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노플리효과와스타벅스의한국진출,파노플리효과,스타벅스코리아의마케팅전략,스타벅스현지화전략실패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노플리효과와스타벅스의한국진출,파노플리효과,스타벅스코리아의마케팅전략,스타벅스현지화전략실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시작하면서
  스타벅스 기업 소개

Ⅱ 본론
 1. 파노플리 효과와 스타벅스의 한국진출
 2. 시장 환경 분석
  1) 일반 환경 분석
  2) 커피산업 분석
  3) 커피전문점 시장분석
  4) 국내 시장 분석
 3. 스타벅스코리아의 마케팅 전략
  1) STP분석
  2) 스타벅스의 4P+1P=5P 전략
  3) SWOT분석
 4. 호주시장에서의 실패 : 브랜드맹신 & 현지화전략 실패
  1) 호주시장에서의 실패
  2) 호주시장에서의 실패원인
  3) 한국시장과의 비교
 5. 스타벅스의 위기
  1) 미국內에서도 흔들리는 스타벅스
  2) 스타벅스의 대응
  3) 스타벅스가 추구해야 할 가치

Ⅲ 전망 및 시사점



자료 출처
후기 및 역할분담

본문내용

파스쿠찌는 고급스럽고 깔끔한 인테리어와 개인적인 공간을 배려한 점 등으로 소비자들을 어필하고 있다. 혼자 혹은 여러 명이 가더라도 적당한 공간 배려와 흡연실, 푹신한 의자가 돋보인다. 커피의 맛도 가장 부드럽고 향기도 은은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 시장 진출은 2002년도로 다른 업체들에 비해서 가장 느리다)
자이브 에스프레소 - 미국 LA에 법인을 가지고 있는 기업으로,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맛이 특징이다. 각종 커피와 티를 비롯하여 샌드위치, 베이글 등도 제공하고 있다.
로즈버드 - 에스프레소 원두를 직접 생산하여 원재료 비용이 낮으며, 편리한 테이크아웃 시스템이 특징이다. 원두 커피 제조회사이자 커피 체인 전문회사로, 1968년 개업하였다.
할리스 - 1998년 설립 된 국내 토종 브랜드로, 해외 브랜드에 비해 가격이 싸고, 한국적인 메뉴가 마련되어 있어 인기를 끌고 있다. 말레이시아 등 아시아 다른 지역에도 진출 해 있다.
다빈치 - 2000년 일호점 개점 후 국내 지방을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토종 지역 브랜드이다. 다빈치 역시 여타 외국 브랜드에 비해 천원~이천원 정도 싼 가격과, 잘 구축 된 마일리제 제도, 다양한 제품 군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4) 국내 시장 분석
① 시장 현황
우리나라의 경우 1970년대 말까지 평범한 도시인들의 사업장이나 휴식공간으로 자리 잡았던 다방 중심의 커피문화는,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외식산업의 성장을 통해 커피에 관한 소비자의 인식이 바뀌며 새로운 모습으로 변모되었다. 이전까지의 인스턴트 커피시장이 전부였던 커피시장에 원두커피가 처음으로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후반부터는 스타벅스, 커피빈, 파스쿠찌 등 다국적 외국 브랜드들이 국내 시장에 진입하기 시작하였고, 이러한 커피 전문점들은 웰빙 열풍과 더불어 소비자들의 욕구 만족 심리 및 감성 소비 경향 등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 자리 잡고 있다.
- 2008년 기준 국내 커피전문점 현황
매장 명
회사명
론칭시기
2008. 3
점포 수
올해 출점목표
특징
스타벅스
스타벅스코리아
1999
236
40~50
미국계 커피전문점
직영방식으로 대형 매장 운영
커피빈
커피빈코리아
2001
115
40~50
미국계 커피전문점
직영방식으로 대형 매장 운영
파스쿠찌
SPC그룹
2002
40
10
이탈리아계 커피전문점
직영방식으로 대형 매장 운영
할리스커피
할리에이치앤엔
1998
132
70~80
국내브랜드로 말레이시아 진출
엔제리너스
롯데리아
2000
98
60~70
정통 시애틀식 커피 전문점
자바커피에서 브랜드명 교체
탐앤탐스
탐앤탐스
1999
71
70~80
점포형 가맹사업
② 시장 전망
