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과 체크리스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아청소년과 체크리스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성장측정-성장곡선 판독
DDST(Denver 2)
간호과정 적용
검사 및 수술 전 교육
안전교육(침상난간이용)
심첨맥박/호흡측정
체온측정
폐음측정
두위측정
복위측정
냉찜질 적용
더운물 찜질적용
간호력 조사
환아이동법
억제대
분무요법
가습기 사용
폐 물리요법
치료적 놀이
체위조절
침상목욕
GTT계산법
수액준비
무균조작법
경구투약
검사물 채취
산소요법
수분섭취 배설량측정

본문내용

있다. 약물의 종류는 기대하는 효과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데 기관지 확장제가 가장 많으며, steroids, 항생제, 거담제, 점액용해제 등이 있다. 분무요법은 너무 어려서 호흡의 깊이나 호흡수를 조절할 수 없는 아동에게는 사용하기 어렵다. 공기나 산소가 풍부한 가스와 함께 약물을 에어러졸화 한다.
분무요법의 단점 및 합병증은 흡인된 수분입자가 축적된 건조한 분비물을 부풀려서 기도를 폐쇄할 수 있고, 수분의 과다투여가 있을 수 있다.
가습기 사용
설명
대상자에게 비강배관의 방법으로 낮은 농도의 산소를 공급할 때 산소를 습화시키는 것이 유익한지 아닌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연구에 의하면 낮은 농도의 산소( 2L/분 이하)를 비강배관으로 공급할 때는 가습화가 필요하지 않다고 한다. 산소가 호흡기계 점막을 건조시키는 것은 높은 산소 농도의 산소를 주입 할 때이다. 이때는 가습기를 사용하는데 20~ 40%의 습도를 공급해 주어야 한다.
폐 물리요법
설명
* 폐 물리요법의 종류
- 타진, 진동, 체위배액, 심호흡, 기침 등
1. 심호흡 : 폐의 여러분절을 확장시키는 운동
2. 기침 : 기관지 분비물 제거 위해
3. 타진( percussing clapping )
목적; 울혈된 폐 부위의 기관지 벽에 묻어있는 끈적한 분비 물 제거 위함
방법; 손을 컵 모양으로 약간 구부리고 빠르게 가슴 두드린다
→ 손을 컵 모양으로 하는 이유는 에어쿠션 유발 시켜환자가
상처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주의; 흉골 유방, 척추, 신장은 손상을 막기 위해 금한다.
4. 진동 ( vibration )
목적; 강력한 파동 연속으로 보통 타진 후 시행해 내쉬는 공기 흐름 증가시켜 분비물을 묽게 해 배 용이하게 한다.
방법; 손바닥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한 손 부위에 겹쳐 손기락을 나란히 펴서 배액 되어야 할 가슴위에 놓는다. 환자에게 숨을 크게 들이 쉬고 천천히 내쉬도록 한다. 숨을 내쉬는 동안 손과 팔 근육을 긴장시키면서 시행함.
주의; 환자가 흡식하는 동안은 진동 멈추고 체위 배액하는동안 4-5회 실시함.
5. 체위 배액
목적; 중력 이용하여 여러 폐분절에서 분비물 밖으로 배출 시키기 위함. 매 환자마다 모든 체위가 적용되는 것은 아 니며 특별한 질병 부위 분비물 배액하고자 할 때 하게 한다. 보통 폐하염 분비물 배액시 이용한다.
방법; 체위 취하기 → 타진 → 진동 → 기침 또는 흡인
주의; 각 체위는 보통 15분간 지속되면 처음엔 짧게 실시하 여 점차 시간 늘림.
치료적 놀이

