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1) 연구분석
2) 문제제기
2. 한류(韓流)의 기원과 정의
3. 한류의 형성 원인 - 대외적 원인 중심으로
1) 문화적 욕구의 대안
2) 낮아진 문화 장벽 : 중국의 경우
3) 21C 동아시아적 가치 공유
4) 홍콩의 중추적 기능 상실
5) 한국경제 성장의 모델화 - 동아시아의 선망의 대상
4. 한류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
1) 민족주의적 시각
2) 좌파적 시각
5. 한류에 정체성은 과연 존재하나?
1) 한류의 문화적 코드
2) 한국문화의 코드
6. 한류의 성공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성들
1) 내 용 : 보편성과 독자성
2) 형 식 : 제작역량과 기획력
3) 분석결과
7. 전망 및 결론
1) 연구분석
2) 문제제기
2. 한류(韓流)의 기원과 정의
3. 한류의 형성 원인 - 대외적 원인 중심으로
1) 문화적 욕구의 대안
2) 낮아진 문화 장벽 : 중국의 경우
3) 21C 동아시아적 가치 공유
4) 홍콩의 중추적 기능 상실
5) 한국경제 성장의 모델화 - 동아시아의 선망의 대상
4. 한류를 바라보는 부정적 시각
1) 민족주의적 시각
2) 좌파적 시각
5. 한류에 정체성은 과연 존재하나?
1) 한류의 문화적 코드
2) 한국문화의 코드
6. 한류의 성공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성들
1) 내 용 : 보편성과 독자성
2) 형 식 : 제작역량과 기획력
3) 분석결과
7. 전망 및 결론
본문내용
지면 들어가기도 쉽지만 나오는 것도 쉽다. 세계의 기업들이 중국 시장을 향해 뛰어드는 것처럼, 중국인들은 문을 열고 나오기 시작했다. 중국인들은 주변국의 문화와 그들의 정서를 예전보다 훨씬 자유롭게 접하고 수용할 수 있게 되었다. 바야흐로, 중국인들은 세계인으로의 변신을 도모하고 있다. 중국이 한류의 최대 수용국가가 된 것은, 이러한 정세 속에서 주변국 중에서도 역사적지리적으로 오랜 관계를 맺어 온 한국의 대중문화와 쉽게 접할 수 있었고, 한국의 대중문화에 대해 호의적 태도를 가질 수 있었기에 가능한 측면이 크다.
3) 21C 동아시아적 가치 공유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 문화권에서 높은 호소력을 갖는 이유는 유교문화에 뿌리를 둔 정서적 공감대를 들 수 있다. 미국 할리우드와 일본 드라마의 장점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소화한 한국 문화의 독특한 색깔이 같은 유교 문화권인 중국대만을 아우르는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다. 아시아인들은 지나치게 서구화되어 있고 극단적인 부분이 강한 일본 문화보다는 서구의 세련됨과 한국적인 요소가 잘 조화되어 있는 한국 문화가 그들의 정서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한류에 열광하는 나라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우리처럼 전통적으로 예(禮) 문화에 의해서, 또는 마르크시즘과 같은 근대성에 의해서 광기가 억압된 경험을 갖고 있으면서, 탈근대화를 맞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도 우리가 그랬듯이 광기를 다스릴 제의의 빈곤을 경험하였던 것이다. 그러던 차에 한류를 수용하게 된 것인데, 이데올로기로 문화 소비자를 만족시켜주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서 소비의 쾌락을 증대시켜 주었다. 전쟁에서 사기가 오르려면 영웅이 있어야 하듯이 소비가 즐거우려면 소비 영웅이 필요하다. 할리우드 스타를 영웅으로 숭배할 수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이질적이다.
4) 홍콩의 중추적 기능 상실
중국 및 중화 상권의 문화적 중계기지 역할을 하던 홍콩이 더 이상 컬처 베이스 역할을 하지 못하자 그 틈새를 우리가 파고든 셈이다. 물론 홍콩 문화가 70,80년대 한국을 점령한 일부 쿵푸 영화 외에 특별한 컨텐츠가 없다는 점도 한계이었지만 97년 중국 본토로 편입이후 홍콩의 문화는 그 영향력을 잃고 미국의 헐리우드로 그 무대를 옮긴 것도 큰 이유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류는 자본주의 문화가 확산되고있는 동아시아 지역에 일본과 홍콩이 기피되고 빠져버린 공백이라는 일종의 틈새에서 문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5) 한국경제 성장의 모델화 - 동아시아의 선망의 대상
한국의 대중문화 이면에는 진전된 정치적, 경제적 한국의 이미지가 투영되어 있다.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우리나라가 1970년대 그랬던 것처럼 경제발전이 최대 과제가 되었다. 그들에게 있어서 한국은 \'경제발전의 이상적 모델\'이 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대중문화가 전 세계를 석권한다는 것은 미국의 힘이 배경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 대중문화가 아시아권에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은 경제적으로도 어느 정도 성과를 이뤘고, 정치적 민주화에서도 평가해줄 만한 일을 했고, 그런 것을 통해서 한국이란 나라가 만만한 나라가 아니구나 이런 생각 없이 노래하나만 가지고 전달이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같은 동아시아인으로서 우리도 한국처럼 발전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이다. 베트남의 경우 경제개혁 초기에 베트남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것은 문화가 아닌 경제였다. 베트남이 문호를 개방하고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을 때, 다른 나라의 경제 발전에 대해 관심을 가져 주의 깊게 연구하였다. 그 시기에는 \"용으로 변하는 나라, 아시아의 용\" \"용으로 변하여 승천할 수 있는\"....그런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한국은 그런 나라 중 하나였다.\" 그들의 표현대로 \'용으로 승천한 나라\' 한국에 대한 베트남의 관심은 지대한 것이었다. 그 관심은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호감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보면 국내 시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나름대로 쌓인 드라마의 제작 기술, 스타시스템 등을 통해 만들어진 문화컨텐츠가 시기적으로 환경적으로 발생된 동아시아의 문화적 욕구에 그 코드를 맞춤으로써 한류라는 문화의 흐름을 만들어낸 것이다.
