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필기대비 (설비부분) _ 2013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건축기사 필기대비 (설비부분) _ 2013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2010년 이후로

한국 산업인력공단에서 밝힌...

새로 바뀐 범위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본문내용

난방
온수
노동 연관 보일러
(75~90)
증기
0.5~1.5
대규모건물의 고압증기B/R,
지역난방의 고온수B/R
고온수
수관 보일러
(80~90)
증기
0.5~2
대규모건물의 고압증기B/R,
급탕 및 지역난방용
관류 보일러
(80~90)
소형
증기
0.2~2
난방용
대형
증기
100dltkd
발전용
고온수
이상
지역 난방용
입형 보일러(70~75)
증기
0.1~1
주택의 난방 급탕용
전기보일러(95~98)
온수
전기식 공조 보조 열원용
주택용 소형 보일러
(80~90)
온수
급탕 난방용
2. 열효율 : 수관보일러 → 노동 연관 보일러 → 주철제 보일러
3. 수관 보일러의 특성
연소상태가 좋고, 효율이 높음, 가격이 저렴
자동급수가 필요, 고도의 물처리, 설치 높이가 높다.
파열시 재해가 적고, 크기에 비해 효율이 좋아 동력용으로 사용
대규모 건물, 고압증기다량요구(병원, 호텔), 급탕 및 지역난방용
4. 주철제 보일러 최대내구마력
저압증기 : 0.1 이하 // 온수 : 0.3 이하
5. 보일러의 마력
1시간에 100℃의 물 15.65을 전부 증기로 증발시키는 능력
1 보일러마력의 상당 발열량은 15.65
6. 연소율(=보일러의 출력)
화격자, 전열면적의 각 1당 1시간의 연소에 요하는 연료의 중량
7. 보일러의 부하
보일러의 전부하 또는 정격 출력()
= 난방부하()+급탕급기부하()+배관부하()+예열부하()
보일러의 상용출력
= 보일러의 전부하(정격출력) - 예열부하
= 난방부하() + 급탕급기부하() + 배관부하()
8. 보일러의 경수(쎈물)
열전도율의 저하, 보일러의 효율 불량, 보일러의 수명단축+과열
칼슘이나 마그네슘이 스케일(물때)의 원인, 용량과는 무관
9. 물에 의한 보일러의 장해
스케일 장해 : 열효율저하, 과열발생, 파열위험
부식장해 : 용존산소나 산화성 물질, 스케일의 영향
캐리 오버 : 증기관에 기수가 혼합
10. 보일러의 서플라이 헤드
각 계통별로 공급되는 열매를 제어하기 위해 보일러의 출구에 설치
11. 보일러의 급수와 펌프
진공급수펌프 : 진공환수식. 증기난방에 사용
터빈펌프 : 임펠러 주위에 안내 날개가 있음. 고양정에 알맞은 펌프
제트펌프 : 깊이가 7m이상의 심정층 우물. 흡상높이 30m정도 적합
워싱턴펌프 : 수평형 피스톤펌프. 증기압1이하 보일러의급수용
배수펌프 : 건축물 지하실 배수를 목적
소화펌프 : 소화를 하기위한 송수용펌프, 볼류트, 터빈, 회전, 왕복
양수펌프 : 낮은곳 에서 높은 곳으로 물을 보내는 것
종 류
왕복동 펌프
원심
펌프
보어 홀
펌프
수중 모터
펌프
블레이드 레스펌프, 원심 펌프
자동압력 펌프
용 도
급수용
(양수)
급수용
(양수)
급탕순환
급수용
(양수)
급수용
(양수)
오배수,
잡배수
급수용
(양수)
비 고
Hand Pump
횡형, 입형
펌프만 수중
펌프, 모터 수중
입형
4-3. 공기 조화 방식결정
1. 방식의 종류
2. 복사난방과 증기난방
3. 증기배관
단관식 : 증기와 응축수가 동일관. 증기트랩은 사용안함
복관식 : 증기관과 환수관을 별개로 함. 방열기마다 증기트랩사용
