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흉, 산소요법, chest tub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흉, 산소요법, chest tube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있는 경우 환자는 다른 폐의 환기를 ‘도둑맞는’ 결과 초래
- 페의 tidal volume의 일부분은 흉벽의 구멍을 통해서 앞뒤로 움직임
- 자연기흉은 늑막하수포(bleb)가 파열되며 초래
만성호흡기계질환이 2차적 또는 특발성으로 발생
- 건강한 사람에서 발생하는 경우에는 특히 마른 백인 남자와 기흉의 가족력을 가진 사람에게서 호발
4. 진 단
- 특징적인 임상 증상과 흉부 진찰 소견으로 추측
- 단순 흉부 방사선(X-ray) 사진을 찍으면 확진이 가능
- 간혹 폐기종이 심한 환자에 있어서 기흉이 뚜렷이 보이지 않거나 커다란 기포와 감별이 어려운 경우 전산화 단층촬영(CT)이 도움이 됨.
5. 합병증
- 급성 호흡부전.
- 긴장성 기흉을 동반한 심혈관 허탈
- 약 15%의 환자에서는 흉수가 늑막강 내에 고일 수 있음
6. 치 료
1) 치료 목적
- 늑막강 내에서 공기를 제거하는 것
- 재발을 방지하는 것
2) 치료 방법
- 단순관찰법/산소흡입법
: 기흉이 첫번째 발생 했을 때 기흉의 크기가 한쪽 흉곽의 15% 미만인 경우 저절로 흡수됨
보조적으로 산소를 공급시 흡수속도가 단순히 관찰하는 것보다 빨라짐
단순관찰법 또는 산소흡입법은 기흉이 크게 생겼을 경우에는 모두 흡수되는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사용할 수 없음
- 단순공기제거법
: 주사기를 이용하여 늑막강 내의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간편하게 기흉을 빨리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기흉의 재발을 방지하지는 못함
- 흉관삽입법
: 늑막강 내로 흉관을 삽입하여 공기를 빼내는 방법으로 흉관을 삽입한 그 자체만으로도 기흉을 어느 정도 예방하는 효과도 있음
- 흉막유착법
: 기흉은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사이의 공간에 공기가 차는 현상이므로 장측흉막과 벽측흉막
이 들러붙어 있는 경우(흉막유착)에는 공기가 고일 공간이 없어 기흉이 재발하지 않음
삽입된 흉관을 통해 화학약품을 늑막강내에 넣어 인위적으로 흉막유착을 일으키는 방법
- 흉강내시경 또는 개흉술
: 수술을 통해 공기가 새는 폐의 구멍난 부분을 막고 기포를 제거하며 흉막유착술을 시행해 기흉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
2. 기흉의 분류
산 소 요 법
1. 환기 조절
1) 환기
- 신경성조절: 뇌의 호흡중추의 활동성을 통한 규칙적인 환기
- 화학적조절: 화학적 조정의 변동으로 신경조절을 보완하는 경우
- 흡식중추, 호식중추 : 연수에 있으며 길항작용
- 지속성 흡식중추(Apneustic center) : 뇌교 하부 2/3에 존재하며 지속적인 흡입을 촉진시 킴
- 호흡조절중추(Pneumotatic center) : 뇌교 상부 1/3에 위치하며 미주신경과 더불어 지속성 흡식중추의 기능을 억제함. 폐감수체(호흡기계의 물리적 변화에 반응하는 감수체)와 화학감수체(산소농도와 탄산가스 농도의 변화에 반응하는 감수체)로부터의 흥분을 호흡중추로 보냄
- 폐 감수체(폐 → 호흡중추)
irritant receptor - 기도상피에 있으며 자극되면 기관지 수축, 환기속도 증가됨.
stretch receptor - 기도평활근에 있으며 자극되면 환기속도, 폐용적이 증가됨.
J receptor - 폐포 격막 모세혈관 주위에 있으며 폐포크기에 민감하여 빠르고 얇은 호흡.
- 화학 감수체 - PaO2, PaCO2, pH
동맥혈의 PaO2, PaCO2, pH의 변화에 의해 폐포환기를 조절합니다. 중추화학수용체는 연수 상부에 위치하는 chemos Sitive Area(CSA)로 주로 H+농도에 반응하며 특히 뇌척수액(CSF), pH 변화에 민감합니다. 말초화학수용체는 대동맥소체와 경동맥소체에 위치하며 동맥혈의 산소포화도와 폐포내 CO2의 증가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PaCO2 60이하일 때 환기에 영향을 줍니다.
2) 동맥혈내 산소함량
- 혈액 100㎖당 약 20㎖의 산소 운반(Hb - 19.7㎖, Plasma 용해-0.3㎖)
- SaO2(동맥혈내 산소 포화도: 산소와 결합하는 혈색소의 %)
- 1gm의 혈색소가 산소 한분자와 결합하는 힘 1.38
- 혈액의 산소 용해계수 0.003
- 동맥혈내 산소함량 = (1.38×Hb) ×SaO2(소수) +0.003×PaO2(동맥혈 산소분압)
예를 들면 Hb : 15g/dL, PaO2 100, SaO2 96%일 때 동맥혈 100㎖당 산소함량을 (1.38×15×0.96) +100× 0.003≒20(㎖)
2. 저산소혈증 (Hypoxemia)
1) 정의
: 조직에서 산소화에 필요한 산소가 부족한 상태
Hb 정상으로 산소가 부족한 상태- PaO2↓
2) 원인
- 흡인 공기중의 산소부족 - 마취, 기계호흡 중 사고, 높은 고도
- PaO2↓-기도폐쇄, 폐포 환기량 ↓
- SaO2 ↓ - Hb ↓ , CO중독
- 산소요구↑-fever. burn, hyperthyroidism
- 환기 저하
- 순환 및 환기 불균형으로 폐포내 PaO2↓
- Shunt (VSD, TOF, PDA)
3) 산소운반
- 심박출량과 동맥혈내 산소함량에 의해 결정
: 산소공급 = 심박출량(C.0)×동맥혈내 산소함량 = C.O×{(1.36×Hb×SaO2)+(0.003×PaO2)}
So, 혈액내 혈색소나 산소포화도가 감소하였을 때 조직에 일정한 산소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심박출량을 증가시켜야 함.
4) 산소소모 (산소요구량)
; 공급된 산소와 조직에서 소모되고 남아 되돌아 오는 혼합정맥혈의 산소함량의 차이
SvO2(혼합정맥 산소포화도) = O2 Delivery - O2 Consumption
- SvO2는 mixed venous oxygen saturation으로 폐동맥내의 산소포화도를 측정하는 것.
전체적인 산소공급, 심박출량, Hb, SaO2. 산소소비량을 반영함.
- 산소소모량 = 심박출량×(동맥혈내 산소함량 - 혼합정맥혈내 산소함량)
VO2 = C.O × {(1.38×Hb×SaO2×10) - (1.38×Hb×SvO2×10)}
VO2 = C.O × (1.38×Hb×10) × (SaO2-SvO2)
SaO2-SvO2 = VO2 / C.O ×1.38×Hb×10
SvO2 = SaO2 - (VO2 / C.O ×1.38×Hb×10)
* 10 : Vol %(ml/100ml) →ml/s(ml/min

키워드

  • 가격3,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3.05.05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34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