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일본의 기독교적의 역사
(도히 아키오 일본 기독교 역사 기독교문사,1984년 일본 기독교사 홍성사 1993년 참고
흔히들, 일본에 무슨 기독교 역사가 있는가 라고 질문을 듣지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현재 일본의 그리스도의 인구가 1%벽을 넘지 못하는 까닭에 기독교의 입김도 약하고, 표면적으로 이렇다고 내 세우지는 못하지만, 내면 깊이 들어가면, 기독교의 역사가 일본의 근대화 시킴에 크게 공헌했음을 여기저기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순교의 성지라고 할 수 있는
큐슈지방의 나가사키에는 온통 기독교 문화가 살아 쉼쉬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현재 오끼나와에서는 크리스천 인구가 3%의 벽을 넘어서 거리에 큰 교회가 보이기도 한다. 지식있는 일본인들은 현재 일본 기독교에 영향이 컸음을 인정한다.
(1) 개신교 이전의 천주교 접촉
천주교가 한국보다 일본에 먼저 들어 왔다. 흔히들 한국 기독교에서 최초의 기독교의 만남을 임진왜란(1592년-1598년)시 일본주재 스페인 선교사 세스페데스 선교사가 일본 장군 고니시(古西)의 요청을 받고 고니시 부대의 미사를 행했던 일이 이었다. 이 때 일본 군대의 전부가 기독교는 아니었지만, 기독교 부대로 편성된 부대가 고니시 부대였다. 이러한 기독교 부대가 편성되기 까지는 일찍이 기독교가 일본나라에 깊숙히 파고 들어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인도에 관심이 있었던 포르투갈의 선박이 그들이 동양에 관심이 있어서 동쪽으로 동쪽으로 오다가 우연히 도착한 곳이 큐슈(九州)의 카고시마(鹿島)DML 타네코시마(種子島)라는 섬이였다. 이 때가 임진왜란 일으키기 50년 전1542년이었다. 일본이 지금까지 보아온 것은 중국이나 조선뿐이었는데, 포르투갈을 통하여 유럽에 존재한다는 것에 놀라게 된다. 더욱 놀라게 된 것은 유럽의 문명이었으며, 사무라이들이 놀란 것은 대포라는 무기였다. 그 이후
1549년8월15일에 카톨릭교의 예수교파 프란시스코 사비엘 선교사가 일본의 야지로 라는 사람의 인도를 받아 일본에 첫발을 내 딛게 된다. 이것이 기독교의 시작임과 동시에 일본선교의 실패의 시작이었다. 다시 말하면 복음의 순수한 전파로 인한 기독교의 전래가 아니었던 것이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일본국과 접촉하면서 식민지 정책을 사용했고, 이것을 정당화 하기 위해 기독교를 이용했던 것이다. 또 카톨릭의 실수는 사비엘 선교사가 천황에게 기독교를 전하려고 하다가 천황이 너무 초라한 모습을 보고, 그냥 돌아서 버리고 야마구치(
山口)라는 지역에 머물면서 다이묘(大名:일종의 성주)에게 기독교를 전하다가 조선을 거쳐서 중국으로 가 버리게 된다. 그 이후 전국을 통일한 오타(大田)장군이 불교의 세력을 약화하기 위하여 기독교를 개방하고, 기독교의 세력을 확장하고 신학교까지 설비하여 신부를 양성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는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세력에 의해서 몰락한다. 그
(도히 아키오 일본 기독교 역사 기독교문사,1984년 일본 기독교사 홍성사 1993년 참고
흔히들, 일본에 무슨 기독교 역사가 있는가 라고 질문을 듣지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현재 일본의 그리스도의 인구가 1%벽을 넘지 못하는 까닭에 기독교의 입김도 약하고, 표면적으로 이렇다고 내 세우지는 못하지만, 내면 깊이 들어가면, 기독교의 역사가 일본의 근대화 시킴에 크게 공헌했음을 여기저기서 찾아 볼 수 있다. 우선 순교의 성지라고 할 수 있는
큐슈지방의 나가사키에는 온통 기독교 문화가 살아 쉼쉬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현재 오끼나와에서는 크리스천 인구가 3%의 벽을 넘어서 거리에 큰 교회가 보이기도 한다. 지식있는 일본인들은 현재 일본 기독교에 영향이 컸음을 인정한다.
