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주 제
Ⅱ. 연 구 자
Ⅲ. 연구목적
Ⅳ. 연구방법 및 과정
Ⅴ. 연구 결과
Ⅵ. 고찰
Ⅶ. 참고문헌
Ⅱ. 연 구 자
Ⅲ. 연구목적
Ⅳ. 연구방법 및 과정
Ⅴ. 연구 결과
Ⅵ. 고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REPROT
( 감압응고 결과 보고서)
<목차>
Ⅰ. 주 제
Ⅱ. 연 구 자
Ⅲ. 연구목적
Ⅳ. 연구방법 및 과정
Ⅴ. 연구 결과
Ⅵ. 고찰
Ⅶ. 참고문헌
Ⅰ. 주 제
1. 감압응고
Ⅱ. 연 구 자
1.
Ⅲ. 연구목적
1. 감압응고
1) 금속을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금속 재료의 소성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모양으로 바꾸어 제품을 만든 작업이 필요하다. 이 금속가공작업 중 한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압연공정은 그 방법에 따라 치수의 정확성과 가공성 등 여러 가지 재료의 성질을 제어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결정하는 방법들은 나름대로의 특정한 응용범위가 있고, 때로는 가하는 온도의 높낮이에 따라 미세조직을 특정 짓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재료공학실습2 과목에서 탄소강의열처리 실습을 시행하는데 있어 사전에 그 방법과 관련이론을 익힘으로써 실습의 훈련효율과 위험요소를 밀 확인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을 분석하고자 한다.
- 감압력에 따른 기공률
- 합금내 수소 용해도
- 감압력에 따른 가스량 측정
- 밀도변화
- 부피팽창
Ⅳ. 연구방법 및 과정
1. 연구장비
1. 시편
2. 감압응고 시험기
3. 로
4. 절단기
5. 저울
<그림1>
2. 연구 과정
1. 시편준비
2. 로에서 시편용융(540℃)
3. 감압응고
4. 비중측정
5. 시편절단
6. 관찰
<그림2>
Ⅴ. 연구 결과
1. 시편 단면, 부피팽창
대기압
260torr
160torr
60torr
<그림3>
2. 기공률
1) 760 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0.67%
<그림4>
2) 260 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2.3%
<그림5>
3) 160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15.58%
<그림6>
4) 60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31.90%
<그림7>
3. 밀도
1) 조건 별
조건
측정
760torr
260torr
160torr
60torr
115.73
117.45
113.48
106.72
71.44
71.74
67.47
51.95
=
2.61
2.57
2.47
1.95
<표1>
4. 100g당 수소 가스량
대기압
260torr
160torr
60torr
vs(cm^3/g)
0.41
0.21
0.23
0.36
<표2>
5. 상관 그래프
1) 기공률 그래프
<표3>
2) 밀도 그래프
<표4>
3) 100g당 수소 가스량 그래프
<표5>
Ⅴ. 연구 변수, 해결 방안
1. 감압응고
1) 질량 측정 시 흔들림에 인한 오차
밀도는 이기 때문에
2) 때에 따라 다른 대기 중 공기의 성분
일반적으로 공기의 성분은 질소 78%, 산소 20%, 아르곤 0.93%, 이산화탄소 0.03%, 네온 0.0018%, 헬륨 0.0005%, 메탄 0.0002%, 오존 0.000001%이다. 하지만 기상에 따라 습도가 변하게 되면 공기의 성분은 크게 변하게 되고, 또한 고도,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이 공기의 성분은 감압응고시 탈가스 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 감압응고에서 정확한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성분을 고정하여야 한다.
3) 감압력 일치
감압력에 따라 탈가스 현상과 기공의 크기는 크게 변한다. 이에 감압기를 사용하여 감압시킬때 감압수치와 실제 감압력이 일치해야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4) 기공률 계산시 오차
기공률을 계산할 때 direct observation microscopy로 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오차가 존재한다. 그 오차는 가스량 측정시 또 다른 오차를 야기하기 때문에 기공률 계산오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Ⅵ. 고찰
<그림7>
대기 중 기체를 액체속에 용해 시킨다. <그림7>은 온도에 따른 수소의 용해도를 나타낸 것으로 660℃ 부근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용해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은 알루미늄의 M.P인 점에서 그 와같은 거동을 보이는 것이고 그 이유는 위에서 말했
( 감압응고 결과 보고서)
<목차>
Ⅰ. 주 제
Ⅱ. 연 구 자
Ⅲ. 연구목적
Ⅳ. 연구방법 및 과정
Ⅴ. 연구 결과
Ⅵ. 고찰
Ⅶ. 참고문헌
Ⅰ. 주 제
1. 감압응고
Ⅱ. 연 구 자
1.
