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전압변화의 그래프를 그려보면 다음과 같다.
그래프를 보면 편광판의 각이 변함에 따라 검출되는 빛의 세기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편광판과 빛의 편광방향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즉, 두 편광방향이 수직을 이룰 때는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지 못하고 방향이 같을 때에는 모든 빛이 통과하게 된다. 또한 두 편광방향이 이루는 각이 0<θ<90일 때에는 Iocos2θ 의 빛이 통과하게 된다. (Io는 원래 빛의 세기) 한편, 검출기의 전압이 5.9mV 이상으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서 주기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검출기가 5.9mV 이상 측정하지 못하는 검출기의 측정 한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실험장치의 한계상 주기성은 확실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빛의 세기 변화추이로 볼 때 실험에서 사용한 레이저는 편광된 빛이라고 할수 있다. ⑤ 브루스터의 각 조사
실험 결과 반사각과 굴절각이 90o 를 이룰 때의 입사각, 즉 브루스터각은 (52 ± 0.5)o 였다. 이 실험결과는 이론식(θB = tan-1n)을 통하여 구한 브루스터의 각과 거의 차이가 없다.
θB = tan-1n = tan-1(1.33)
= 53.1o
⑥ 빛의 속도 측정
측정된 지연시간(t)과 광섬유의 길이(l)를 통하여 광섬유 속에서의 빛의 속도(v=l/t)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연시간(ns)
빛의 속도(m/s)
20m 광섬유
17*103
1.2*106
40m 광섬유
20*103
2.0*106
실험에 의하여 얻어진 빛의 속도를 통하여 진공 중에서의 빛의 속도(c=n*v)를 구해보면 각각 1.8*106m/s, 3.0*106m/s 로서 실제 진공 중에서의 빛의 속도(3*108m/s)와 차이가 상당히 크다. 이것의 원인은 노이즈로 인하여 파형을 정확히 읽는데 어려웠던 것, 오실로스코프의 조작 미숙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결론
이번실험을 통하여 스넬의 법칙과 반사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편광실험을 통해 빛의 편광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브루스터 각 실험에서는 빛이 특정한 각으로 입사할 경우 편광된 빛이 반사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편광현상을 관찰하는 실험에서는 실험장치의 한계로 편광주기를 확인하는데 실패하였다. 하지만 200o이상까지 측정하였다면 미숙하나마 편광주기를 확인할 수 있었을 텐데 그렇게 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그리고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 작동이 다소 미숙했던 점이 아쉽다.
그래프를 보면 편광판의 각이 변함에 따라 검출되는 빛의 세기가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편광판과 빛의 편광방향 차이에서 오는 것이다. 즉, 두 편광방향이 수직을 이룰 때는 빛이 편광판을 통과하지 못하고 방향이 같을 때에는 모든 빛이 통과하게 된다. 또한 두 편광방향이 이루는 각이 0<θ<90일 때에는 Iocos2θ 의 빛이 통과하게 된다. (Io는 원래 빛의 세기) 한편, 검출기의 전압이 5.9mV 이상으로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아서 주기성이 잘 나타나지 않는데 이는 검출기가 5.9mV 이상 측정하지 못하는 검출기의 측정 한계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실험장치의 한계상 주기성은 확실하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빛의 세기 변화추이로 볼 때 실험에서 사용한 레이저는 편광된 빛이라고 할수 있다. ⑤ 브루스터의 각 조사
실험 결과 반사각과 굴절각이 90o 를 이룰 때의 입사각, 즉 브루스터각은 (52 ± 0.5)o 였다. 이 실험결과는 이론식(θB = tan-1n)을 통하여 구한 브루스터의 각과 거의 차이가 없다.
θB = tan-1n = tan-1(1.33)
= 53.1o
⑥ 빛의 속도 측정
측정된 지연시간(t)과 광섬유의 길이(l)를 통하여 광섬유 속에서의 빛의 속도(v=l/t)를 구해보면 다음과 같다.
지연시간(ns)
빛의 속도(m/s)
20m 광섬유
17*103
1.2*106
40m 광섬유
20*103
2.0*106
실험에 의하여 얻어진 빛의 속도를 통하여 진공 중에서의 빛의 속도(c=n*v)를 구해보면 각각 1.8*106m/s, 3.0*106m/s 로서 실제 진공 중에서의 빛의 속도(3*108m/s)와 차이가 상당히 크다. 이것의 원인은 노이즈로 인하여 파형을 정확히 읽는데 어려웠던 것, 오실로스코프의 조작 미숙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결론
이번실험을 통하여 스넬의 법칙과 반사의 법칙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편광실험을 통해 빛의 편광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브루스터 각 실험에서는 빛이 특정한 각으로 입사할 경우 편광된 빛이 반사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편광현상을 관찰하는 실험에서는 실험장치의 한계로 편광주기를 확인하는데 실패하였다. 하지만 200o이상까지 측정하였다면 미숙하나마 편광주기를 확인할 수 있었을 텐데 그렇게 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그리고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 실험에서 오실로스코프 작동이 다소 미숙했던 점이 아쉽다.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빛의 간섭 사전보고서
빛의편광 예비 결과 보고서
빛의 속력 측정, 빛의 속도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파동-입자의 이중성실험
빛의 속력 측정, 빛의 속도 측정 실험보고서 (일반물리학 실험)
빛의 분산 실험 보고서
[일반물리학실험 예비보고서] 이중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
편광 레포트 실험보고서 A+
[공학] 마이켈슨 간섭계 실험 - 분광기를 이용한 스펙트럼 측정[회절격자에 의한 빛의 파장 측정
[현대물리실험] 파동 입자의 이중성 실험
기초 광 실험 보고서 - 굴절과 반사 실험 (스넬의 굴절 법칙)
[일반물리실험보고서] 빛의 회절과 간섭 : 빛의 파동성인 간섭과 회절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일반물리학 및 실험2 빛의 회절과 간섭 실험 6번 결과,빛의 회절 단일 슬릿 실험
일반물리학一般物理學실험 레포트-34장 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과 회절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