(1) 개신교 이전의 천주교 접촉
천주교가 한국보다 일본에 먼저 들어 왔다. 흔히들 한국 기독교에서 최초의 기독교의 만남을 임진왜란(1592년-1598년)시 일본주재 스페인 선교사 세스페데스 선교사가 일본 장군 고니시(古西)의 요청을 받고 고니시 부대의 미사를 행했던 일이 이었다. 이 때 일본 군대의 전부가 기독교는 아니었지만, 기독교 부대로 편성된 부대가 고니시 부대였다. 이러한 기독교 부대가 편성되기 까지는 일찍이 기독교가 일본나라에 깊숙히 파고 들어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인도에 관심이 있었던 포르투갈의 선박이 그들이 동양에 관심이 있어서 동쪽으로 동쪽으로 오다가 우연히 도착한 곳이 큐슈(九州)의 카고시마(鹿島)DML 타네코시마(種子島)라는 섬이였다. 이 때가 임진왜란 일으키기 50년 전1542년이었다. 일본이 지금까지 보아온 것은 중국이나 조선뿐이었는데, 포르투갈을 통하여 유럽에 존재한다는 것에 놀라게 된다. 더욱 놀라게 된 것은 유럽의 문명이었으며, 사무라이들이 놀란 것은 대포라는 무기였다. 그 이후
1549년8월15일에 카톨릭교의 예수교파 프란시스코 사비엘 선교사가 일본의 야지로 라는 사람의 인도를 받아 일본에 첫발을 내 딛게 된다. 이것이 기독교의 시작임과 동시에 일본선교의 실패의 시작이었다. 다시 말하면 복음의 순수한 전파로 인한 기독교의 전래가 아니었던 것이다. 포르투갈과 스페인은 일본국과 접촉하면서 식민지 정책을 사용했고, 이것을 정당화 하기 위해 기독교를 이용했던 것이다. 또 카톨릭의 실수는 사비엘 선교사가 천황에게 기독교를 전하려고 하다가 천황이 너무 초라한 모습을 보고, 그냥 돌아서 버리고 야마구치(
山口)라는 지역에 머물면서 다이묘(大名:일종의 성주)에게 기독교를 전하다가 조선을 거쳐서 중국으로 가 버리게 된다. 그 이후 전국을 통일한 오타(大田)장군이 불교의 세력을 약화하기 위하여 기독교를 개방하고, 기독교의 세력을 확장하고 신학교까지 설비하여 신부를 양성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그는 토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세력에 의해서 몰락한다. 그
키워드
추천자료
한국 선교
교회란 무엇인가?
[중국문화]당대 기독교관련 시 및 명말·청초 선교사의 문학활동
한국에서 종교의 의미(유교를 중심으로)
「만행 ․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를 읽고 감상
가톨릭 역사인식
교리연구 / 구교와 신교의 교리 불일치 비교분석
[남북한 종교비교][남북한 여가생활비교][남북한 명절비교][남북한 민속놀이비교][남북한 체...
성공회 교회 탐방
[기독론][기독론 역사적 맥락][기독론 주제][칭호][구원론][성육신][기독론 방법]기독론의 개...
한국종교(우리나라종교)의 역사, 한국종교(우리나라종교)의 분포와 영향, 한국종교(우리나라...
[종교][신앙][종교 성격][종교 기능][종교 이론][종교분쟁][철학][심리학][종교 문제점]종교...
[일제하 교회, 기독교, 민족구원사상]일제하 교회(기독교)의 전래, 일제하 교회(기독교)의 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