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중국에서의
무정부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논쟁
●중국근대사에서의 아나키즘 출현
● 아․볼 논쟁의 배경
1) 5․4 시기 중국 사상계의 동향
2) 중국 공산당의 창건
● 아․볼 논쟁의 발단과 전개
● 아․볼 논쟁의 핵심 쟁점
1)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맑스주의 국가론 문제
2) 개인의 자유와 당의 규율 문제
3) 생산과 분배 문제
● 아․볼 논쟁의 결말
● 생각해 봅시다
○ 참고도서
무정부주의와 마르크스주의의 논쟁
●중국근대사에서의 아나키즘 출현
● 아․볼 논쟁의 배경
1) 5․4 시기 중국 사상계의 동향
2) 중국 공산당의 창건
● 아․볼 논쟁의 발단과 전개
● 아․볼 논쟁의 핵심 쟁점
1) 프롤레타리아 독재와 맑스주의 국가론 문제
2) 개인의 자유와 당의 규율 문제
3) 생산과 분배 문제
● 아․볼 논쟁의 결말
● 생각해 봅시다
○ 참고도서
본문내용
의 저명인사가 된 것 역시 또 다른 원인이다.
일본이 중국에 아나키즘을 전한 동쪽 통로라면, 프랑스는 서쪽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천의파의 이론적 지도자가 류스페이였다면, 신세기파의 이론적 지도자는 리스쩡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류스페이가 본디 장타이옌과 같이 저명한 국학자이자 국수주의자인데 반해, 리스쩡은 프랑스에 유학해 생물학을 전공한 자연과학자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류스페이가 고토구 슈스이처럼 사회주의와 아나키즘이 적절히 결합한 일본 아나키즘 고토구 슈스이는 일본 마르크시즘과 아나키즘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일본사회당’이 합법정당으로 조직되어 일본사회주의 운동사에 한 획을 그었던 1906년, 고토구 슈스이는 미국에서 귀국하여 귀국환영회 자리에서 자신이 마르크시즘을 버리고 아나키스트가 되었다고 공식 선언함으로써 일본 사상계에 큰 충격을 안겨준다. 그는 이 연설에서 보통선거를 통한 권력창출이라는 의회주의 노선은 사회혁명의 방법으로 무력하다고 말하고, 노동자의 직접행동인 총동맹 파업을 통해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바로 아나르코 생디칼리즘Anarcho-syndicalism(노동조합주의적 아나키즘)의 원칙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이 사상을 통해 일본 아나키즘과 노동운동이 결합할 수 있었고, 그 후 아나키즘은 조직적인 대중운동을 펼쳤다. 「동아시아 아나키즘, 그 반역의 역사」조세현, p.32,33
의 영향을 받았다면, 리스쩡은 엘리제 르클뤼나 장 그라브Jean Grave와 같이 크로포트킨의 사상을 주로 하는 프랑스의 정통 아나키즘 이론 크로포트킨은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사상적 지주라고 할 수 있다.
“크로포트킨(1842~1921)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걸쳐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아나키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며, 국제적인 지리학자이기도 하다. 그의 사상은 ‘상호부조론’이란 제목에서도 보듯 상호부조주의라고도 불린다. 크로포트킨류의 사상을 두루 일컬어 아나르코 코뮤니즘Anarcho-Communism(공산주의적 아나키즘)이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크로포트킨의 동료이자 추종자인 엘리제 르클뤼가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은 가족종교국가와 같은 권위가 소멸하고, 개인의 자유와 욕구에 따라 생활하는 유토피아를 꿈꾸었다. 그들은 국가 대신 코뮨을 단위로 하는 자유연합 사회를 희망했다. 이 사회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소비하는’ 원칙이 통하는 사회였다.
일본이 중국에 아나키즘을 전한 동쪽 통로라면, 프랑스는 서쪽 통로라고 할 수 있다. 천의파의 이론적 지도자가 류스페이였다면, 신세기파의 이론적 지도자는 리스쩡이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류스페이가 본디 장타이옌과 같이 저명한 국학자이자 국수주의자인데 반해, 리스쩡은 프랑스에 유학해 생물학을 전공한 자연과학자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류스페이가 고토구 슈스이처럼 사회주의와 아나키즘이 적절히 결합한 일본 아나키즘 고토구 슈스이는 일본 마르크시즘과 아나키즘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다.‘일본사회당’이 합법정당으로 조직되어 일본사회주의 운동사에 한 획을 그었던 1906년, 고토구 슈스이는 미국에서 귀국하여 귀국환영회 자리에서 자신이 마르크시즘을 버리고 아나키스트가 되었다고 공식 선언함으로써 일본 사상계에 큰 충격을 안겨준다. 그는 이 연설에서 보통선거를 통한 권력창출이라는 의회주의 노선은 사회혁명의 방법으로 무력하다고 말하고, 노동자의 직접행동인 총동맹 파업을 통해 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런 주장은 바로 아나르코 생디칼리즘Anarcho-syndicalism(노동조합주의적 아나키즘)의 원칙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이 사상을 통해 일본 아나키즘과 노동운동이 결합할 수 있었고, 그 후 아나키즘은 조직적인 대중운동을 펼쳤다. 「동아시아 아나키즘, 그 반역의 역사」조세현, p.32,33
의 영향을 받았다면, 리스쩡은 엘리제 르클뤼나 장 그라브Jean Grave와 같이 크로포트킨의 사상을 주로 하는 프랑스의 정통 아나키즘 이론 크로포트킨은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사상적 지주라고 할 수 있다.
“크로포트킨(1842~1921)은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전반에 걸쳐 전 세계에 영향을 미친 아나키즘 이론가이자 활동가이며, 국제적인 지리학자이기도 하다. 그의 사상은 ‘상호부조론’이란 제목에서도 보듯 상호부조주의라고도 불린다. 크로포트킨류의 사상을 두루 일컬어 아나르코 코뮤니즘Anarcho-Communism(공산주의적 아나키즘)이라고 하는데, 이 용어는 크로포트킨의 동료이자 추종자인 엘리제 르클뤼가 처음 사용했다고 알려져 있다. 그들은 가족종교국가와 같은 권위가 소멸하고, 개인의 자유와 욕구에 따라 생활하는 유토피아를 꿈꾸었다. 그들은 국가 대신 코뮨을 단위로 하는 자유연합 사회를 희망했다. 이 사회는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에 따라 소비하는’ 원칙이 통하는 사회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