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서와 사무엘서 비교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열왕기서와 사무엘서 비교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적인 기록으로 들어가 보면 사울의 통치 말부터 시작하여 남 왕국 유다가 바벨론 포로에 이르기까지의 선택받은 민족의 통일 왕국의 역사를 다루는데 역대기의 시간적 배경은 이스라엘 역사의 포로기 이루하고 볼 수 있다. 또한 역대기의 특징은 정치적인 역사보다는 다윗 왕조의 종교적 역사를 다루면서 신적 정망을 제시하고 있다.
역대기는 한글 개역개정 성경에서는 열왕기 다음에 이어지고 있지만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성문서의 제일 마지막 책이며 성경의 제일 마지막 책이다. 유대인들은 역대기를 왜 성문서에 포함시키며 제일 마지막에 자리 잡게 하였는가? 역대기는 한글 성경에서는 상 하로 분류 되어 있다. 그러나 본래 한 권으로 되어 있던 본서가 상하 두 권으로 나뉜 것은 B.C. 150여 년경 LXX역본의 출현에서부터이다. 정경상의 배열에서 본서 위치는 구약의 끝 즉 마지막 구약서로 자리하였었다. 이는 본서가 정경 선정에서 가장 늦게 인정받았음을 뜻한다.
2. 책이름
히브리어 성경에서는 역대기를 (디브레이 하야밈)이라고 하였는데 그 뜻은 ‘그 날의 말들’, ‘지난날의 사건들’이다. 이 역사서는 정치적인 역사 기록이 아니라 신성한 역사기록을 위한 것으로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을 기록한 역사책이다.
헬라어로 번역된 LXX(70인역)에서 παραλειπομεν Α.Β(파라레에포멘 1,2) 로 이름 하는데 그 뜻은 ‘빠진 것들’, ‘넘겨진 것들’(‘생략된 사건들’)이라는 뜻으로 열왕기에서 바진 것들을 보충하는 책으로 보고 있는 듯하다. 역대기를 구원의 역사로 평가할 때 정치적인 역사기록을 가지고 있는 사무엘과 열왕기에 병행되는 기사와 아울러 국가적인 관점의 내용들을 추가시켰다는 말로 이해하면 된다.
라틴어 성경에서는 ‘Chronicon totius historiae divinae’ 즉, ‘전체 거룩한 역사(구원의 역사)의 기록물’(거룩한 역사의 전체적 연대)이라고 이름 하였다. 여기에서 영어 성경이름 chronicles(연대들) 라는 말이 나왔으며 우리말 성경에서도 역대기라 이름하게 되였다.
3. 지은이
역대기는 언제, 어디서, 누가 기록하였는지에 대하여 그 기록 내용 속에서 한마디의 언급이 없다. 그러므로 다만 그 문체와 내용 속의 사건들을 가지고 저자를 추론해 볼 수밖에 없다. 유대인들은 그들의 지혜서 탈무드에 기록하기를 (바바바트라) ; 마지막 대문 15페이지 a 항에서 예레미야는 자신의 책 예레미야와 예레미야 애가와 열왕기를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6.28
  • 저작시기2012.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0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