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다음의 개념을 사례나 예를 들어 설명하라.
1. 클라우드 컴퓨팅
⦁정의
⦁사례
2. RSS
⦁정의
⦁사례
3. 인공신경망(Neural Net)
⦁정의
⦁사례
4. 퍼지이론
⦁정의
⦁사례
5. 포터의 경쟁세력모델
⦁정의
⦁사례
6. 지식관리시스템
⦁정의
⦁사례
7. 지식재산권
⦁정의
⦁사례
8. 저작권
⦁정의
⦁사례
9. 상표권
⦁정의
⦁사례
10. BPR
⦁정의
⦁사례
11. 프로세스 맵핑(as-is to-be 분석)
⦁정의
⦁사례
12. 정보전략계획(ISP)의 실행절차
⦁정의
⦁사례
1. 클라우드 컴퓨팅
⦁정의
⦁사례
2. RSS
⦁정의
⦁사례
3. 인공신경망(Neural Net)
⦁정의
⦁사례
4. 퍼지이론
⦁정의
⦁사례
5. 포터의 경쟁세력모델
⦁정의
⦁사례
6. 지식관리시스템
⦁정의
⦁사례
7. 지식재산권
⦁정의
⦁사례
8. 저작권
⦁정의
⦁사례
9. 상표권
⦁정의
⦁사례
10. BPR
⦁정의
⦁사례
11. 프로세스 맵핑(as-is to-be 분석)
⦁정의
⦁사례
12. 정보전략계획(ISP)의 실행절차
⦁정의
⦁사례
본문내용
일부 ‘키워드 광고’에 대한 제재방안을 강구 중에 있으며 포털 사이트 및 오픈마켓 운영자도 상표권 침해요소가 높은 ‘키워드 광고’에 대해 사전에 정보를 차단하는 프로그램 등을 마련하여 상도(商道)를 벗어난 상표권 침해분쟁이 발생되지 않도록 사전에 충분한 대응책을 마련해 둘 필요성이 있다고 당부했다. http://www.newsen.com/news_view.php?uid=201110181626034100
8. 저작권
정의 : 저작권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에 대하여 주어진 독점적 권리로 문학, 학술, 예술의 범주에 속하는 창작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이며 저작권 보호를 받는 저작물은 크게 소설, 연극, 미술, 영화, 음악, 건축 디자인, 지도 등과 같은 일반 저작물과 특수한 기능저작물인 프로그램저작물로 구분된다. 저자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아이디어, 관공문서, 시사보도는 보호받을 수 없다. 저작권은 저작물이 창작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적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창작성이 있고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유형 매체에 고정시켜 외부로 표현해야 하며 저작물을 등록해 두면 제 3자에 대한 대항력이 생긴다. 저작권의 존속기간은 저작자의 생존동안과 사후 50년간 보호되며 한미 FTA 협상에서 저작권의 보호기간을 20년 더 연장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기간은 저작자의 생존동안과 사후 70년이 될 예정이다. 우리 저작권법은 외국인 저작물에 대하여 \'상호주의\'를 규정하고 있으며 저작권 보호에 관한 기본 조약인 베른조약에 150개국 이상이 가입하여 저작물은 상호 자국의 저작물과 동일하게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저작권은 일반저작권과 SW저작권으로 나뉘며 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 저작인접권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나 SW저작권은 저작인접권이 없다. 저작인격권에서 먼저 복제권은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복제할 권리로 타인의 무단복제를 금지하는 권리이다. 배포권은 원본이나 복제물을 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대여할 수 있는 권리로 점유 이전되므로 전송과 구별되며 한번 판매 후엔 배포에 대해 권리 행사가 불가하다.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저작물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 제작등의 방법으로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권리도 있다. 공연권-저작물을 상연, 연주, 가창, 연술, 상영 등 일반공중에게 공개, 복제물을 재생하여 공개할 권리로 저작물을 구입하였더라도 저자권의 허락없이 공연하여 경제적 이익을 취득하면 침해로 본다. 공중송신권은 제작물을 공중에게 송신하거나 이용에 제공하는 권리로 전송권, 방송권, 디지털음성송신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시권은 미술저작물 등의 원작품이나 그 복제물을 전시할 권리로 미술저작물, 사진저작물, 건축저작물이 포함되며 저작권자로부터 양도받은 자도 전시할 수 있다. 저작인접권이란 실연자, 음반제작자 및 방송사업자에게 부여되는 저작권에 유사한 권리로 보호기간은 50년이며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에서는 저작인접권에 관한 규정이 없으며 2005.1.16부터 시행된 개정 저자권법은 실연자 및 음반제작자에게 전송권을 새롭게 부여하였다.
