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의 이해 - main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럽의 이해 - main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결에서 뚜렷이 드러남 : 순례성지들
- 바티칸시국
- 프랑스 남부 삐레네산맥 기슭의 루르드(Lourdes)
- 포르투갈 리스본 북쪽의 파티마(Fatima)
- 벨기에의 보랭(Beauraning)
- 아일랜드 서부의 녹(Knock)
- 폴란드 체스토초바(Czestochowa)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의 메쥬고리에(Medjugorje)
4. 유럽의 프로테스탄트교 문화권
- 북해와 발트해를 중심으로 하는 게르만 언어권과 거의 일치
- 1517년에 <종교개혁>의 선봉에 섰던 루터 추종파는 북독일, 스칸디나비아 3국, 아이슬란드,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등에 주로 분포
- 20세기에 접어들면서 유럽의 전통적 프로테스탄트교는 서서히 쇠퇴하고, 미국을 중심으로 하는 신프로테스탄트교(Neo-protestantism)의 물결이 유럽에 전파됨
☞독일의 북부지역, 스칸디나비아반도, 발트3국 : 루터교 중심
☞영국 : 영국교회(정교회)
☞스코틀랜드 : 장로교회
5. 유럽의 동방정교 문화권
- 그리스, 발칸반도, 우크라이나, 벨로루시, 러시아 등 슬라브 원어권의 동부유럽이 중심
- 현재 유럽 인구의 18%에 해당하는 1억 3천만 명의 유럽인이 동방정교를 신봉하고 있음
- 특징 : 정교혼합체제이며 국민주의적 색채가 강함
- 루마니아와 우크라이나의 종교적 체제의 특색 : 동방정교의 예식을 따르지만, 로마카톨릭의 교황을 인정하는 <합동동방카톨릭교회>를 수립
☞동방정교회 : 그리스 정교회+러시아정교회+...
6. 유럽의 다신교적 종교전통과 그리스도교의 탄생
- 초기의 유럽문화 : 고대 그리스의 종교는 문화적으로 앞섰던 메소포타미아의 문명☞티그리스강, 유프라테스강의 삼각주를 중심으로 일어난 문명의 영향을 받은 다신교적 문화였음
- 그리스도교가 로마에서 공인되고 이어서 로마의 국교로 선포된 후, 그리스도교인들은 로마의 태양신에게 바쳐졌던 일요일을 하나님을 위한 안식일로 바꿈
- 그리스-로마 신화의 수많은 신들은 그리스도교 수호성인들로 되살아났으며, 최고의 신이였던 제우스(쥬피터)는 하느님(Jehovah)으로 대체되었음
- 이교의 신전들은 교회로 변하고, 인간을 자연물의 일부로 간주하는 애니미즘적 세계관이 신이 인간을 창조하였다는 그리스도교의 교리에 의해 완전히 바뀜
7. 유럽 그리스도교의 발전에 있어서 <밀라노칙령>(313년)의 의미
- 그리스도교가 유럽에서 본격적으로 교세를 확장하는 시기 : 서기 3세기경
1) 서기 3세기의 상황
- 로마 말기에 극한에 이른 정치적 혼란과 경제적 궁핍은 사람들로 하여금 인간의 육체와 물질세계를 근본적으로 사악하거나 무의미한 것으로, 그리고 현세의 삶을 허망한 꿈에 불과한 것으로 여기도록 만들었음
- 따라서 사람들은 삶의 희망을 현세가 아닌 내세에서 찾게 되었으며, 현세에서의 영적인 힘의 지배와 내세에서의 구원의 절대적 우월성을 강조하는 신흥 종교들이 출현함
- 당대의 신흥종교들 중 하나였던 그리스도교의 확실한 구원관
- 하층계급 및 여성을 포함한 모든 게층에 대한 개방성
- 일반신도들의 신앙의 인도자로서 사제들로 조직된 계서체계
- 초기 그리스도교인들을 <카타콤☞지하묘소>에 모여 비밀리에 예배를 드릴 수밖에 없도록 만들었던 로마제국의 박해 → 그리스도교의 교세 확장에 큰 역할을 함
2) <밀라노 칙령>(313)의 공표 : 그리스도교가 로마제국에서 공인받는 역사적 사건
- 그리스도교의 로마 점령 단계
- 로마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274~337) : <밀라노 칙령>(313)으로 그리스도교를 공인하고, 로마제국의 수도를 흑해 연안의 도시 바잔틴(콘스탄티노플)으로 옮김(330) ☞동방정교회의 초석
-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346~395) : 그리스도교를 로마의 국교로 선포함(392)
8. <동방정교회(Eastern Orthodoxy)>의 탄생과 발전
1) 비잔틴제국
-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가 죽은 395년 이후, 로마제국의 영토는 동-서로 나뉨
- 서쪽의 로마를 중심으로 하는 <서로마제국>은 게르만족의 침입으로 476년에 멸망함
- 그러나 비잔틴 제국의 모체가 되는 로마제국의 동쪽영토(마케도니아, 트라키아, 이집트, 터키 등)에는 현재 터키의 이스탄불에 해당하는 비잔틴을 중심으로 <동로마제국>이 1453년 오스만투르크에 의해 멸망할 때까지 존속하게 됨
- <동로마제국>(일명 비잔틴제국)은 초기 그리스도교, 고대 그리스의 언어와 문화, 로마의 정치체계를 동방적 색채를 가미하여 발전시켰음
2) 동방정교회
- 비잔틴제국에서 정치체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발전했던 <비잔틴교회>의 후손
- 동로마제국의 수도였던 비잔틴에서 그리스, 동유럽, 러시아 방면으로 발전하여 동방문화권에서 성장한 그리스도교회를 가리키는 총칭
- 로마를 중심으로 라틴문화와 게르만문화가 혼합된 서유럽문화를 발전시킨 <서로마제국>과 비잔틴(콘스탄티노플)을 중심으로 그리스, 터키, 슬라브 문화가 혼합된 동유럽문화를 발전시킨 <동로마제국>(비잔틴제국)에서는 교회의 권위 관념과 교리해석에 있어서 차이가 발생하게 되었음
- <비잔틴교회>는 <로마교회>가 초기의 사도를(예수의 복음을 전하고 세례를 주기 위해 파견된 자들)로부터 비롯되었으며, 따라서 정통적이고 권위가 있다는 서로마교회 우위론을 인정하지 않음
- 황제가 최고의 종교적 권위를 지닌 정교일치적 종교체계를 유지하면서 비잔틴을 기점으로 발칸반도와 동유럽과 러시아로 세력을 확장하여 <동방정교회>로 발전하였으며, 당시에 그었던 서방카톨릭교회와의 경계선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음
- <동방정교회>는 로마 교황이 아니라 <세계공의회 Ecumenical Council>를 최고권위로 인정하고, 신앙에 관련된 문제에 있어서 동방정교회의 주교들은 <세계공의회>의 승인과 동의를 필수적으로 받아아 함
9. 16세기의 <종교개혁>과 프로테스탄트교의 탄생
1) 16세기의 <종교개혁>
- <종교개혁> 이전의 교황권의 실추 : <아비뇽 유수>(1309~1377)
- 교황 보니파키우스 8세가 사망한 후 1305년에 교황으로 선출된 교황 클레멘스 5세부터 교황 그레고리우스 1세가 로마 교황청에 복귀하게 되는 1377년까지, 여러 교황들이 이탈리아의 로마가 아니라 프랑스 남부의 아니
  • 가격12,600
  • 페이지수89페이지
  • 등록일2013.06.02
  • 저작시기201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05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