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목
1) 실험17. OP 앰프 특성 실험
2) 실험20. 능동 필터
2. 목적
1) 입력 바이어스 전류에 관한 데이터를 읽는다.
2) 출력 오프셋 전압을 측정하고 0 으로 만든다.
3) 슬루율을 계산한다.
4) 전력 대역폭의 효과를 관찰한다.
5) 1차 및 2차 저역 통과 필터 실험을 통하여 각 필터의 주파수 특성과 컷오프 주파수를 측정한다.
6) 2차 고역 통과 필터 실험을 통하여 필터의 주파수 특성과 컷오프 주파수를 측정한다.
3. 실험 결과 및 분석
1) 실험 17. OP앰프 특성 실험
[실험 1 : 입력 바이어스 전류]
반전
비반전
첫 번째 OP앰프(K741)
-7.81m
-7.5m
두 번째 OP앰프(LF356N)
-4.34m
-4.65m
분석 : OP앰프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었다. 반전입력일때의 전류를 측정하였는데 첫 번째 앰프는 반전일 때 -7.81mA이므로 이고 비반전일 때 -7.5mA이므로 측정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하여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구하는데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이므로 -36.7nA가 되었다. 두 번째 OP앰프에서는 반전일 때 -4.34mA이므로 이고 비반전일 때 -4.65mA이므로 측정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하여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구하는데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이므로 -22.48nA가 되었다. 다음으로는 입력 오프셋 전압인데 이것의 계산은 이 되므로 이것을 이용하면 첫 번째 앰프는 73.4nA이고 두 번째 앰프는 44.95nA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예비보고서의 시뮬레이션과 비교하면 시뮬레이션에서는 OP앰프가 이상적인 모델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각 노드의 전압이 같고 흐르는 전류도 같게 된다. 그러므로 오프셋 전류 는 0이 되고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시뮬레이션에서는 -159.5nA가 되었는데 실험에서는 더 작은 값이 나왔다. 소자에 따라서 정해진 값이 아닌 어느 허용구간 내의 값이기 때문에 이는 용인 가능한 값이라고 판단된다.
[실험 2 : 출력 OFFSET 전압]
첫 번째 OP앰프(K741)
-1.22V
두 번째 OP앰프(LF356N)
-0.434V
평균 값
-0.827V
분석 : 실험2의 출력 오프셋 전압은 입력과 출력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것을 OP앰프의 이득이 1000이라고 추정하여 이것을 역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앰프에서 측정된 값은 -1.22V이고 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득을 이용하여 구하는 오프셋 전압은 약 1mV정도로 예상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다. 두 번
1) 실험17. OP 앰프 특성 실험
2) 실험20. 능동 필터
2. 목적
1) 입력 바이어스 전류에 관한 데이터를 읽는다.
2) 출력 오프셋 전압을 측정하고 0 으로 만든다.
3) 슬루율을 계산한다.
4) 전력 대역폭의 효과를 관찰한다.
5) 1차 및 2차 저역 통과 필터 실험을 통하여 각 필터의 주파수 특성과 컷오프 주파수를 측정한다.
6) 2차 고역 통과 필터 실험을 통하여 필터의 주파수 특성과 컷오프 주파수를 측정한다.
3. 실험 결과 및 분석
1) 실험 17. OP앰프 특성 실험
[실험 1 : 입력 바이어스 전류]
반전
비반전
첫 번째 OP앰프(K741)
-7.81m
-7.5m
두 번째 OP앰프(LF356N)
-4.34m
-4.65m
분석 : OP앰프의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직접 측정하는 것이었다. 반전입력일때의 전류를 측정하였는데 첫 번째 앰프는 반전일 때 -7.81mA이므로 이고 비반전일 때 -7.5mA이므로 측정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하여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구하는데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이므로 -36.7nA가 되었다. 두 번째 OP앰프에서는 반전일 때 -4.34mA이므로 이고 비반전일 때 -4.65mA이므로 측정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통하여 입력 바이어스 전류를 구하는데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이므로 -22.48nA가 되었다. 다음으로는 입력 오프셋 전압인데 이것의 계산은 이 되므로 이것을 이용하면 첫 번째 앰프는 73.4nA이고 두 번째 앰프는 44.95nA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을 예비보고서의 시뮬레이션과 비교하면 시뮬레이션에서는 OP앰프가 이상적인 모델로 동작을 하기 때문에 각 노드의 전압이 같고 흐르는 전류도 같게 된다. 그러므로 오프셋 전류 는 0이 되고 입력 바이어스 전류는 시뮬레이션에서는 -159.5nA가 되었는데 실험에서는 더 작은 값이 나왔다. 소자에 따라서 정해진 값이 아닌 어느 허용구간 내의 값이기 때문에 이는 용인 가능한 값이라고 판단된다.
[실험 2 : 출력 OFFSET 전압]
첫 번째 OP앰프(K741)
-1.22V
두 번째 OP앰프(LF356N)
-0.434V
평균 값
-0.827V
분석 : 실험2의 출력 오프셋 전압은 입력과 출력사이의 전압을 측정하고 이것을 OP앰프의 이득이 1000이라고 추정하여 이것을 역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앰프에서 측정된 값은 -1.22V이고 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득을 이용하여 구하는 오프셋 전압은 약 1mV정도로 예상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다. 두 번
키워드
추천자료
[Display 공학] TFT-LCD실험, Oxide TFT와 Organic TFT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 분석 및 심층...
전기전자 실험 - diode[다이오드] 특성곡선 및 LED구동
[전자회로실험] (결과) 버퍼(Buffer) & 대역통과필터(Band Pass Filter) : OP Amp이용하...
[전자 회로 실험] (예비) 실험 08 : 콜렉터 공통 증폭기 : 에미터 팔로워의 회로구성을 이해...
[전자전기설계실험 03] 07주차 (결과) 연산 증폭기 & 다이오드 (Operational Amplifier &...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3] N-Channel MOSFET 전류/전압 특성 측정 결과보고서 (About MOSFET...
[전자전기컴퓨터설계실험3] MOSFET Circuit – Basic MOSFET Circuit 결과보고서 (A...
[냉동공학] 단단압축 증기 냉동 사이클 성능실험 : 기본적인 냉장고 사이클을 통해 냉동기의 ...
[전자회로실험] 푸쉬풀 증폭기 : B급 동작을 정의하고, 푸쉬풀 전력증폭기의 원리를 이해하며...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_예비(전자회로실험)
연산 증폭기의 비이상적 특성_결과(전자회로실험)
증폭기의 주파수 특성_결과(전자회로실험)
전자회로실험I - 실험 6. 차동 BJT 증폭기 특성 결과보고서
전자회로실험I - 실험 8. MOSFET 기본 특성 II 예비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