사례
유명 커피 전문점인 스타벅스가 매장에서 틀고 있는 전용 배경 음악은 저작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2부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협회에 저작권이 있는 배경 음악 사용을 금지해 달라며 주식회사 스타벅스 코리아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저작권법은 \'판매용 음반\'의 경우 저작권자의 공연권을 제한해 공중을 대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스타벅스 측이 재생한 문제의 매장 배경 음악용 CD는 \'판매용 음반\'이 아니어서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문제의 CD는 스타벅스 본사의 주문에 따라 세계 각국의 스타벅스 지사에만 공급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판매용 음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008년 저작권협회는, 스타벅스가 10여년 간 전국 매장에서 \'마이 걸\' 등을 배경 음악으로 틀면서 사용료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1심은 스타벅스 측의 손을 2심은 저작권 협회측의 손을 각각 들어줬었다. 참고자료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50
<건축학개론>의 불법 파일 유출과 관련해 제공사인 롯데엔터테인먼트 측이 420여개 웹하드 사이트에 저작권 보호를 요청했다.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지난 5월 8일 발생한 영화 <건축학개론>의 불법 파일 유출 사건에 대하여 제작사 명필름과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의 입장을 밝힙니다.\"라고 서문을 전한 보도자료를 각 언론사에 배표했다. 롯데 측은 \"불법으로 영화 파일이 유출된 정황을 파악한 즉시 웹하드 사이트 검색 용역 업체 KIS미디어와 한국영상산업협회를 통해 파일 삭제 및 업로드 확산을 막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420여 개의 웹하드 사이트에 저작권 보호 요청을 하였습니다.\"라고 전했다. 또한 \"5월 9일에는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 이름으로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에 사건 수사를 의뢰하였으며, 5월 10일 오전에 추가로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였습니다.\"라고 수사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제작사 명필름과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소중한 영화 창작물이 불법으로 유출된 이번 사건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며 더 이상의 피해와 재발 방지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강조했다. 참고자료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1730712
9. 상표권
정의 : 상표제도는 경제생활의 필요에 의하여 역사적으로 발전해온 유산이며, 오늘날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가장 중요한 제도중의 하나이다. 상표는 크게 사회통념에 의거한 상표와 상표법상 보호대상의 상표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국의 상표법은 모두 그중 일정한 요건을 갖춘 상표만을 상표법상의 상표로 인정하여 보호한다. 상표의 기능이라 함은 상표를 상품에 사용할 때 상표사용자에게 어
8. 저작권
정의 : 저작권이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에 대하여 주어진 독점적 권리로 문학, 학술, 예술의 범주에 속하는 창작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이며 저작권 보호를 받는 저작물은 크게 소설, 연극, 미술, 영화, 음악, 건축 디자인, 지도 등과 같은 일반 저작물과 특수한 기능저작물인 프로그램저작물로 구분된다. 저자권의 보호를 받을 수 있는 저작물은 인간의 사상 또는 감정을 표현한 창작물로 아이디어, 관공문서, 시사보도는 보호받을 수 없다. 저작권은 저작물이 창작된 때부터 발생하며, 어떠한 절차나 형식적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않지만 창작성이 있고 자신의 사상이나 감정을 유형 매체에 고정시켜 외부로 표현해야 하며 저작물을 등록해 두면 제 3자에 대한 대항력이 생긴다. 저작권의 존속기간은 저작자의 생존동안과 사후 50년간 보호되며 한미 FTA 협상에서 저작권의 보호기간을 20년 더 연장하기로 합의함에 따라 저작권의 보호기간은 저작자의 생존동안과 사후 70년이 될 예정이다. 우리 저작권법은 외국인 저작물에 대하여 \'상호주의\'를 규정하고 있으며 저작권 보호에 관한 기본 조약인 베른조약에 150개국 이상이 가입하여 저작물은 상호 자국의 저작물과 동일하게 보호를 받을 수 있다.
저작권은 일반저작권과 SW저작권으로 나뉘며 저작인격권, 저작재산권, 저작인접권으로 세분화할 수 있으나 SW저작권은 저작인접권이 없다. 저작인격권에서 먼저 복제권은 저작자가 자신의 저작물을 복제할 권리로 타인의 무단복제를 금지하는 권리이다. 배포권은 원본이나 복제물을 공중에게 대가를 받거나 받지 아니하고 양도, 대여할 수 있는 권리로 점유 이전되므로 전송과 구별되며 한번 판매 후엔 배포에 대해 권리 행사가 불가하다. 2차적 저작물의 작성권-저작물 번역, 편곡, 변형, 각색, 영상 제작등의 방법으로 2차적 저작물을 작성할 권리도 있다. 공연권-저작물을 상연, 연주, 가창, 연술, 상영 등 일반공중에게 공개, 복제물을 재생하여 공개할 권리로 저작물을 구입하였더라도 저자권의 허락없이 공연하여 경제적 이익을 취득하면 침해로 본다. 공중송신권은 제작물을 공중에게 송신하거나 이용에 제공하는 권리로 전송권, 방송권, 디지털음성송신을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전시권은 미술저작물 등의 원작품이나 그 복제물을 전시할 권리로 미술저작물, 사진저작물, 건축저작물이 포함되며 저작권자로부터 양도받은 자도 전시할 수 있다. 저작인접권이란 실연자, 음반제작자 및 방송사업자에게 부여되는 저작권에 유사한 권리로 보호기간은 50년이며 컴퓨터프로그램보호법에서는 저작인접권에 관한 규정이 없으며 2005.1.16부터 시행된 개정 저자권법은 실연자 및 음반제작자에게 전송권을 새롭게 부여하였다.