젊은 여성들의 전유물로 생각됐던 커피 전문점 이용이 남성과 중, 장년층으로까지 확산되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하면서 ‘커피를 마신다’는 것이 더 이상 ‘미각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시각과 감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문화’라는 것을 반증하며, 세대를 뛰어 넘는 이용자들의 확산을 통해 커피전문점의 성장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2006년까지 국내 커피 수입량은 꾸준한 증가세를 보였다. 먼저 생두의 경우 1998~2002년 사이 평균 19.6% 증가했고, 06년 역시 전년 동기비 1.6% 오른 21.8%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원두도 마찬가지다. 2000년 67.8%라는 큰 상승 이후 2001~2003년 평균 18.4%의 하락세를 보였으나 2004년부터 올 해까지는 다시 평균 38.4%의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 때에 따라 기복이 있기는 하나 이는 무역산업에서 일반적인 현상으로 비교적 안정된 축에 낀다. 커피 수출량은 매년 수치의 +, -가 큰 차이로 내리 오름세를 반복하여 확실한 방향 분석이 불가하다. 그러나 올해, 생두나 인스턴트는 하향세를 띤 반면 원두 수출량만이 31.7%의 증가율을 나타낸 것에는 주목할 만하다. 이는 국내 로스팅의 활성화로, 수입 로스티드 커피에 의존하던 기존 경향이 핸드드립·자가배전숍의 급증으로 우리식 커피에 대한 관심, 나아가 수출까지 성립시키는 현상까지 불러온 것이다. 문화로서의 커피 정착과 지속적인 노력이 동반된다면 곧 수치 안정화는 물론 증가까지 노릴 수 있을 것이다.
③ 고객 분석
한국과 일본 미국의 커피 형태별 소비 비율(2003년)
국민 1인당 년간
생두 수입량 (톤)
커피형태 별 커피 소비비율
소비잔
생두 소비량
원두 커피
인스턴트 커피
미국
600잔
4.25 Kg
1,300,000
92%
8%
일본
470잔
3.20 Kg
400,000
40%
60%
한국
300잔
1.65 Kg
80,000
5%
95%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 미국이나 일본의 커피시장에 비해 원두커피의 소비비율이 월등히 낮으며 일인당 소비량에도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국의 커피 형태별 소비 비율(년 간)
2005년 사용추정
10년 후 예상
비고
소비비율
생두량(톤)
소비비율
생두량(톤)
원두커피
5%
5,000
15%
25,000
5배 성장
인스턴트커피
95%
67,000
85%
75,000
소 계
72,000
100,000
한국무역협회(www.kita.net)
세계 커피 시장을 살펴보면 한국의 미래 커피 시장도 20,000불 소득 증가를 넘어서면 생활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인간의 욕구에 의하여 고급 원두커피 시장으로 변할 것은 쉽게 예상된다. 세계화 추세에 따라 10년 후에는 국민 소득이 최소한 2만 불을 초과할 것이며, 국민 1인당 연간 소비잔 수가 360잔(현재보다 20% 증가)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며, 인스턴트커피 vs 원두커피의 소비 비율도 최소한 85:15로 변화될 것으로 예측한다. 예상대로 진행된다면 원두커피 시장은 지금의 약 5 배로 성장할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의 커피 소비량 :
우리나라 국민의 커피 구매속성
3. 스타벅스코리아의 마케팅 전략
1) STP분석
① Segmentation
스타벅스가 시장을 세분화하는 핵심적인 기준 중의 하나는 연령층에 따른 분류이다.
a. 10대 : 청소년들은 일반적으로 커피보다는 탄산음료를 즐겨 마신다, 또한 커피전문점보다는 패스트푸드점을 선호한다. 중, 고등학생들이 잠을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3.05.14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55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