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독균 등 여러 종류의 병원체가 일으킨 감염으로 인해서 생기는 신생아황달
(7) 유전병으로 생기는 신생아황달
(8) 그 밖의 다른 원인으로 생기는 황달
①생리적 황달
신생아들은 정상인 경우에도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정상인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은 생리적 황달이라고 하는데 보통 태어난 지 3~5일경에는 사라집니다.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은 대게 피의 적혈구에서 나오는데 신생아의 경우는 적혈구가 연약하여 잘 깨지므로 빌리루빈이 많이 생성되고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제거되는데 신생아는 간의 기능이 미숙해 정상인 경우에도 황달이 잘 생깁니다.
②모유 황달
모유는 먹는 아기는 흔히 황달이 10일 이상 오래가고 심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모유를 1~2일 정도 일시적으로 끊어 보아 황달이 모유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해야한다.
모유를 끊어서 황달이 좋아지면 모유황달이라고 판단하는데 모유를 먹이는 아기의 경우 간에서 빌리루빈 제거를 방해하는 지방산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다. 모유황달의 경우 모유가 나빠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다시 모유를 먹여야한다. 모유 황달을 확인하기 위해서 잠시 모유를 끊고 분유를 먹이는 동안 열심히 젖을 짜야한다. 젖을 짜내지 않으면 결국 나중에 모유가 적게 나와 못 먹일 수도 있다.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좋은 식품이며 모우 황달이 모유수유의 지속적인 금기 상황이 아니므로 모유 황달이 있더라도 모유수유에 실패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③병적 황달
신생아에게 황달이 있는 것이 다 저절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거나 10일 이후에도 지속되면 황달의 수치가 14mg/dL이상인 경우 병적인 황달로 생각 할 수 있다. 병적인 황달의 원인으로는 용혈성 질환(어머니와 아기의 혈액형이 맞지 않은 경우), 감염, 선천성 대사질환 등이 있다.
아기의 손바닥이나 발바닥까지 노래지면 황달 수치가 15mg/dl이상으로 생각되며 병적인 황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아과 진료를 받고 원인과 정도를 확인하고 조치를 하시는 것이 안전하다. 병적인 황달이 의심되는 경우 큰 병원에 보내서 검사를 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입원을 시켜 치료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황달이 심하면 황달 색소가 신생아의 뇌로 들어가 핵황달을 일으켜 청각장애, 지능장애, 및 뇌성마비 등을 일으키거나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병적인 황달의 경우에도 조기에 발견하면 핵황달의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황달이 있는 때는 소아과 의사를 찾아가 황달의 원인과 정도를 빨리 알고 치료를 해야 한다.
<신생아 황달의 범위와 종류>
2)진단적 검사
Total 및 direct serum bilirubin
WBC count , differential count
Hb, Hct , PLT count
Reticulocyte count(빈혈이 있을 때)
말초혈액 도말 표본(spherocyte , 유핵 적혈구)
산모 및 신생아의 혈액형
신생아의 직접 및 간접 Coombs\'test
신생아 황달에서 시행되는 검사
황달이 시작된 시기, 전신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빌리루빈 수치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하고 아기의 뒷발꿈치를 란셋으로 가볍게 찔러 나오는 소량의 혈액을 가는 관에 채취하여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한다.
3)치료 및 간호
신생아 황달의 대부분은 치료가 필요 없지만 병적 황달일 경우 그 원인을 밝혀야 하며 핵황달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들이 있다. 신생아 황달의 치료법으로는 약물 투여, 광선요법 및 교환 수혈 등이 있다. 광선 요법과 교환 수혈은 입원하여 시행하는 치료법 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기의 상태와 혈중 빌리루빈 수치로 결정되는데 건강한 만삭아의 경우, 대개 혈중 빌리루빈이 15~17mg/이 정도에서 광선치료를 하고 교환수혈은 아기의 상태에 따라 20~25mg/dl 이상에서 하게 된다.
광선요법은 아기의 피부에 광선을 쬐어서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을 낮추는 방법인데 광선치료기를 아기에서 가까이 비춰주기 때문에 강한 빛에 의한 망막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안대를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간혹 황달이 있는 아기를 원인을 밝히지 않은 채 집에서 형광등이나 햇볕을 이용해서 치료하려고 하는데 이런 방법들은 그냥 두어도 좋은 생리적 황달에는 약간의 도움이 되나 병적인 황달의 치료에는 별 소용이 없다.
