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장치 - 평면위에 전기장을 만들어서 그 위에서의 등전위선을 그려본다. 이로써 등전위선과 전기장(전기력선으로 나타내어짐)의 관계를 알아본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반물리학 실험] 등전위선 측정장치 - 평면위에 전기장을 만들어서 그 위에서의 등전위선을 그려본다. 이로써 등전위선과 전기장(전기력선으로 나타내어짐)의 관계를 알아본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표
2. 실험이론 및 원리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방법
5. 결과 및 토의

본문내용

데 그것은 실험에 사용된 시험전하 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는 전기력을 그리는 대신 로 같이 정의 되는 전기장을 그리면 해결된다. 전기장도 역시 벡터장으로 그 크기는 점전하
의 경우 로 주어지며 임의점에서의 방향은 시험전하가 그 점에서 받게될 힘의 방향과 같다. 즉 +에 의한 전기장의 모양은 같은 전하에 의한 림의 장의 모양과 똑같이 나타난다. 그러나 두 벡터장의 크기는 배만큼 차이가 난다.
이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전극모양에 따라 전기장의 크기와 방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한 것을 쉽게 알아보는 것이 등전위선을 찾아내는 것이다.
전위란 단위전하당의 퍼텐셜에너지로 정의 된다. 따라서 두 점간의 전위가 같다면(등전위) 두 점감의 퍼텐셜에너지 차이가 없다는 뜻이다. 따라서 등전위선(면)상에서 전하를 이동시키는데 드는 일은 영(0)이며 그 면에 접한 방향으로는 전기장이 영이 된다. 그러므로 전기장의 방향은 등전위면에 수직한 방향이 된다. 전기장이 일을 한다는 것은 정(+)의 전하가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이동하는 경우이므로 전기력선은 전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향한다. 따라서 전기장 의 방향은 그 점에서 전위 가 가장 급격히 감소하는 방향이다.
3. 실험 기구 및 장치
-
1. 저항이 큰 도체판
2. 검류계 또는 오실로스코프
3. 전원(전지, 가변직류전원 장치 또는 가변교류전원장치)
4. 여러 가지 모양의 전극 및 그 부품들
4. 실험방법
(1) 도체관(얇은 알루미늄판 또는 탄소판이 입혀진 먹지) 또는 전도용액(소금물등)을 그 림 2와 같이 사각접시의 바닥에 놓는다(얇은 전도용
  • 가격7,56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3.05.22
  • 저작시기2011.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8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