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느 실험에서나 오차라는 것은 존재한다. 여기서도 오차가 물론 존재하고 이 오차들이 생긴 원인에 대해서 살펴보겠다.
먼저 회전원통과 실과의 마찰, 도르래와 실의 마찰은 아주 미비하긴 하지만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약간 작용함으로써 각가속도의 값을 줄였을 것이다. 우리가 이론값으로 구한 이 식에는 마찰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이상적인 값을 구한 것이므로 마찰에 의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클램프을 이용하여 실이 정확하게 메인원판과 평행이 되게하고, 회전반경에 수직이 되도록 각도와 높이를 최대한 맞추긴 했지만 이 때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 있다. 이런 점에 주의 한다면 더 좋은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추의 질량이 0.200kg일 때가 다른 더 가벼운 질량들보다 오차가 대체적으로 작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표에서 살펴보았을 때 회전원통반경이 0.0150m일 때가 0.0200m일 때보다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0.0200m일 때와 0.0250m일 때는 차이를 거의 발견할 수 없지만 0.0150m일 때와 0.0200m일 때를 보자면 회전원통반경을 크게 하는 것 또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먼저 회전원통과 실과의 마찰, 도르래와 실의 마찰은 아주 미비하긴 하지만 전혀 없다고 할 수는 없기 때문에 약간 작용함으로써 각가속도의 값을 줄였을 것이다. 우리가 이론값으로 구한 이 식에는 마찰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이상적인 값을 구한 것이므로 마찰에 의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클램프을 이용하여 실이 정확하게 메인원판과 평행이 되게하고, 회전반경에 수직이 되도록 각도와 높이를 최대한 맞추긴 했지만 이 때 오차가 발생하였을 수 있다. 이런 점에 주의 한다면 더 좋은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추의 질량이 0.200kg일 때가 다른 더 가벼운 질량들보다 오차가 대체적으로 작게 나온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표에서 살펴보았을 때 회전원통반경이 0.0150m일 때가 0.0200m일 때보다 오차가 더 크게 나타났다. 0.0200m일 때와 0.0250m일 때는 차이를 거의 발견할 수 없지만 0.0150m일 때와 0.0200m일 때를 보자면 회전원통반경을 크게 하는 것 또한 오차를 줄일 수 있는 한 가지 방법이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추천자료
Picket fence의 자유낙하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Borda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물리실험] Borda진자에 의한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
[물리학 및 실험] 중력가속도 측정
[실험] 단진자를 이용한 중력가속도 측정
물리실험 - 힘과 가속도 측정
물리실험보고서 - 중력가속도 측정
자유 낙하에 의한 중력가속도 측정
물리학 실험 - 중력 가속도의 측정
[일반물리학 실험] 중력가속도 측정
[일반물리실험] 자유낙하 이용 중력가속도 측정
갈릴레오 실험과 경사면에서 중력 가속도 측정 결과 보고서
[일반물리실험] 중력가속도 측정 결과레포트(2016, A+)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