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U이 가지고 있는 문제는 이것이 유용성과 모든 구성원을 행복하게 만든다는 두 개의 독립적인 변수를 극대화하도록 행위자에게 요구한다는 것이다. 달리 말하면 U은 유용성이 극대화되는 것만을 요구한다. 이런 경우에 a가 많은 사람을 행복하게 할 때조차도 행위자는 a를 해야 한다는 것을 함축한다.
유용성(U) : 한 행위가 옳을 필요 충분 조건은 그 행위가 행위자가 대신에 행할 수 있는 다른 행위에 의 한 것보다 많은 쾌락을 유발하고 적은 고통을 유발하는 경우다.
* U의 오류
a
100해돈
99돌러
+1유용성
a
90해돈
10돌러
+80유용성
a
10해돈
9돌러
+1유용성
U에 따르면 이 경우의 옳은 행위는 a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다른 대안들보다 높은 유용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U에 따르면 a는 a보다 더 많은 쾌락을 유발하지 못하고, a는 a보다 적은 고통을 유발하지 못한다. 따라서 U에 근거해서는 앞에서 기술된 모든 경우 중 옳은 경우는 없다. 난점은 우리가 독립된 두 개의 변수에 대한 극대화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최종적인 관점
U에서는 행위에 의해 산출된 고통이나 쾌락을 누가 느끼는가는 문제가 아니다. U에 따르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의 규준은 대안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는 유용성의 총량과 비교해서 그 행위에 의해서 산출되는 유용성의 총량이다.
☆★ 토론거리 ★☆
1. 공리주의는 행위의 결과를 중시한다. 행위의 규범적 상태를 결과에 의한 유용성으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한가?
2.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주장한다. 이에 따르면, 나의 개인적 이익(행복)과 다수의 이익이 상충되었을 때, 나는 전체의 행복의 극대화를 위해 나의 이익을 포기해야한다. 이를 받아들여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는 도덕적으로 정당한가?
3. 우리의 도덕적 상식에 의하면 약속을 지키는 것은 공리의 증진과는 무관하게 옳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공리주의는 공리증대의 이유로 약속을 파기하는 부도덕해 보이는 행위를 정당화해준다. 그렇다면 다음 물음을 생각해보자.
1) 우리의 도덕적 상식과 공리주의 중 어느 것을 따르는 것이 올바른가?
2) 신부는 고해 성사 시 고해 내용을 비밀로 유지해야 할 의무(약속)를 지닌다. 그런데 흉악한 범죄로 수배된 살인자가 신부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했다. 살인자를 신고한다면, 피해자를 포함한 다수의 행복이 증진될 수 있다. 이때에 신부는 어떤 행동을 취하는 것이 정당한지 토의해보자.
유용성(U) : 한 행위가 옳을 필요 충분 조건은 그 행위가 행위자가 대신에 행할 수 있는 다른 행위에 의 한 것보다 많은 쾌락을 유발하고 적은 고통을 유발하는 경우다.
* U의 오류
a
100해돈
99돌러
+1유용성
a
90해돈
10돌러
+80유용성
a
10해돈
9돌러
+1유용성
U에 따르면 이 경우의 옳은 행위는 a이다. 왜냐하면 그것은 다른 대안들보다 높은 유용성을 갖기 때문이다. 그러나, U에 따르면 a는 a보다 더 많은 쾌락을 유발하지 못하고, a는 a보다 적은 고통을 유발하지 못한다. 따라서 U에 근거해서는 앞에서 기술된 모든 경우 중 옳은 경우는 없다. 난점은 우리가 독립된 두 개의 변수에 대한 극대화를 요구한다는 것이다.
최종적인 관점
U에서는 행위에 의해 산출된 고통이나 쾌락을 누가 느끼는가는 문제가 아니다. U에 따르면 도덕적으로 옳은 행위의 규준은 대안에 의해서 산출될 수 있는 유용성의 총량과 비교해서 그 행위에 의해서 산출되는 유용성의 총량이다.
☆★ 토론거리 ★☆
1. 공리주의는 행위의 결과를 중시한다. 행위의 규범적 상태를 결과에 의한 유용성으로 평가하는 것은 타당한가?
2. 공리주의는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주장한다. 이에 따르면, 나의 개인적 이익(행복)과 다수의 이익이 상충되었을 때, 나는 전체의 행복의 극대화를 위해 나의 이익을 포기해야한다. 이를 받아들여 자신을 희생할 수 있는가? 그리고 이는 도덕적으로 정당한가?
3. 우리의 도덕적 상식에 의하면 약속을 지키는 것은 공리의 증진과는 무관하게 옳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공리주의는 공리증대의 이유로 약속을 파기하는 부도덕해 보이는 행위를 정당화해준다. 그렇다면 다음 물음을 생각해보자.
1) 우리의 도덕적 상식과 공리주의 중 어느 것을 따르는 것이 올바른가?
2) 신부는 고해 성사 시 고해 내용을 비밀로 유지해야 할 의무(약속)를 지닌다. 그런데 흉악한 범죄로 수배된 살인자가 신부에게 자신의 죄를 고백했다. 살인자를 신고한다면, 피해자를 포함한 다수의 행복이 증진될 수 있다. 이때에 신부는 어떤 행동을 취하는 것이 정당한지 토의해보자.
키워드
추천자료
- 빨리여~ 공리주의자들의 생각이여...(개고기)
- 행정행위(법률행위적 행정행위,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 공리주의 입장에서의 낙태 문제
- 쟁의행위
- 행정행위의 종류, 그리고 법률행위적 행정행위와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철학,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공리주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의 이신론, ...
- 법률행위적 행정행위,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
- 흄의 철학 (인물론, 이성에 대한 정념의 우위, 도덕감, 사회적 유용성, 공리주의)
- 공리주의와 정의론에 입각한 정의란 무엇인가
- 공리주의란, 칸트의 사상, 홉스의 사회계약사상, 덕의 윤리에 대해서 논하시오
- 행위 공위주의란 무엇인가
- [형사소송법] 소송행위(訴訟行爲)의 일반적 요소 - 소송행위의 주체, 소송행위의 내용, 소송...
- 철학개론 - 벤담의 질적 공리주의
- 사회복지의 동기(종교적 동기, 반사회적 동기, 인도주의적 동기, 공리주의적 동기, 경제적 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