3월 27일 오전 10AM경 531호 이00(F/22m) 환아의 v/s를 체크하러 병실에 들렸으나 환아가 체온계가 주시기인 줄 알고 겁을 내었음. 환아가 그림을 좋아한다고 하여 펜과 종이를 주어 그림을 같이 그리면서 환아가 안정을 찾게 함.
*놀이치료의 정의
훈련된 치료자가 심리적 문제를 지닌 아동을 돕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놀이가 지닌 치료적 힘을 적용시키는 대인관계과정이다.
*치료 목표
모든 놀이치료는 놀이행동에 참여할 수 있는 아동의 능력 회복\'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치료 과정이 그 자체로 재미있고 아동 중심적이며, 다양하고 융통성 있으며, 비도구적이고, 자연적 흐름에 의해 특징지어지며, 사회적 행동에 참여하기위한 아동의 능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치료자의 노력이다.
*치료적 의의
아동은 성인과 달리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더 많이 한다. 그들은 그들만의 상징체계와 놀이를 지니고 있다. 아동의 놀이를 통하여 치료적 동맹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아동에게 자아(감정, 사고, 경험, 행동들)를 탐색하고 부정적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재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정서적인 방출, 치료적 이완을 통해 긴장을 해소하고 외상이나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 안정감을 얻도록 한다. 또한 아동은 치료자와의 역동적 관계와 놀이의 과정을 통하여 자아 존중 감, 자기 동기화된 행동, 환경에 대한 숙달감을 갖게 되며, 내적 통제성이 증가되어감에 따라 현실에서 불가능한 행동에 대한보상과 적응적 행동을 위한 대안을 모색하게 된다.
체위조절
설명
환자가 질병 초기나 만성단계에서 또는 시설이나 병원에서 장시간 와병상태로 누워있을 때 바른 자세는 매우 중요하다. 적절한 체위유지와 변경은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고 부동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므로 환자와 가족에게 적절한 체위 변경의 중요성과 체위유지 및 변경방법 등을 교육해야 한다. 체위 변경표를 침상 곁에 붙여주는 것이 좋다. 복와위로 누워 있는 경우는 30~60분 정도 지나면 불편감이 생기므로 2~4시간마다 체위 변경이 필요하나 감각상실, 마비환자는 2시간보다 더 자주 체위변경을 해야 한다.
침상목욕
설명
침상목욕
1. 목적 : 피부청결, 냄새 제거, 혈액순환 촉진, 근육의 긴장완화 및 편안감, 신체를 관찰할수 있는 기회
2. 준비물품 : 대야, 비누, 물수건, 물(성인의 경우 43~46℃, 소아의 경우 48~40℃), 수건 2장, 목욕담요, 로션, 빗, 새환의 및 새 홑이불, 세탁물 주머니, 장갑, 변기, 면봉
3. 절차
* 순서 : 얼굴(눈->이마->코->뺨->입주위->귀), 목, 팔, 손, 가슴, 배꼽, 다리, 발, 등, 둔부, 회음부)
1) 목욕담요로 덮어준다.
2) 맛자지용 물수건을 접어 넣는다.(3등분하여)
3) 타월을 대야에 적셔 적절히 짠다.
4) 얼굴은 비누의 사용여부를 묻는다. (되도록이면 사용하지 않는다.)눈은 안에서 밖으로 씻는다. 얼굴을 씻고나서 목을 씻는다. 비눗기를 잘 씻어내고 수건으로 물기를 닦는다.
5) 목욕타월을 환자 팔 밑에 펴놓고, 전박에서 상박(원위->근위)을 향해 닦고, 액와부를 닦고 말린다.
6) 손가락은 대야에 담가 마디마디 깨끗이 씻는다.
7) 가슴부위는 목욕담요를 허리까지 내린 후 씻고 말린 후 수건으로 닦는다. 배꼽도 닦는다.
8) 복부까지 씻고 닦은 후 상체와 하체를 구분하기 위해 물수건을 바꾼다.
9) 다리밑에 목욕타월을 깔고 한쪽 다리만 노출시킨다.
10) 대퇴부와 다리(발목에서 무릎 쪽, 무릎에서 허벅지 쪽으로)를 씻긴후 수건으로 닦는다.
11) 양쪽 발은 대야에 담가 발가락 사이를 충분히 씻는다.
12) 측위or복위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3.04.3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2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