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1. 제목
1) 접합 다이오드
2) 다이오드 리미터와 클램퍼
2. 이론
1) 접합 다이오드
접합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로 P, N형 실리콘을 서로 결합한 것이다. 이것의 용도는 정류기, 통신용 수신기 검파기 등이다. 접합다이오드의 모양은 다음의 그림과 같다.
2) 순방향 다이오드
순방향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의 P형에 +극을 N형에 -극을 인가하면 된다. 이때 인가 전압의 범위가 다이오드의 동작 전압인 0.7V이하일때는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그 이상이 되면 많은 전류가 흐른다.
3) 역방향 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극을 캐소드에 +극을 연결하면 다이오드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 된다. 이렇게 되면 공핍측의 폭이 증가하여 다수캐리어는 접합을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소수캐리어만 이동을 하게 된다. 소수캐리어에 의해서 일정 전압까지는 아주 작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다이오드가 파괴되는데 이것을 눈사태항복이라고 부른다.
4) 다이오드의 특성
다음의 곡선이 다이오드의 특성을 보여준다. 순방향바이어스 일때는 이 되고, 역방향일때는, 항복영역일
1) 접합 다이오드
2) 다이오드 리미터와 클램퍼
2. 이론
1) 접합 다이오드
접합 다이오드는 한 방향으로만 전류를 흐르게 하는 반도체 소자로 P, N형 실리콘을 서로 결합한 것이다. 이것의 용도는 정류기, 통신용 수신기 검파기 등이다. 접합다이오드의 모양은 다음의 그림과 같다.
2) 순방향 다이오드
순방향 바이어스는 다이오드의 P형에 +극을 N형에 -극을 인가하면 된다. 이때 인가 전압의 범위가 다이오드의 동작 전압인 0.7V이하일때는 거의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그 이상이 되면 많은 전류가 흐른다.
3) 역방향 다이오드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극을 캐소드에 +극을 연결하면 다이오드에 역방향 바이어스가 인가 된다. 이렇게 되면 공핍측의 폭이 증가하여 다수캐리어는 접합을 이동할 수 없게 되고 소수캐리어만 이동을 하게 된다. 소수캐리어에 의해서 일정 전압까지는 아주 작은 전류가 흐르게 되는데 일정 전압 이상이 되면 다이오드가 파괴되는데 이것을 눈사태항복이라고 부른다.
4) 다이오드의 특성
다음의 곡선이 다이오드의 특성을 보여준다. 순방향바이어스 일때는 이 되고, 역방향일때는, 항복영역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