사례
유명 커피 전문점인 스타벅스가 매장에서 틀고 있는 전용 배경 음악은 저작권을 침해한 것이라는 대법원 판결이 나왔다. 대법원 2부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가 협회에 저작권이 있는 배경 음악 사용을 금지해 달라며 주식회사 스타벅스 코리아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일부 승소 판결한 원심을 확정했다. 재판부는 저작권법은 \'판매용 음반\'의 경우 저작권자의 공연권을 제한해 공중을 대상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하고 있지만, 스타벅스 측이 재생한 문제의 매장 배경 음악용 CD는 \'판매용 음반\'이 아니어서 저작권을 침해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문제의 CD는 스타벅스 본사의 주문에 따라 세계 각국의 스타벅스 지사에만 공급하기 위해 제작된 것으로 \'판매용 음반\'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008년 저작권협회는, 스타벅스가 10여년 간 전국 매장에서 \'마이 걸\' 등을 배경 음악으로 틀면서 사용료를 지급하지 않았다고 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1심은 스타벅스 측의 손을 2심은 저작권 협회측의 손을 각각 들어줬었다. 참고자료 http://www.seoulfn.com/news/articleView.html?idxno=132750
<건축학개론>의 불법 파일 유출과 관련해 제공사인 롯데엔터테인먼트 측이 420여개 웹하드 사이트에 저작권 보호를 요청했다.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지난 5월 8일 발생한 영화 <건축학개론>의 불법 파일 유출 사건에 대하여 제작사 명필름과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의 입장을 밝힙니다.\"라고 서문을 전한 보도자료를 각 언론사에 배표했다. 롯데 측은 \"불법으로 영화 파일이 유출된 정황을 파악한 즉시 웹하드 사이트 검색 용역 업체 KIS미디어와 한국영상산업협회를 통해 파일 삭제 및 업로드 확산을 막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420여 개의 웹하드 사이트에 저작권 보호 요청을 하였습니다.\"라고 전했다. 또한 \"5월 9일에는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 이름으로 경찰청 사이버 수사대에 사건 수사를 의뢰하였으며, 5월 10일 오전에 추가로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였습니다.\"라고 수사 진행 상황을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제작사 명필름과 제공사 롯데엔터테인먼트는 소중한 영화 창작물이 불법으로 유출된 이번 사건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하며 더 이상의 피해와 재발 방지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입니다.\"라고 강조했다. 참고자료 http://star.ohmynews.com/NWS_Web/OhmyStar/at_pg.aspx?CNTN_CD=A0001730712
9. 상표권
정의 : 상표제도는 경제생활의 필요에 의하여 역사적으로 발전해온 유산이며, 오늘날 자유시장 경제체제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는 가장 중요한 제도중의 하나이다. 상표는 크게 사회통념에 의거한 상표와 상표법상 보호대상의 상표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각국의 상표법은 모두 그중 일정한 요건을 갖춘 상표만을 상표법상의 상표로 인정하여 보호한다. 상표의 기능이라 함은 상표를 상품에 사용할 때 상표사용자에게 어
추천자료
[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의 모든 것(클라우드컴퓨팅의 정의 및 특성,장점,형태,주요기...
[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 A to Z -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정의 및 장단점, 핵심기...
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적용사례,클라우드컴퓨팅현황및전망,Cloud Computing
클라우드컴퓨팅,현재와미래,사례,컴퓨팅기업,CLOUD COMPUTING
Personal Cloud Computing(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사례,클라우드컴퓨팅한계및문제점,...
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유형,클라우드컴퓨팅사례,퍼스널클라우드컴퓨팅,퍼스널클라우...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방식의 비교 - 구글(Google) & GS리테일 사례 (클라우드컴퓨팅,클...
클라우드컴퓨팅,클라우드컴퓨터,클라우드컴퓨팅발전과정,클라우드컴퓨팅장점,클라우드컴퓨팅...
Cloud 클라우드,클라우드사례와종류,클라우드장단점과전망,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P...
[클라우드 컴퓨팅]클라우드컴퓨팅의 개요, 국내외 동향,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례- 클라우드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