4. 증기B/R 주변 배관
하트포드 접속법 : 안전수위 이하가 되어 연소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밸런스관을 달고 안전지수면보다 높은 위치에 환수관을 접속
증기 주관 : 증기 진행방향으로 1/200~1/300구배.
: 증기주관에서 분기되는 수평관은 선상향, 윗방향 분기.
: 증기 주관의 최소 관경은 32이상
: 증기주평지관의 관말에는 트랩을 설치
감압밸브 : 고압증기 난방시
환수주관 : 환수방향 1/200~1/300구배
방열기 지관 : 루프형태로 배관
냉각레그 : 증기 주관에서 관말 트랩에 이르는 1.5m이상의 배관
: 보온피복하지 않음. 냉각면적을 넓히고,
: 주증기관보다 한치수 작게
리프트피팅 : 진공 환수식 냉방장치에서 진공급수펌프 앞에 이음
사용목적 : 환수관을 방열기보다 위쪽, 진공펌프를 환수보다 위쪽
균형관(밸런스관) : 증기주관과 급수파이프를 연결하는 파이프.
: 보일러수와 급수의 압력을 증기압으로 균형시킴
5. 증기배관시 유의점
단관중력환수식은 앞내림구배
복관중력환수식의 건식환수관은 하향구배
글로브 밸브는 밸브스템이 수평을 유지하도록
증기관의 리듀서는 편심형으로함. 편심이경이음은 아래가 수평
직관부가 긴 곳은 신축이음쇠를 설치하여 양단부를 고정
6. 증기난방장치
열동트랩(방열기 트랩, 벨로스 트랩) : 고온의 증기에는 팽창하여 밸브를 닫고, 저온에는 수축하여 밸브를 열어 환수관에 보낸다.
관말트랩 : 증기주관의 말단, 배관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손실에 의해 발생하는 응축수를 배출
응축수 탱크 : 증기 배관계에 설치
리턴탱크(환수탱크) : 고온의 응축수를 일시저장
팽창탱크 : 온수가 체적이 급변하는데 여유를 갖기 위한 탱크
서모스탯 : 온도조절이 자유롭고, 일정한 값으로 유지
7. 난방용트랩
열동트랩(방열기트랩, 벨로스트랩), 버킷트랩(고압과 증압의 증기순환용), 플로트트랩(저압증기용), 충동트랩, 리턴트랩(환수트랩)
8. 난방방식의 사용
증기난방 : 사무소, 학교, 공장 등
온수난방 : 주택, 병원, 호텔
9. 온수난방의 종류
중력순환식 : 대류작용에 의한 순환력을 이용하여 자연순환
강제순환식 : 순환펌프를 사용. 대규모건물
10. 온수난방의 특징
장점 : 부식이 적고, 부하 변동에 의한 방열량 조절이 용이
: 쾌적성, 소음적음(수격작용이 없음), 난방을 정지하여도 지속
단점 : 예열시간이 길고, 열용량이 크다. 설비비가 많이든다.
: 단관식 온수난방은 복관식보다 방열기의 온도변화가 심하다.
: 한랭시 난방정지시 동결우려, 간헐적인 난방에 불리
11. 온수배관
팽창관에는 밸브를 설치 않함
동파 방지 : 난방용 온수배관은 옥외노출하지 않음
: 전열히터, 드레인벨브, 부동액으로 방지
에어 벤트는 공기빼기밸브로서 유체에서 분리한 공기가 성능저하가 일어나므로 설치
12. 역환수(리버스 리턴)방식
복관법. 열원에서 방열기의 관의 길이를 되돌리는 것과 같게
방열기의 위치에 상관없이 냉 온수가 평균적으로 흘러 순환이 국부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하는 방식
13. 온수난방의 장치
리턴콕 : 온수유량 조절. 온수방열기의 환수밸브로 사용
공기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13.06.11
  • 저작시기2013.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8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