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관성있게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많다. 대표적인 예가 한 시점에서 설정된 성과 기준이 실시단계에 와보니 너무 낮게 설정되었다고 판단하여 기준을 다시 바꾸는 경우다. 예를 들면 평균 배달 시간을 17분에서 15분으로 단축하면 점심시간을 2시간 연장하는 인센티브 시스템을 설계했다고 하자.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 각 팀이 노력을 하여 평균 배달시간이 모두 15분 이하로 일관성 있게 유지되었다. 이때 경영측이 성과기준이 너무 쉬웠다고 판단하고 성과기준을 다시 낮추어 12분으로 바꾸는 경우 문제가 발생한다. 실행 단계에서의 이러한 비일관성은 인센티브 시스템을 심각하게 약화시킨다. 그래서 종업원들의 사기 저하나 성과 감소와 같은 문제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는 성과기준을 설정하기 전에 달성가능한 수준에 대해 정확한 추정치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인센티브 시스템을 실시하기 전에 적어도 한 성과기간 정도를 피드백, 목표설정 시스템을 도입하여 운영하는 것이 좋다. 이를 통해 종업원들이 어떤 성과수준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하여 명확한 그림을 가져야 한다.
인센티브 시스템은 종업원을 동기부여하고 성과를 개선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려면 매우 세심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잘못 설계된 프로그램은 과거보다 오히려 더 종업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관리자들은 그들이 일의 어떤 측면을 강화할 것인가, 종업원들이 어떤 타입의 인센티브를 원하는가 그리고 종업원들이 달성할 수 있는 성과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하여 주의깊게 고려해야 한다.
인센티브 시스템은 종업원을 동기부여하고 성과를 개선하는 데 매우 효과적인 기법이다. 그러나 이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운영되려면 매우 세심하게 설계되어야 한다. 잘못 설계된 프로그램은 과거보다 오히려 더 종업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고 생산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관리자들은 그들이 일의 어떤 측면을 강화할 것인가, 종업원들이 어떤 타입의 인센티브를 원하는가 그리고 종업원들이 달성할 수 있는 성과수준은 어느 정도인가에 대하여 주의깊게 고려해야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