5. 한류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
1)민족주의적 시각
한류를 비판하는 시각은 두가지 정도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민족주의적 입장이고 하나는 좌파적 입장이다. 민족주의적 입장에서는, 이들 대중문화의 장르들이 우리 고유의 문화를 담보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박길성의 논평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는 공연 ‘난타’나 영화 ‘춘향뎐’‘JSA 공동경비구역\' 등 한국인의 심성을 담은 작품이 성공했음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근자의 한류 열풍을 과대평가해서는 안 된다. 열풍의 내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동안 자신들의 욕구를 분출시킬 만한 돌파구가 없었던 중국의 청소년들에게 한국 젊은 가수들의 세련된 외모와 멋진 춤, 그리고 신나고 속도감 있는 댄스 음악이 그들을 매혹시킨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한국인의 심성에 대한 감동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는 한류 열풍을 지속시킬 수 있는 재생산 구조가 취약할 수 밖에 없다.(조한혜정.2003.14재인용)’
중국의 청소년들이 열광하는 댄스음악에는 우리의 것이 담겨 있지 못하고 그래서 우리 문화정체성의 전파가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당연히 그런 한류는 재생산 구조가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2)좌파적 시각
좌파적 입장에서는 그들 장르가 파행적 자본주의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이동연은 문화인프라도 제대로 안 갖추어진 나라의 한류를 그 근거에서 비판하고 나선다.
‘한류는 지배적 문화 유형 형식이 생산해낸 또 하나의 오리엔탈리즘이고, 천박한 B급 문화자본의 파생물이며, 문화를 정치외교장의 교두보로 환원하고 문화적 컨텐츠를 화폐의 총량으로 환산하려는 산업적 국가주의의 산물이다. (조한혜정 2003.27재인용)
제대로 된 문화 상품이 형성될 수 없는 공간에서 만들어진 B급 문화의 정통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의 지적은 일면 옳다. 수준 있는 문화상품을 만들어서 수
3) 21C 동아시아적 가치 공유
한국 대중문화가 중국 문화권에서 높은 호소력을 갖는 이유는 유교문화에 뿌리를 둔 정서적 공감대를 들 수 있다. 미국 할리우드와 일본 드라마의 장점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소화한 한국 문화의 독특한 색깔이 같은 유교 문화권인 중국대만을 아우르는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다. 아시아인들은 지나치게 서구화되어 있고 극단적인 부분이 강한 일본 문화보다는 서구의 세련됨과 한국적인 요소가 잘 조화되어 있는 한국 문화가 그들의 정서에 적합하다고 생각한다.
한류에 열광하는 나라들의 공통점이 있다면, 그것은 우리처럼 전통적으로 예(禮) 문화에 의해서, 또는 마르크시즘과 같은 근대성에 의해서 광기가 억압된 경험을 갖고 있으면서, 탈근대화를 맞이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이들도 우리가 그랬듯이 광기를 다스릴 제의의 빈곤을 경험하였던 것이다. 그러던 차에 한류를 수용하게 된 것인데, 이데올로기로 문화 소비자를 만족시켜주었을 뿐만 아니라, 더불어서 소비의 쾌락을 증대시켜 주었다. 전쟁에서 사기가 오르려면 영웅이 있어야 하듯이 소비가 즐거우려면 소비 영웅이 필요하다. 할리우드 스타를 영웅으로 숭배할 수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너무 추상적이고 이질적이다.
