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평] 한국침례교사상사 _ 김용국 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평] 한국침례교사상사 _ 김용국 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2장: 펜윅의 생애와 신학 형성 배경
Ⅰ. 말콤 펜윅의 생애와 목회활동
Ⅱ.말콤 펜윅의 신학 형성 배경

제3장 말콤 펜윅의 신학
Ⅰ.근본주의자 펜윅
Ⅱ. 성서론
Ⅲ. 정통신론과 기독론
Ⅳ. 성령론
Ⅴ. 구원론 : 변경된 칼빈주의
Ⅵ. 선교론
Ⅶ. 교회론
Ⅷ. 종말론: 세대주의적 전천년주의
Ⅸ. 결론

제 4장 대한(동아)기독교회(1889-1944)의 신앙에 대한 말콤 펜윅의 영향과 논쟁들
Ⅰ.대한(동아)기독교회(1889-1944)의 신앙에 대한 말콤 펜윅의 영향
Ⅱ. 펜윅과 관련된 논쟁들

◎서평

본문내용

학이 대한 기독교인들의 신앙과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와 그의 율법폐기론과 교단적 정체성에 대한 여러 주장과 해답제시를 해본다.
Ⅰ.대한(동아)기독교회(1889-1944)의 신앙에 대한 말콤 펜윅의 영향
1889.12 부터 4년간 한국의 문화와 언어 습득
1893-1896까지 3년간 캐나다에서 목사안수 받고 한국순회선교회 조직
1896 한국에 돌아와 순회선교로 한국, 만주, 시베리아에 교회 개척
1906 교단조직 (대한기독교회)
1921 동아기독교회로 변경
1933 동아기독대로 변경
1935.12.6 펜윅 사망
1940 동아기독교로 변경
1. 성서적 신앙인들
펜윅은 성서주의자였으므로 대한(동아)기독교인들로 하여금 성경을 그대로 믿도록 하는 성서적 신앙인이 되게 하였다. 펜윅은 성경연구보다는 성경읽기를 강조하여 초창기 한국 침례교 성도들의 삶에 그대로 적용되었다.
2. 개신교 정통교단
대한기독교회는 펜윅의 가르침에 따라 개신교 정통 교리를 믿는 교단이었다.
3. 초교파주의와 신약교회 추구
펜윅은 대한기독교회를 교단적 특성 갖지 않는 초교파적 교단으로 만듦.
4.대한기독교회는 개교회 자치와 민주적인 교회정치 실시하지 않음. 그러나 회중주의적 교회 본질 완전히 무시하지는 않음.
5.전도와 선교: 교회의 가장 중요한 사역
대한(동아)기독교회 신자들은 전도를 가장 중요한 사역으로 믿었다. 순회선교사역을 통해 많은 열매를 거두었고 순회선교사들은 자비량으로 선교를 다녔다. 대한(동아)기독교회는 전도와 선교를 위한 교단이었다.
6.믿는자 침례와 교회치리
중생한자에게만 침례 허가하였고 엄격한 교회 치리를 하였다.
7.천년왕국론자들
펜윅의 세대주의는 한국인 신자들에게 침례교가 세상과 세상에 있는 교회에서도 떠나도록 하였다. 일제치하시에 장로교, 감리교는 신사참배를 승인하였으나 동아기독교는 거부하여 박해당하고 교단 해체되었다.
Ⅱ. 펜윅과 관련된 논쟁들
1. 율법폐기론
한국 침례교 역사가들은 대한(동아)기독교인들이 율법폐기론적인 경향을 갖게 된 이유로 펜윅의 가르침을 주장해왔다.펜윅은 하나님의 은혜에 의한 구원을 극단적으로 가르쳤기 때문에 그들로 하여금 믿음으로 인한 구원의 교리를 잘못 이해하도록 하였고 결국 율법폐기론자들이 되게 하였다고 하였다. 또한 기독교인들은 하나님의 자녀이므로 간구기도말고 감사기도만 가능하다고 가르쳤다고 하였다. 이에 김용복은 펜윅의 율법폐기론 비난을 예로 들어 펜윅이 율법폐기론자가 아니라고 하였다. 펜윅은 결코 율법폐기론자가 아니었지만 그의 신학은 율법폐기론적인 요소가 잠재적으로 있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2. 펜윅의 교단적 정체성: 그는 침례교인인가? 아닌가?
펜윅과 대한(동아)기독교회인들이 침례교인이었다는 아니라는 많은 의견들이 있지만 그와 동시대의 사람들은 그를 침례교인으로 여겼다. 공개적으로는 침례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내용적으로는 침례교인들이었다고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신학적 측면에서도 교회론을 볼때 대한기독교인들은 첫째. 신약교회를 순수한 교회로 보고, 교회의 체제와 직분을 성경의 가르침에 근거하여 만들려는 시도는 전형적인 침례교회의 입장과 같은 것이다. 둘째, 펜윅과 대한기독교회는 유아세례를 반대하고 믿는자 침례와 중생자 회원의 교리를 믿었다. 셋째. 펜윅과 대한기독교회는 만인제사장의 교리와 회중으로서의 교회의 본질을 인정하였다. 넷째, 펜윅과 대한기독교인들은 교회는 세상과 분리되어야한다고 믿었다. 다섯째, 펜윅과 대한기독교회는 교회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하여 마태복음 18장 15-17절의 가르침을 따라 교회치리를 매우 엄격하게 시행하였다. 결론적으로 펜윅과 대한기독교회의 역사적 사실과 교회론은 그들을 침례교인들로 보는 것이 잘못된 생각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해 준다.
◎서평
한국침례교 사상사의 앞부분은 한국 침례교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말콤 펜윅 선교사에 대해서 기록한 글이다. 나는 그에대해 잘 알지못하고 침례신학대학원에 입학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그의 신학과 성격, 그가 이룬 업적, 그의 생각들 또 그에 대한 여러가지 평가들을 보면서 마치 그를 앞에 놓고 설명을 해주듯 명쾌하게 알게 되는 면이 있었다. 책을 빌려서 읽다가 이 책은 사서 읽어도 좋을 것 같아 서점에서 구매했다. 침신대학원생으로써 한번 읽고 끝날 것이 아니라 몇번이고 계속 읽어 침례교의 전통에 대해서 또 펜윅과 초기 침례교인들에 대해서 잘 알아야 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을 통해 말콤 펜윅에 대해 잘 알게 해주신 김용국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3.06.10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6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