Ⅲ. 연구목적
1. 감압응고
1) 금속을 실생활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금속 재료의 소성을 이용하여 필요로 하는 모양으로 바꾸어 제품을 만든 작업이 필요하다. 이 금속가공작업 중 한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압연공정은 그 방법에 따라 치수의 정확성과 가공성 등 여러 가지 재료의 성질을 제어 할 수 있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인자들을 결정하는 방법들은 나름대로의 특정한 응용범위가 있고, 때로는 가하는 온도의 높낮이에 따라 미세조직을 특정 짓게 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에 재료공학실습2 과목에서 탄소강의열처리 실습을 시행하는데 있어 사전에 그 방법과 관련이론을 익힘으로써 실습의 훈련효율과 위험요소를 밀 확인함으로써 예기치 않은 문제에 대처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항목을 분석하고자 한다.
- 감압력에 따른 기공률
- 합금내 수소 용해도
- 감압력에 따른 가스량 측정
- 밀도변화
- 부피팽창
Ⅳ. 연구방법 및 과정
1. 연구장비
1. 시편
2. 감압응고 시험기
3. 로
4. 절단기
5. 저울
<그림1>
2. 연구 과정
1. 시편준비
2. 로에서 시편용융(540℃)
3. 감압응고
4. 비중측정
5. 시편절단
6. 관찰
<그림2>
Ⅴ. 연구 결과
1. 시편 단면, 부피팽창
대기압
260torr
160torr
60torr
<그림3>
2. 기공률
1) 760 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0.67%
<그림4>
2) 260 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2.3%
<그림5>
3) 160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15.58%
<그림6>
4) 60torr
앞면
뒷면
기공률 = 31.90%
<그림7>
3. 밀도
1) 조건 별
조건
측정
760torr
260torr
160torr
60torr
115.73
117.45
113.48
106.72
71.44
71.74
67.47
51.95
=
2.61
2.57
2.47
1.95
<표1>
4. 100g당 수소 가스량
대기압
260torr
160torr
60torr
vs(cm^3/g)
0.41
0.21
0.23
0.36
<표2>
5. 상관 그래프
1) 기공률 그래프
<표3>
2) 밀도 그래프
<표4>
3) 100g당 수소 가스량 그래프
<표5>
Ⅴ. 연구 변수, 해결 방안
1. 감압응고
1) 질량 측정 시 흔들림에 인한 오차
밀도는 이기 때문에
2) 때에 따라 다른 대기 중 공기의 성분
일반적으로 공기의 성분은 질소 78%, 산소 20%, 아르곤 0.93%, 이산화탄소 0.03%, 네온 0.0018%, 헬륨 0.0005%, 메탄 0.0002%, 오존 0.000001%이다. 하지만 기상에 따라 습도가 변하게 되면 공기의 성분은 크게 변하게 되고, 또한 고도, 환경에 영향을 받는다. 이 공기의 성분은 감압응고시 탈가스 시키는데 큰 영향을 끼친다. 감압응고에서 정확한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공기의 성분을 고정하여야 한다.
3) 감압력 일치
감압력에 따라 탈가스 현상과 기공의 크기는 크게 변한다. 이에 감압기를 사용하여 감압시킬때 감압수치와 실제 감압력이 일치해야 정확한 결과값을 얻을 수 있다.
4) 기공률 계산시 오차
기공률을 계산할 때 direct observation microscopy로 하여 계산했기 때문에 오차가 존재한다. 그 오차는 가스량 측정시 또 다른 오차를 야기하기 때문에 기공률 계산오차를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Ⅵ. 고찰
<그림7>
대기 중 기체를 액체속에 용해 시킨다. <그림7>은 온도에 따른 수소의 용해도를 나타낸 것으로 660℃ 부근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용해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것은 알루미늄의 M.P인 점에서 그 와같은 거동을 보이는 것이고 그 이유는 위에서 말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