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 2
Ⅱ. Spasticity(경직)의 정의 ..................................... 2
Ⅲ. Spasticity(경직)와 Rigidity(강직)의 차이........... 3
Ⅳ. Spasticity(경직)의 기전...................................... 4
Ⅴ. 상위운동신경원 손상에 따른 영향...................... 7
Ⅵ. 경직이 자세에 미치는 영향................................ 8
Ⅶ. 결론.................................................................... 12
Ⅱ. Spasticity(경직)의 정의 ..................................... 2
Ⅲ. Spasticity(경직)와 Rigidity(강직)의 차이........... 3
Ⅳ. Spasticity(경직)의 기전...................................... 4
Ⅴ. 상위운동신경원 손상에 따른 영향...................... 7
Ⅵ. 경직이 자세에 미치는 영향................................ 8
Ⅶ. 결론.................................................................... 12
본문내용
on head
prone(partial) 1-2
mature 4-5
supine 5-6
Landau
immature 3
mature 6
Flexion
partial(head in line) 3-4
mature(head forward) 6-7
Vertical
partial(head in line) 2
mature(head to vertical) 6
PROTECTIVE REACTIONS
Forward 6-7
Lateral 6-11
Backward 9-12
EQUILIBRIUM REACTIONS
Prone 5-6
Supine 7-8
Sitting 7-10
Quadruped 9-12
Standing 12-21
표2> Postural control이 형성되어가는 과정 2
인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antigravity muscles이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자세유지 및 동작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또한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갑자기 어떤 동작을 수행할 때, 일정한 Muscle Tone을 유지하지 않으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서있거나 어떤 동작을 수행 할 때, muscle tone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Action Potential이 Automatic feedback system을 통해 계속 전달되어야 한다.
근육은 완전히 이완한 상태에서도 일전한 긴장도를 나타내는데, 이를 Resting Tone이라 한다. Ant. Roots 또는 Pos. Roots를 완전히 절단하면 Resting Tone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이는 근육 자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Reflex Arc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즉 인체는 항상 Gravity에 대하여 일정한 Muscle Tone을 유지하면서 어떠한 동작이 요구되어질 때 적절한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이 요구되어지는데, 이 때 Reflex Arc 및 상위운동신경계의 정상적 조절 기능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상위운동신경계의 손상으로 정상적 조절 기능이 상실하면 이완성마비 및 Spasticity가 나타나는데, Spasticity는 관절의 구축 및 변형을 가져오고, 자세의 이상을 발생시켜 일상생활동작 및 보행에서 비정상패턴을 발생시킨다.
또한 오랜 세월 지속된 Spasticity는 근육과 인대의 조직 변형을 초래하여 관절이 구부러져 굳어지는 구축을 가져와 침상 및 휠체어에서의 자세가 불편해지고 여러 일상생활 동작 수행도 어려울 수 있다.
대체로 Spasticity는 antigravity muscles에 나타나는데, 상지에서는 Flexion Pattern이 하지에서는 Extension Pattern이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예를 들면 Flexion Pattern으로 굳어진 상지는 무게중심을 건측으로 이동시킬 것이며, Extension Pattern으로 굳어진 하지는 역시 건측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며 Circumduction Gait 등 이상보행패턴을 발생시킬 것이다.
오래 지속된 Spasticity는 Scapula를 Upward Rotation 또는 Downward Rotation 시키고 Retraction, Depression된 상태에서 고정되어질 수 있다.
Pelvis 또한 Posterior, Inferior 방향으로 Depression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버릴 수 있다.
이러한 구축과 변형은 결국 바로 서있을 때 좌우 무게 균형이 올바르지 않고 편마비인 경우 거의 건측으로만 서있게 되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이러한 고정상태에서는 위에서 이야기한 postural reaction 및 Balance Control이 제대로 나타나지 못할 것이다.
Ⅶ. 결론
근본적으로 운동행동에 대한 상위운동신경계의 기능은 자세와 평형을 유지해주며 고도로 숙련된 활동과 능력을 부여해주는 것이다.
