② 대처 방안
· 몸의 상태를 충분히 살피고 문제 발견 시 의사와 상의한다.
· 의치가 맞지 않아 흔들릴 때에는 오브라트 2장을 의치에 붙이고 끼워본다.
· 식사중에는 꾸짖거나 잔소리를 하지 않는다.
· 다른 일에 정신이 팔려 있을 경우에는 “ 식사시간 입니다” 라고 상황을 알려준다.
· 쉽게 자신의 관심거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는 김밥이나 빵 등 가볍게 들고 다니 면서 먹을 수 있는 음식을 준비해 보도록 한다.
· 경우에 따라서는 잠시 기다렸다가 후에 다시 한번 음식을 권해 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12) 투약 거부
· 치매상태의 환자는 자신의 병에 대한 인식이 없고 따라서 왜 약을 먹는지 이해 못한다.
· 약이 이물질로 느껴져 뱉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 환자가 좋아하는 음식에 약을 섞어서 약이라는 설명 없이 먹여주도록 한다.
· 이때 모든 음식에 약을 섞는다면 후에 모든 음식을 거부할 수도 있으므로 주의한다.
· 투약 거부가 심한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하여 다른 투약 방법이라든지 투약의 순서 등을 결정하도록 한다.
11. 치매예방 10개조
1) 식사는 자신이 먹을 수 있는 양의 80%정도로 한다.
2) 술을 적당하게 마신다.
3) 운동은 젊었을 때부터 한다.
4) 노후에 할일을 생각해 둔다.
5) 노후의 침구를 10명 만들어 둔다.
6) 타인의 눈을 의식하는 정도로 몸가짐에 신경을 쓴다. 치매의 시작은 ‘옷깃’에서부터이다.
7) 난청과 시력장애가 치매를 일으킬 수도 있다.
8) 유행에 민감해야 한다.
9) 다름 사람이 말하는 것에 귀를 기울이는 사람은 치매에 걸리지 않는다.
10) 새로운 정보를 항상 접하고 발산시키는 것이 좋다. 이것을 반복라면 뇌 운동에 도움이 된다. 발산하기 위해서는 상대가 없으면 어려우므로 인간관계를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
구분
내용
기대효과
신체활동영역(운동)
·건강체조, 기체조
·산책, 공놀이, 배구, 실내볼링
·다트 던지기
·시체 기능유지, 건강증진
·야간숙면유도로 야간 이상행동 감소
음악영역
·옛 노래 부르기, 가곡 부르기
·창가 부르기, ·음악 감상
·즐거운 노래방
·치매예방의 정서적 안벙감 부여
·과거회상동기부여
·긴장과 불안 해소
·정서함양
혼자하는 행동
·일상적인 생활(양치질, 총소, 세수)및 잊기쉬운 행동반복
·사물함 정리
·정상적인 일상생활 동장의 유지 및 문제행동 개선
미술영역
·색칠하기, 물감불기,
·숨은 그림찾기, 종이접기
·치매노인의 인지능력유지에 도움
·창조능력
공예영역
·지점토, 공예
·홈
  • 가격5,000
  • 페이지수49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1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