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4/15일 총 11시간에서 4/24일 13~14으로 증가하였다.
간호진단 # 2: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자 료
(주관적 / 객관적)
S: 아직 말 못함.
O:
ㆍ母 : “가래 끓는 소리가 귀에 들릴 정도로 심하게 나요”
ㆍ母 : “기침할 때 숨쉬기 힘들어해요.”
ㆍ 기침 시 콧물과 가래를 동반함.
ㆍ 숨을 쉴 때 코를 벌름거리는 비익확장 나타남.
ㆍ 숨 쉴 때 쌕쌕 거리는 천명음 들림.
목 표
ㆍ환아는 2일 이내 객담 배출이 용이해 질 것이다.
ㆍ환자는 퇴원 시 까지 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보인다.
계 획
ㆍ기침 시 나오는 분비물을 시진(점도, 색깔, 양)한다.
ㆍ호흡양상의 변화를 사정한다.
ㆍ젖병에 물을 넣어 마시게 한다.
ㆍ가습기를 적용한다.
ㆍ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ㆍNebulizer therapy를 처방에 의해 하루 3회시간 마다 실시한다.
ㆍ흉부물리요법(타격, 체위배액)을 시행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수 행
ㆍ분비물과 호흡양상의 변화 사정 결과;
4/15 : 가래- 묽고 양이 많음. 색은 약간 누런 양상.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며 숨쉬기 힘들어 함.
4/18 : 가래- 묽고 양이 많음. 색은 약간 누런 양상.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며 숨쉬기 힘들어 하는 모습 줄어 듬.
4/24 : 가래- 묽고 양이 적음. 색은 투명.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는 모습이 줄어들고 편안히 호흡함.
ㆍ젖병에 보리차를 넣어 하루 1회 먹여주었다.
ㆍ가습기를 제공하였다.
ㆍ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주사기로 직접 먹여주었다.
(Ambroxol 3ml PO Tid PC)
ㆍChest percussion 을 시범을 보이고 자주 시행해 줄 것을 권장하였 다.
ㆍNebulizer therapy를 am9 , pm3, pm10시에 마다 실시할 것을 설명
하였다.
이론적 근거
ㆍ수분공급은 기도의 점액 배출을 돕고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켜 분 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ㆍ거담제 투여와 분무요법을 함으로써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 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ㆍ흉부물리요법(타격, 체위배액)은 기관지 벽에 붙어 있는 분비물 배출 을 용이하게 하고 기침을 자극한다.
평 가
ㆍ4/15일 보다 4/24일에 가래의 양이 감소하고 점도도 묽어졌다. 또한코 를 벌름 거리는 모습이 줄어들고 편안히 호흡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적절한 간호 중재로 천명음 또한 사라졌다.
간호진단 # 3: 잘못된 콧물 닦는 방법과 관련된 피부손상
자 료
(주관적 / 객관적)
S: 아직 말 못함.
O:
ㆍ 父 : “콧물이 많이 나서 계속 닦아주었더니 코밑이 다 헐었네요.”
ㆍ 아빠가 티슈를 이용해 콧물을 닦아줌.
ㆍ 콧물을 닦을 때 마다 환아가 울고 보챔.
ㆍ 코 밑이 밑과 입술 윗 부분에 빨갛게 발진이 생김.
목 표
ㆍ환아의 부모는 1일 이내 올바른 방법으로 콧물을 닦아줄 것이다.
ㆍ환아는 퇴원 시까지 코 밑과 코 점막의 발적이 사라진다.
계 획
ㆍ기존의 방법이 잘못된 콧물 닦기 방법임을 알게 한다.
ㆍ올바른 콧물 닦기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ㆍ물티슈 혹은 물티슈 이용하여 콧물을 닦아준다.
ㆍ콧물을 닦을 때 세게 닦지 않고 부드럽게 닦아준다.
ㆍ콧물을 닦아준 후 말린다.
ㆍ보호자 실천 여부를 관찰한다.