인간은 중력에 대하여 정상적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근육들의 정상적 Muscle Tone이 있어야하며, 이러한 근육들의 Muscle Tone은 서로 잘 조화되어 임의의 동작을 할 수 있어야한다.
Bobath는 정상적인 인간의 활동에 필요한 3가지 요소를 Normal Postural Tone, Reciprocal Innervation, Normal Pattern으로 규정한바 있다 K Bobath. "A Neur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
근육의 긴장이 과도한 경우를 Spasticity라 하는데, 경직성이란 고위억제 조절에서 감마계에 작용하는 뇌간 시상하부의 촉진중추가 해리되어서 생기는 것이며, 이완성은 소뇌로부터의 감마계에 대한 억제가 과도하여 항중력자세톤이 결여하여 발생한다 B Bobath. "성인편마비환자를 위한 평가와 치료“. P.16.
.
억제는 자세와 운동조절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계통발생학 및 개체발생 측면에서 억제는 전신적 운동 패턴을 고위통합작용인 선택적 운동으로 수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B Bobath. 동책
.
즉 감마계의 억제 기전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과도한 근수축인 Spasticity는 신경발달접근치료법 등의 치료방법으로 억제되고 정상적 운동패턴이 촉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용주. 민경옥. “운동치료학Ⅱ”. 대학서림. 1991.
김종만. “물리작업치료사를 위한 신경해부생리학”. 정담. 2000.
서울시물리치료사회. "Spasticity", http://blog.naver.com/arms1979/140003258621.
윤창구 편저. “성인편마비운동치료”. 현문사. 1994.
피터두스. “신경국소진단학”. 과학서적센터. 1995.
홍승길 편역. “인체생리학”. 고려의학. 1999.
B Bobath. "성인편마비환자를 위한 평가와 치료“. 영문출판사. 1996.
Frank H. Netter, M.D. "The CIBA Collection, Volume 1, Part 1". CIBA Co. 1983.
K Bobath. "A Neur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Springer-Verlag Berlin Hekideberg. 1990.
prone(partial) 1-2
mature 4-5
supine 5-6
Landau
immature 3
mature 6
Flexion
partial(head in line) 3-4
mature(head forward) 6-7
Vertical
partial(head in line) 2
mature(head to vertical) 6
PROTECTIVE REACTIONS
Forward 6-7
Lateral 6-11
Backward 9-12
EQUILIBRIUM REACTIONS
Prone 5-6
Supine 7-8
Sitting 7-10
Quadruped 9-12
Standing 12-21
표2> Postural control이 형성되어가는 과정 2
인체는 중력의 영향을 받으며 antigravity muscles이 일정한 긴장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자세유지 및 동작을 제대로 할 수 없다.
또한 물건을 들어 올리거나 갑자기 어떤 동작을 수행할 때, 일정한 Muscle Tone을 유지하지 않으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서있거나 어떤 동작을 수행 할 때, muscle tone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Action Potential이 Automatic feedback system을 통해 계속 전달되어야 한다.
근육은 완전히 이완한 상태에서도 일전한 긴장도를 나타내는데, 이를 Resting Tone이라 한다. Ant. Roots 또는 Pos. Roots를 완전히 절단하면 Resting Tone은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이는 근육 자체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Reflex Arc가 관여함을 알 수 있다.
즉 인체는 항상 Gravity에 대하여 일정한 Muscle Tone을 유지하면서 어떠한 동작이 요구되어질 때 적절한 근육의 수축 및 이완이 요구되어지는데, 이 때 Reflex Arc 및 상위운동신경계의 정상적 조절 기능이 요구되어진다.
그러나 상위운동신경계의 손상으로 정상적 조절 기능이 상실하면 이완성마비 및 Spasticity가 나타나는데, Spasticity는 관절의 구축 및 변형을 가져오고, 자세의 이상을 발생시켜 일상생활동작 및 보행에서 비정상패턴을 발생시킨다.
또한 오랜 세월 지속된 Spasticity는 근육과 인대의 조직 변형을 초래하여 관절이 구부러져 굳어지는 구축을 가져와 침상 및 휠체어에서의 자세가 불편해지고 여러 일상생활 동작 수행도 어려울 수 있다.
