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머리말
2. 허봉의 生涯
2. 조선시대의 野史
3. 海東野言의 특징
ㄱ.해동야언의 서술의식
ㄴ.해동야언의 서술양식
4. 맺음말
※ 참고문헌
2. 허봉의 生涯
2. 조선시대의 野史
3. 海東野言의 특징
ㄱ.해동야언의 서술의식
ㄴ.해동야언의 서술양식
4. 맺음말
※ 참고문헌
본문내용
그러한 체계를 취한 것도 아니기 때문에 기사본말체도 아니다. 그러나 해동야언의 서술체계는 기사본말체라고 이해되는『연려실기술』과 흡사한 점이 있다. 연려실기술이 한 왕대의 기록을 故事本末, 相臣, 文衡, 名臣, 遺逸 등으로 나누어 서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연려실기술』의 기본골격만은 해동야언과 같은 것으로 파악된다. 물론 상세하게 따지면『연려실기술』에서는 故事本末의 부분은 기사본말체적인 서술방식으로 사건을 정리하고 있어서 해동야언과는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체계는 중국의 기사본말체와는 근본적인 차이를 갖는 조선의 독특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해되고 잇다. 그러한 관점에서『연려실기술』이 갖은 독특한 서술방식은 해동야언에서 발전한 형태로, 이러한 일련의 역사서술 양식을 ‘野史體’라고 명명할 수도 있다고 생각된다.
4. 맺음말
지금까지 허봉이 쓴 해동야언의 배경적 요소를 살펴 보았다. 우선 해동야언의 저자인 허봉의 생애를 서술하고, 당시 조선시대의 野史적 특징을 검토해보았다. 이어서 해동야언의 서술의식과 서술양식을 살펴보았다. 서술의식은 당대사의 필요성과 관찬사서와는 다른 시각의 역사서술의 필요성을 들 수 있고, 서술양식은 실증주의적 서술방식으로,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성이 있으므로 ‘野史體’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해동야언의 배경적 요소를 살펴 보는 과정은 본격적인 해동야언을 연구하는데에 기초가 될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해동야언을 보다 깊이 살펴보고, 그 의의를 찾아내는 점은 숙제로 남기며 글을 마치겠다.
※ 참고문헌
최이돈, 海東野言에 보이는 許의 當代史 인식, (한국문화 제15집, 1994.12)
4. 맺음말
지금까지 허봉이 쓴 해동야언의 배경적 요소를 살펴 보았다. 우선 해동야언의 저자인 허봉의 생애를 서술하고, 당시 조선시대의 野史적 특징을 검토해보았다. 이어서 해동야언의 서술의식과 서술양식을 살펴보았다. 서술의식은 당대사의 필요성과 관찬사서와는 다른 시각의 역사서술의 필요성을 들 수 있고, 서술양식은 실증주의적 서술방식으로, 기존의 방식과는 차별성이 있으므로 ‘野史體’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해동야언의 배경적 요소를 살펴 보는 과정은 본격적인 해동야언을 연구하는데에 기초가 될 것이다. 이러한 요소들을 통해 해동야언을 보다 깊이 살펴보고, 그 의의를 찾아내는 점은 숙제로 남기며 글을 마치겠다.
※ 참고문헌
최이돈, 海東野言에 보이는 許의 當代史 인식, (한국문화 제15집, 1994.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