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학은 지배 이데올로기인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역사학은 지배 이데올로기인가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객관적 지식과 권력
2.진리와 지식은 권력의 산물인가
3.역사학은 지배 이데올로기인가
4.집단적 정체성과 역사 서술
*참고내용* 유럽중심주의와 지배이데올로기
Ⅲ.결론

본문내용

다. 그가 고등 교육 기관의 강사였기 때문에, 수백만 파운드를 투자한 대학 기관들로부터 소외감을 느끼고 있기 때문에 그가 아주 도전적으로 비난하는 것 일수도 있다. 대학과 같은 문화적 기관들을 단순히 지배적인 가치들의 전달자로 본다는 것은 어리석은 짓일지 모른다. 이 같은 기관은 오히려 사회 안의 모순의 여러 측면들 가운데 하나로서, 새롭고도 가끔 불온하며 파괴적인 지식과 개념들이 쏟아지고 논쟁되어지는 장소이다. 젠킨스와 그와 같이 생각한 대중적인 이론가들이 이데올로기를 물질적 이해를 표현하는 한 방식으로만 바라본다면 그들은 포스트모더니즘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다는 결론이 나온다.
4.집단적 정체성과 역사 서술
사회의 각 집단이 자신의 정체성을 세우는 수단으로 그 자신의 역사를 만든다는 주장은 문제성 있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그들 쪽에서는 그러한 역사를 쓸 수 있도록 하는 경험을 공유하지 못했기 때문이라 주장한다. 이것은 경험만이 진실의 유일한 중재자이며 보편적인 진실은 없으며 사람들 가운데 특정한 집단에 해당하는 특정한 진실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백인 남성 역사가들만이 죽은 백인 남성에 관하여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인데, 여러 포스트모던 이론가들의 의견에서 전문 역사학이 제공하는 과거에 대한 지배적인 견해가 그 서술들로부터 여타 다른 집단을 배제했다고 보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들 집단의 ‘진실’이 다른 종속적인 집단들의 그것보다 역사적으로 더 중요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카는 그가 보기에, 여성이나 문맹자 그리고 정치적으로 비조직적인 대중과 같이 역사 변화에 별로 또는 전혀 이바지하지 않는 사람들은 역사가들이 관심을 기울일 가치가 없음을 분명하게 밝혔다. 빈센트도 이 점에서는 카의 견해에 동의한다. 그러나 이것은 실제로는 그가 19세기 영국 정치권 상층의 역사를 넘어서 다른 종류의 역사학을 철저하게 모르고 있음을 고백하는 것이나 다름이 없다. 지난 30년 또는 그보다 더 긴 시기에 걸쳐 서유럽과 미국의 좀 더 넓은 역사학계에서 이런(빈센트가 애호하는) 종류의 역사학은 점차 소수파로 전락하였다. 그리고 대다수 역사가들의 관심을 끈 것은 가난한 사람들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 빼앗긴 사람들, 실제로 여성들이었으며, 이들이 가장 많은 책들의 주제가 되었다. 이것은 오직 부분적으로만 이른바 ‘정체성의 정치’(identity politics)와 관련될 뿐이다. 부랑자들에 관해서 기술해 온 역사가들 자신은 분명히 부랑자가 아니었다. 억압받는 집단들의 역사를 복원하는 것은 현재의 정치적·사회적·인종적 또는 성별의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어떤 시도보다도 사회의 근본적인 불평등 구조를 파헤치려는 욕구와 연결되어야 바람직한 것이다.
결국 어떠한 역사도 자서전일 수는 없다. 프랑스사는 프랑스인에게만 남겨놓기에는 너무나 중요한 주제이다. 독일사는 다른 나라에 너무나 커다란 영향을 주어서 독인인에게만 맡길 수 없다. 보스니아 사람만이 보스니아의 역사를 서술할 수 있다거나 세르비아인만이 세르비아의 역사를 쓸 수 있다는 원칙을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5.2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498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