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녹색소비자 연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구 녹색소비자 연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대구 녹색소비자 연대


Ⅰ. 서론

Ⅱ. 본론
1. 연혁과 주요활동
<전국 녹색소비자연대>
<대구녹색소비자연대>
2. 구성
(1) 이사회
(2) 부서 및 실무자
3. 주요 활동
1) 녹색 살림사업부
(1) 학교 급식 조례 제정운동
(2) 가정 내 유해화학 물질 줄이기 캠페인
2) 시민환경 사업부
(1) 대기오염 극복과 녹색교통운동
(2) 에너지 절약운동
(3) 인라인 스케이트
(4) 활동
(5) 회원 활동
3) 녹색 소비자 권리센터
(1) 목적
(2) 주요활동

4. 재정적인 분석
【표-1 대구 녹색소비자연대의 재정분석표(수입)】
【표-2 대구 녹색소비자연대의 수익사업활동 현황】
【표-3 대구 녹색소비자연대의 5月 재정】
【표-4 대구 녹색소비자연대의 6月 재정】

5. i n t e r v i e w - 서울『녹색소비자연대』 조윤미 기획실장

Ⅲ. 결론

본문내용

대구 녹색소비자 연대
Ⅰ. 서론
1992년도 유엔에서 개최된 리우회담 이후 우리나라에 환경 개념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했고 환경운동도 활성화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환경운동의 일상생활화, 즉 환경친화적 방식으로의 일상 소비생활의 변화를 통해서 시민들이 환경운동을 실천하도록 하자는 논의가 있었고,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1996년 10월 11일에 소비자의 권리를 보호하며 환경을 고려하는 소비생활을 함께 실천함으로써, 생태환경을 보전하고 안전하고 인간다운 사회를 건설하는 데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하는 「녹색소비자연대 http://www.gcn.or.kr
」가 창립되었다. 이러한 창립은 리우회담의 논의에 대하여 깊은 공감을 느꼈던 YMCA단체의 간사들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이루어 졌으며 대구를 비롯한 각 지부의 설립 또한 역시 지역 YMCA단체의 선각적인 간사에 의하여 이루어 졌다.
올해로 창립 7주년을 맞은 「녹색소비자연대」는 전국적으로 1만여명, 서울에만 400여명의 회원 탐방 시민단체(2001. 11월) - 녹색소비자연대 취재 : 윤 상 진
http://nar.nanet.go.kr
이 있으며 대구, 인천, 천안, 포항에 지부조직을 가지고 있고, 평택 등 몇몇 지역에서도 지역 녹색소비자운동단체가 창립을 준비하고 있다. 그 중 우리 포도리조가 조사한 곳은 대구에 연고를 가진 대구녹색소비자연대 http://www.dgcn.org
이다.
대구 녹색소비자 연대는 서울, 인천, 천안, 포항의 녹색소비자연대등과 함께 1996년도에 설립이 되었으며 현재 이사회 9명, 위원회9명, 사무국 직원9명들과 매달 회비를 내는 300여명의 적극적인 회원 그리고 아직은 소극적이지만 무한한 잠재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1,000명의 회원들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활동들로는 녹색소비녹색구매, 녹색교통대기오염, 안전한 먹거리, 생태농업체험활동, 유해화학물질 줄이기, 지속가능한 에너지, 녹색소비자 권리찾기등이 있으며 이러한 활동의 특징으로는 특정지역이나 특정집단의 이해관계를 전혀 고려하지 않는 순수한 자발적 활동이라는 것이다. 대부분 노동운동도 노동자의 이해를 대변하고 환경운동도 지역주민의 이해를 반영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녹색소비운동은 그러한 이해관계 없이, 즉 현재 내가 누릴 수 있는 이해는 없지만 다음 세대를 위해 기꺼이 자신을 변화시키는 상당히 어려운 실천운동이다. 녹색소비자운동을 단순히 환경운동이나 소비자운동으로만 보아서는 이해하기 힘들다. 녹색의 의미는 건강과 쾌적함을 포함하는 폭넓은 개념이다. 그러므로 녹색소비자운동은 환경운동만도 아니고 소비자운동만도 아닌 새로운 범주로서 우리 삶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깨끗한 경제, 생태계 보전, 삶의 건강과 안전을 포함, 삶의 질을 한 단계 향상시키는 운동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녹색소비자운동은 환경과 경제의 통합, 그리고 환경과 건강 안전의 결합을 통해서 생활 속에 뿌리내리기 위한 소비자운동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녹색소비자운동의 개념은 환경문제, 소비자문제, 경제문제, 의료문제 등 「녹색소비자연대」의 다양하고 폭넓은 연대활동을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발표주제가 정해지고 난 후 발표할 단체를 녹색 소비자 연대로 정하는 과정에서 다툼이 많았었다. 왜냐하면 우리가 발표를 해야할 단체는 소비자와 관련된 단체이지 환경과 소비자 중간에 끼어있는 단체는 아니라는 생각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직접 대구 녹색소비자 연대를 방문한 후에는 그런 다툼이 일축되었다. 이 시대에도 이렇게 깨끗하고 순수한 자발적 운동을 하시는 분들이 있구나 라는 감동이 조원들 각각에게 느껴졌었기 때문이다. 우리가 왜 이런 감동을 느꼈는지 지금부터 최대한 자세하고 진실되게 전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연혁과 주요활동
녹색소비자 연대는 YMCA를 모체로 여러 가지 종합적인 시민운동을 벌이는 YMCA로부터 소비자의 입장에서 환경을 바라보고 소비자가 직접 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더욱 전문적이고 활발한 소비자 운동을 벌이기 위해 따로 분리되어 설립하게 된 것이다.
녹색소비자 연대는 서울, 대구를 시작으로 전국에 현재 9개의 지부를 가지고 있고 앞으로도 더욱 늘어날 추세에 있다.
<전국 녹색소비자연대>
96. 5. 27 녹색소비자연대 제1차 창립추진위원회를 개최
10. 01 창립회원모집운동 발대식
10. 11. 녹색소비자연대 창립총회 및 창립대회(서울YMCA강당)
10. 16. 대구 녹색소비자연대 창립
11. 19 ~ 12. 02 \'녹색소비자대학\'
97. 5. 30 포항 녹색소비자연대 창립
7. 02 천안 녹색소비자연대 창립
2000. 4. 20 녹색소비자연대 홈페이지개설
5.13 고양 녹색소비자연대 창립
5.22 비영리 민간 단체 지원법에 의거 재정경제부에 비영리 민간 단체등록
5.27 인천 녹색소비자연대 창립
<대구녹색소비자연대>
1996.10 대구녹색소비자연대 설립
1997.10 소비자고발 상담센터 개설
1999.9 청소년 환경정보센터 개설
1999.10 주부청소년 녹색소비단 창립
1999.12 제1기 녹색소비자대학 개최
2000.1 낙동강 생명찾기 만배의식 참가
2000.2 수돗물 불소화 반대 대구 사무국 운영
제2기 녹색소비자대학 개최
청소년 환경동아리 워크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3.06.11
  • 저작시기2013.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18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