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문학입문] 서민의 문학 일본 근세 소설 - 근세 소설 흐름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문학입문] 서민의 문학 일본 근세 소설 - 근세 소설 흐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근세 문학

 2. 근세 소설
  2.1 가미가타 문학
   (1) 가나조시
   (2) 우키요조시
  2.2 게사쿠문학 (에도 문학)
   (1) 구사조시
   (2) 요미혼
   (3) 샤레본
   (4) 곳케이본
   (5) 닌조본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자리를 곳케이본과 닌조본이 대신하게 된다.
(4) 곳케이본(滑稽本)
웃음을 목적으로 쓰여진 근세 후기 소설의 한 장르를 칭하여 곳케이본이라 하는데, 흐름에 따라 전 · 후기로 나눌 수 있다.
1) 전기 곳케이본
전기의 곳케이본은 1752~1801년경까지의 것으로서 풍자나 골계 속에 교훈을 섞어 논하는 단기본이라고 불리는 것을 말한다.
한편 독자의 취향이 변함에 따라 단기본의 교훈성이 점차 엷어지고 오락적 성격의 작품도 등장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작가가 작품을 통해 자신의 분노나 사상을 표출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중국의 문화관에 뿌리를 두고 있는, 저자 발분설(憤) 작품은 세상에 대한 작자의 분노가 동기가 되어 쓰여지게 된다는 설
이 내제되어 있다. 그 대표적 작가는 히라가 겐나이(平賀源內 서양의 자연과학 분야에도 박식하였던 그는 대표작으로 무대 설정을 지옥에 두면서 당대의 호색이나 사치를 풍자한 네나시구나, 각지의 유곽이나 가공의 나라들을 편력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울분을 토로하는 내용을 담은 후류시도케덴 등을 남겼다.
- 후라이 산진(風來山人)이라고도 함)이다. 그의 작품들은 ‘게사쿠 문학’의 걸작으로서 기뵤시와 샤레본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2) 후기 곳케이본
후기의 곳케이본은 단기본의 흐름을 이어 받아 짓펜샤 잇쿠(十返舍一九)의 도카이도추히자쿠리게(東海道中膝栗毛)를 최초의 작품으로 한다. 간세이 개혁으로 인해 기뵤시가 세태를 풍자하는 신선미를 잃어버리고, 샤레본은 ‘한카쯔’ 어설픈 지식을 가지고 아는 체 함. 또는 그런 사람
를 폭로하는 재미를 상실하게 된 상황에서, 무대를 유곽에서 서민의 일상생활로 옮겨놓고, 그들의 세계를 유머러스하게 묘사함으로써 웃음의 문학으로 등장한 이 작품은 독자에게 크게 환영을 받았다.
곳케이본의 대표적 작가로는 그 밖에 시키테이 산바(式亭三馬)가 있으며, 그의 대표작 우키요부로(浮世風呂) 우키요도코(浮世床)는 각각 서민의 사교장이었던 대중목욕탕과 이발소를 무대로 한 작품으로, 죠닌 남녀의 풍속이나 세태를 유머러스하게 묘사하고 있다.
(5) 닌조본(人情本)
샤레본이 쇠미의 길로 들어선 후, 크게 융성하였던 소설에 닌조본이 있다. 이 소설은 회화체 문장 등 기법에 있어서는 사례본의 형식을 답습하고 있으나, 무대를 유곽에서 시민의 일상생활로 옮겨놓고, 죠닌 사회의 인정, 특히 그들의 연애나 치정의 세계를 그리고 있다는 점에서 사례본과 성격을 달리한다.
다메나가
  • 가격4,2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3.07.0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4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