4) 홍콩의 중추적 기능 상실
중국 및 중화 상권의 문화적 중계기지 역할을 하던 홍콩이 더 이상 컬처 베이스 역할을 하지 못하자 그 틈새를 우리가 파고든 셈이다. 물론 홍콩 문화가 70,80년대 한국을 점령한 일부 쿵푸 영화 외에 특별한 컨텐츠가 없다는 점도 한계이었지만 97년 중국 본토로 편입이후 홍콩의 문화는 그 영향력을 잃고 미국의 헐리우드로 그 무대를 옮긴 것도 큰 이유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한류는 자본주의 문화가 확산되고있는 동아시아 지역에 일본과 홍콩이 기피되고 빠져버린 공백이라는 일종의 틈새에서 문화적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5) 한국경제 성장의 모델화 - 동아시아의 선망의 대상
한국의 대중문화 이면에는 진전된 정치적, 경제적 한국의 이미지가 투영되어 있다. 동아시아의 국가들은 우리나라가 1970년대 그랬던 것처럼 경제발전이 최대 과제가 되었다. 그들에게 있어서 한국은 \'경제발전의 이상적 모델\'이 되었기 때문이다. 미국 대중문화가 전 세계를 석권한다는 것은 미국의 힘이 배경이 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한국 대중문화가 아시아권에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은 경제적으로도 어느 정도 성과를 이뤘고, 정치적 민주화에서도 평가해줄 만한 일을 했고, 그런 것을 통해서 한국이란 나라가 만만한 나라가 아니구나 이런 생각 없이 노래하나만 가지고 전달이 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같은 동아시아인으로서 우리도 한국처럼 발전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게 된 것이다. 베트남의 경우 경제개혁 초기에 베트남 사람들이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졌던 것은 문화가 아닌 경제였다. 베트남이 문호를 개방하고 경제발전을 이루고 있을 때, 다른 나라의 경제 발전에 대해 관심을 가져 주의 깊게 연구하였다. 그 시기에는 \"용으로 변하는 나라, 아시아의 용\" \"용으로 변하여 승천할 수 있는\"....그런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가졌고 한국은 그런 나라 중 하나였다.\" 그들의 표현대로 \'용으로 승천한 나라\' 한국에 대한 베트남의 관심은 지대한 것이었다. 그 관심은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호감으로 이어졌다.
결과적으로 보면 국내 시장을 통해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나름대로 쌓인 드라마의 제작 기술, 스타시스템 등을 통해 만들어진 문화컨텐츠가 시기적으로 환경적으로 발생된 동아시아의 문화적 욕구에 그 코드를 맞춤으로써 한류라는 문화의 흐름을 만들어낸 것이다.
5. 한류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각
1)민족주의적 시각
한류를 비판하는 시각은 두가지 정도로 나누어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민족주의적 입장이고 하나는 좌파적 입장이다. 민족주의적 입장에서는, 이들 대중문화의 장르들이 우리 고유의 문화를 담보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바라본다. 박길성의 논평이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그는 공연 ‘난타’나 영화 ‘춘향뎐’‘JSA 공동경비구역\' 등 한국인의 심성을 담은 작품이 성공했음을 강조하면서 다음과 같이 이야기 한다.
‘근자의 한류 열풍을 과대평가해서는 안 된다. 열풍의 내막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동안 자신들의 욕구를 분출시킬 만한 돌파구가 없었던 중국의 청소년들에게 한국 젊은 가수들의 세련된 외모와 멋진 춤, 그리고 신나고 속도감 있는 댄스 음악이 그들을 매혹시킨 것으로 보인다. 다시 말해 한국인의 심성에 대한 감동이라고 보기 어려운 점이 있다. 이는 한류 열풍을 지속시킬 수 있는 재생산 구조가 취약할 수 밖에 없다.(조한혜정.2003.14재인용)’
중국의 청소년들이 열광하는 댄스음악에는 우리의 것이 담겨 있지 못하고 그래서 우리 문화정체성의 전파가 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러니 당연히 그런 한류는 재생산 구조가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2)좌파적 시각
좌파적 입장에서는 그들 장르가 파행적 자본주의의 한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비판적이다. 이동연은 문화인프라도 제대로 안 갖추어진 나라의 한류를 그 근거에서 비판하고 나선다.
‘한류는 지배적 문화 유형 형식이 생산해낸 또 하나의 오리엔탈리즘이고, 천박한 B급 문화자본의 파생물이며, 문화를 정치외교장의 교두보로 환원하고 문화적 컨텐츠를 화폐의 총량으로 환산하려는 산업적 국가주의의 산물이다. (조한혜정 2003.27재인용)
제대로 된 문화 상품이 형성될 수 없는 공간에서 만들어진 B급 문화의 정통성을 인정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의 지적은 일면 옳다. 수준 있는 문화상품을 만들어서 수
추천자료
민들레영토 마케팅전략 성공사례 분석
바이러스마케팅 특성과 성공사례 분석
아동대상 창업의 분석과 성공사례 및 성공전략
태평양의 해외진출 성공사례에 관한 조사
디자인 성공사례
유튜브 성공사례 분석 및 연구
국제경영/스타벅스해외진출성공사례/SWOT분석
우정사업본부- 우체국택배 마케팅 성공사례
[국제경영]_윤리경영_성공사례,_실패사례
금호 건설 그린 마케팅, 성공사례, 요인, 시장환경 분석, 경영전략, 분석, STP전략, 마케팅 ...
산업현장 성공사례
애플 iPod의 한국 진출 실패사례와 일본 진출 성공사례
[ 아모레퍼시픽 중국진출 마케팅성공사례분석 ]아모레퍼시픽 중국시장진출전략과 마케팅 4P,S...
모호함 - 기업의 성공사례, 기업의 실패사례 ( 에어비앤비, 광동제약, 비타500, 샤오미, 나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