수 행
ㆍ마른 티슈로 콧물을 닦아주는 것은 피부를 자극에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잘못된 방법임을 설명하였다.
ㆍ물티슈를 이용하여 콧물 닦아주는 것을 권장하였다.
ㆍ콧물을 부드럽게 닦아주고 닦아준 후 말려야 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ㆍ물티슈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닦아주고 말리는 것을 시범을 보인 후,
보호자 직접 해보게 하였다.
ㆍ보호자 실천 여부 관찰 결과
: 직접 해보신 이후로 올바른 방법을 실천하시는 것을 여러번 관찰하였다.
이론적 근거
ㆍ어린아이의 피부는 민감해서 약간의 자극에도 손상이 온다.
ㆍ부모에게 직접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것은 교육효과가 높다.
평 가
ㆍ4/15일부터 교육이후 부모는 올바른 콧물 닦기를 시행하고 있으며
4/24일 코 밑과 입술 위에 아직까지 발적이 남아있지만 발적이 현저 하게 줄어들었다.
C. 퇴원 요약지
수행된 전체간호에 대한 평가
#1 ① 4/18일 가래,콧물을 동반한 기침 1시간에 3~5회
-> 2~3시간에 1번씩 기침, 1회 기 침 시 1~2번 연속해서 기침.
② 4/24 총 수면시간 11시간 -> 6/1 총 수면시간 14시간
=> 단기, 장기목표 달성.
#2 ① 4/18 : 가래- 묽고 양이 많음. 색은 약간 누런 양상.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며 숨쉬기 힘들어 함.
-> 4/24 : 가래- 묽고 양이 적음. 색은 투명.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는 모습이 줄어들고 편안히 호흡하며 천명음 사라짐.
=> 단기, 장기목표 달성
#3 ①4/18 마른 휴지로 대충 콧물을 닦던 부모가 교육 이후 물수건을 이요하여 조심스 럽게 닦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단기목표달성
②4/24 아직까지 코 밑과 입술 윗부분에 발적이 남아있지만 그 범위가 현저히 감소 하였고 보호자가 교육내용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으므로 장기목표 달성도 기대된 다.
대상자의 문제분석
대상 환아는 4.15일 입원한 환아로 콧물,가래 동반한 기침 지속되어 잠도 못자고 기관지 분비물 배출 곤란으로 천명음 까지 있는 환아이다. 잦은 기침으로 인해 수면시간이 평균 14시간에서 11시간으로 줄어들고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기침 때문에 잠에서 깨어나는 양상 보이고 있고, 기관지 분비물 배출 곤란으로 호흡이 힘들어 비익확장 보이고 있으며 천명음또한 들리도 있다. 또한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도 높은 편이 아니어 환아의 콧물을 닦을 때 마른 휴지를 이용하여 환아이 코 밑과 입술 위에 발적이 생겼다.
대상자에 대한 간호교육 내용, 방법, 이해도
①Nebulizer 사용
[교육내용]
Nebulizer 사용은 잠자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높으므로 pm9시에서 하던 것을
pm10시에 하도록 권유
[방법 및 이해도]
pm10시에 nebulizer를 시행 후 끝나면 바로 잠을 잘 수 재우는 것으로 보아 확실히 이해 한 것 같음.
②흉부물리요법
[교육내용]
가래를
간호진단 # 2: 기관지 분비물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자 료
(주관적 / 객관적)
S: 아직 말 못함.
O:
ㆍ母 : “가래 끓는 소리가 귀에 들릴 정도로 심하게 나요”
ㆍ母 : “기침할 때 숨쉬기 힘들어해요.”
ㆍ 기침 시 콧물과 가래를 동반함.
ㆍ 숨을 쉴 때 코를 벌름거리는 비익확장 나타남.
ㆍ 숨 쉴 때 쌕쌕 거리는 천명음 들림.
목 표
ㆍ환아는 2일 이내 객담 배출이 용이해 질 것이다.