대체로 Spasticity는 antigravity muscles에 나타나는데, 상지에서는 Flexion Pattern이 하지에서는 Extension Pattern이 강하게 나타날 것이다.
예를 들면 Flexion Pattern으로 굳어진 상지는 무게중심을 건측으로 이동시킬 것이며, Extension Pattern으로 굳어진 하지는 역시 건측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키며 Circumduction Gait 등 이상보행패턴을 발생시킬 것이다.
오래 지속된 Spasticity는 Scapula를 Upward Rotation 또는 Downward Rotation 시키고 Retraction, Depression된 상태에서 고정되어질 수 있다.
Pelvis 또한 Posterior, Inferior 방향으로 Depression된 상태에서 고정되어 버릴 수 있다.
이러한 구축과 변형은 결국 바로 서있을 때 좌우 무게 균형이 올바르지 않고 편마비인 경우 거의 건측으로만 서있게 되는 결과를 초래 할 것이다.
이러한 고정상태에서는 위에서 이야기한 postural reaction 및 Balance Control이 제대로 나타나지 못할 것이다.
Ⅶ. 결론
근본적으로 운동행동에 대한 상위운동신경계의 기능은 자세와 평형을 유지해주며 고도로 숙련된 활동과 능력을 부여해주는 것이다.
인간은 중력에 대하여 정상적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근육들의 정상적 Muscle Tone이 있어야하며, 이러한 근육들의 Muscle Tone은 서로 잘 조화되어 임의의 동작을 할 수 있어야한다.
Bobath는 정상적인 인간의 활동에 필요한 3가지 요소를 Normal Postural Tone, Reciprocal Innervation, Normal Pattern으로 규정한바 있다 K Bobath. "A Neur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
근육의 긴장이 과도한 경우를 Spasticity라 하는데, 경직성이란 고위억제 조절에서 감마계에 작용하는 뇌간 시상하부의 촉진중추가 해리되어서 생기는 것이며, 이완성은 소뇌로부터의 감마계에 대한 억제가 과도하여 항중력자세톤이 결여하여 발생한다 B Bobath. "성인편마비환자를 위한 평가와 치료“. P.16.
.
억제는 자세와 운동조절에서 대단히 중요한 요소이다. 계통발생학 및 개체발생 측면에서 억제는 전신적 운동 패턴을 고위통합작용인 선택적 운동으로 수정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B Bobath. 동책
.
즉 감마계의 억제 기전의 손상으로 발생하는 과도한 근수축인 Spasticity는 신경발달접근치료법 등의 치료방법으로 억제되고 정상적 운동패턴이 촉진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 문헌>
김용주. 민경옥. “운동치료학Ⅱ”. 대학서림. 1991.
김종만. “물리작업치료사를 위한 신경해부생리학”. 정담. 2000.
서울시물리치료사회. "Spasticity", http://blog.naver.com/arms1979/140003258621.
윤창구 편저. “성인편마비운동치료”. 현문사. 1994.
피터두스. “신경국소진단학”. 과학서적센터. 1995.
홍승길 편역. “인체생리학”. 고려의학. 1999.
B Bobath. "성인편마비환자를 위한 평가와 치료“. 영문출판사. 1996.
Frank H. Netter, M.D. "The CIBA Collection, Volume 1, Part 1". CIBA Co. 1983.
K Bobath. "A Neurological Basis for the Treatment of Cerebral Palsy". Springer-Verlag Berlin Hekideberg. 1990.
키워드
추천자료
- spasticity
- 경직 spasticity 에 관해 핵심만 요약한 6p자료입니다
- 페드리티 CHAPTER 36.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해석
- [물리치료] 강직에 대한 고찰
- [신경계] 경직[SPASTICITY]에 관한 총체적 내용
- [의학] 편마비 환자의 경직[Spasticity]에 관해
- 재활의학 - 강직[Spasticity]에 관해
- [물리치료] muscle weakness[근육약화] -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운동장애의 원인이 과긴장...
- [의학신경해부 - 물리치료] 상위운동신경원증후군[upper motor neuron syndrome]에 관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