ㆍ환자는 퇴원 시 까지 정상적인 호흡 양상을 보인다.
계 획
ㆍ기침 시 나오는 분비물을 시진(점도, 색깔, 양)한다.
ㆍ호흡양상의 변화를 사정한다.
ㆍ젖병에 물을 넣어 마시게 한다.
ㆍ가습기를 적용한다.
ㆍ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ㆍNebulizer therapy를 처방에 의해 하루 3회시간 마다 실시한다.
ㆍ흉부물리요법(타격, 체위배액)을 시행하도록 보호자에게 교육한다.
수 행
ㆍ분비물과 호흡양상의 변화 사정 결과;
4/15 : 가래- 묽고 양이 많음. 색은 약간 누런 양상.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며 숨쉬기 힘들어 함.
4/18 : 가래- 묽고 양이 많음. 색은 약간 누런 양상.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며 숨쉬기 힘들어 하는 모습 줄어 듬.
4/24 : 가래- 묽고 양이 적음. 색은 투명.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는 모습이 줄어들고 편안히 호흡함.
ㆍ젖병에 보리차를 넣어 하루 1회 먹여주었다.
ㆍ가습기를 제공하였다.
ㆍ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주사기로 직접 먹여주었다.
(Ambroxol 3ml PO Tid PC)
ㆍChest percussion 을 시범을 보이고 자주 시행해 줄 것을 권장하였 다.
ㆍNebulizer therapy를 am9 , pm3, pm10시에 마다 실시할 것을 설명
하였다.
이론적 근거
ㆍ수분공급은 기도의 점액 배출을 돕고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켜 분 비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ㆍ거담제 투여와 분무요법을 함으로써 기관지 분비물을 액화시키고 기 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분비물 배출을 용이하게 한다.
ㆍ흉부물리요법(타격, 체위배액)은 기관지 벽에 붙어 있는 분비물 배출 을 용이하게 하고 기침을 자극한다.
평 가
ㆍ4/15일 보다 4/24일에 가래의 양이 감소하고 점도도 묽어졌다. 또한코 를 벌름 거리는 모습이 줄어들고 편안히 호흡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적절한 간호 중재로 천명음 또한 사라졌다.
간호진단 # 3: 잘못된 콧물 닦는 방법과 관련된 피부손상
자 료
(주관적 / 객관적)
S: 아직 말 못함.
O:
ㆍ 父 : “콧물이 많이 나서 계속 닦아주었더니 코밑이 다 헐었네요.”
ㆍ 아빠가 티슈를 이용해 콧물을 닦아줌.
ㆍ 콧물을 닦을 때 마다 환아가 울고 보챔.
ㆍ 코 밑이 밑과 입술 윗 부분에 빨갛게 발진이 생김.
목 표
ㆍ환아의 부모는 1일 이내 올바른 방법으로 콧물을 닦아줄 것이다.
ㆍ환아는 퇴원 시까지 코 밑과 코 점막의 발적이 사라진다.
계 획
ㆍ기존의 방법이 잘못된 콧물 닦기 방법임을 알게 한다.
ㆍ올바른 콧물 닦기의 필요성을 설명한다.
ㆍ물티슈 혹은 물티슈 이용하여 콧물을 닦아준다.
ㆍ콧물을 닦을 때 세게 닦지 않고 부드럽게 닦아준다.
ㆍ콧물을 닦아준 후 말린다.
ㆍ보호자 실천 여부를 관찰한다.
수 행
ㆍ마른 티슈로 콧물을 닦아주는 것은 피부를 자극에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잘못된 방법임을 설명하였다.
ㆍ물티슈를 이용하여 콧물 닦아주는 것을 권장하였다.
ㆍ콧물을 부드럽게 닦아주고 닦아준 후 말려야 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ㆍ물티슈를 이용하여 부드럽게 닦아주고 말리는 것을 시범을 보인 후,
보호자 직접 해보게 하였다.
ㆍ보호자 실천 여부 관찰 결과
: 직접 해보신 이후로 올바른 방법을 실천하시는 것을 여러번 관찰하였다.
이론적 근거
ㆍ어린아이의 피부는 민감해서 약간의 자극에도 손상이 온다.
ㆍ부모에게 직접적인 시범을 보여주는 것은 교육효과가 높다.
평 가
ㆍ4/15일부터 교육이후 부모는 올바른 콧물 닦기를 시행하고 있으며
4/24일 코 밑과 입술 위에 아직까지 발적이 남아있지만 발적이 현저 하게 줄어들었다.
C. 퇴원 요약지
수행된 전체간호에 대한 평가
#1 ① 4/18일 가래,콧물을 동반한 기침 1시간에 3~5회
-> 2~3시간에 1번씩 기침, 1회 기 침 시 1~2번 연속해서 기침.
② 4/24 총 수면시간 11시간 -> 6/1 총 수면시간 14시간
=> 단기, 장기목표 달성.
#2 ① 4/18 : 가래- 묽고 양이 많음. 색은 약간 누런 양상.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며 숨쉬기 힘들어 함.
-> 4/24 : 가래- 묽고 양이 적음. 색은 투명.
호흡양상- 코를 벌름거리는 모습이 줄어들고 편안히 호흡하며 천명음 사라짐.
=> 단기, 장기목표 달성
#3 ①4/18 마른 휴지로 대충 콧물을 닦던 부모가 교육 이후 물수건을 이요하여 조심스 럽게 닦는 모습을 관찰 할 수 있었다.
=> 단기목표달성
②4/24 아직까지 코 밑과 입술 윗부분에 발적이 남아있지만 그 범위가 현저히 감소 하였고 보호자가 교육내용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으므로 장기목표 달성도 기대된 다.
대상자의 문제분석
대상 환아는 4.15일 입원한 환아로 콧물,가래 동반한 기침 지속되어 잠도 못자고 기관지 분비물 배출 곤란으로 천명음 까지 있는 환아이다. 잦은 기침으로 인해 수면시간이 평균 14시간에서 11시간으로 줄어들고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기침 때문에 잠에서 깨어나는 양상 보이고 있고, 기관지 분비물 배출 곤란으로 호흡이 힘들어 비익확장 보이고 있으며 천명음또한 들리도 있다. 또한 질병에 대한 부모의 지식 정도도 높은 편이 아니어 환아의 콧물을 닦을 때 마른 휴지를 이용하여 환아이 코 밑과 입술 위에 발적이 생겼다.
대상자에 대한 간호교육 내용, 방법, 이해도
①Nebulizer 사용
[교육내용]
Nebulizer 사용은 잠자기전에 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높으므로 pm9시에서 하던 것을
pm10시에 하도록 권유
[방법 및 이해도]
pm10시에 nebulizer를 시행 후 끝나면 바로 잠을 잘 수 재우는 것으로 보아 확실히 이해 한 것 같음.
②흉부물리요법
[교육내용]
가래를
키워드
추천자료
요실금 케이스 스터디
[의학논문] 뇌경색 케이스 스터디
자연분만 케이스 스터디.NSVD
(간호학과) 내과병동 제2형 당뇨 환자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방문간호 뇌졸중(stroke) 환자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성인간호학]케이스스터디-경막하혈종(SDH)
[정신간호학] 정신분열병 케이스 스터디
내과병동DKA DM케이스스터디
[성인간호학] 골다공증 케이스 스터디
[성인간호학][간세포암][HCC] 케이스스터디(Case Study)[Hepatocellular Carcinoma][간암], ...
[성인간호학][뇌졸중][CVA]케이스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Cerebral Vascular Accident]
[정신간호학][품행장애][Conduct disorder]케이스스터디(Case Study),[CD]
[정신간호학][품행장애][Conduct disorder]케이스스터디(Case Study),문헌고찰
[성인간호학][간질]케이스스터디(Case Study)[Epilepsy],문헌고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