◀광선요법을 위해 안대를 끼고 치료받고 있는 사진
교환 수혈은 황달이 너무 심한 아기의 피를 정상인 피로 바꾸어 주어 황달 수치를 빨리 떨어뜨려주는 치료법이다.
그리고 신생아는 신생아실 퇴원 후에 황달이 시작되거나 치료받고 퇴원했더라도 다시 심해질 수 있으므로 관찰이 필요하다. 미숙아는 혈중 빌리루빈이 더 낮은 상태에서도 신경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육안으로 황달이 심해지는 것으로 보이면 외래방문을 서두르는 것이 안전하다.
2. case study
1)간호력
신원정보
이름 : 백진수 아기
성별 : 여자
주소 : 영주시 휴천 2동 642-68번지
출생일 : 2009.04.25(38+2주)
입원일 : 2009.04.29
출생력
재태기간: 38+3주 출생체중:2920g 아프가 점수 : 1분- 9점 /5분- 10점
어머니의 임신력 및 분만력
연령 : 28세 임신횟수 : 1 분만횟수 : 1
분만 형태 : CPD-C/SEC 혈액형: AB+
임심시의 특이사항: GA 5개월째 labor pain으로 Yutopar투여
건강력
주호소 : jaundice
현병력: jaundice
검사소견: 4/29일
total protein : 5.5Lg/dl
D-Bilirubin : 1.1Hmg/dl
T-Bilirubin : 16.2Hmg/dl
치료과정: photo therapy
과거력
질병력: 임신 5개월경 lobar pain으로 한달간 adm하면서 약물 yutopar투여
예방접종력 : B형 간염 1차 예방접종
가족력
당뇨
pt
영양력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이고 있으며 3시간 마다 주며 대략 1회에 30~40cc를 먹으며 하루 동안대략 320cc 정도 먹는다.
신체 사정
전반적인 외모 :
(7) 유전병으로 생기는 신생아황달
(8) 그 밖의 다른 원인으로 생기는 황달
①생리적 황달
신생아들은 정상인 경우에도 황달이 생기는 경우가 흔합니다. 정상인 신생아에게 생기는 황달은 생리적 황달이라고 하는데 보통 태어난 지 3~5일경에는 사라집니다.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은 대게 피의 적혈구에서 나오는데 신생아의 경우는 적혈구가 연약하여 잘 깨지므로 빌리루빈이 많이 생성되고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제거되는데 신생아는 간의 기능이 미숙해 정상인 경우에도 황달이 잘 생깁니다.
②모유 황달
모유는 먹는 아기는 흔히 황달이 10일 이상 오래가고 심한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는 모유를 1~2일 정도 일시적으로 끊어 보아 황달이 모유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해야한다.
모유를 끊어서 황달이 좋아지면 모유황달이라고 판단하는데 모유를 먹이는 아기의 경우 간에서 빌리루빈 제거를 방해하는 지방산이 증가되기 때문으로 생각되고 있다. 모유황달의 경우 모유가 나빠서 생기는 것이 아니므로 다시 모유를 먹여야한다. 모유 황달을 확인하기 위해서 잠시 모유를 끊고 분유를 먹이는 동안 열심히 젖을 짜야한다. 젖을 짜내지 않으면 결국 나중에 모유가 적게 나와 못 먹일 수도 있다.
모유는 아기에게 가장 좋은 식품이며 모우 황달이 모유수유의 지속적인 금기 상황이 아니므로 모유 황달이 있더라도 모유수유에 실패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③병적 황달
신생아에게 황달이 있는 것이 다 저절로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 황달이 생후 24시간 이내에 나타나거나 10일 이후에도 지속되면 황달의 수치가 14mg/dL이상인 경우 병적인 황달로 생각 할 수 있다. 병적인 황달의 원인으로는 용혈성 질환(어머니와 아기의 혈액형이 맞지 않은 경우), 감염, 선천성 대사질환 등이 있다.
아기의 손바닥이나 발바닥까지 노래지면 황달 수치가 15mg/dl이상으로 생각되며 병적인 황달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소아과 진료를 받고 원인과 정도를 확인하고 조치를 하시는 것이 안전하다. 병적인 황달이 의심되는 경우 큰 병원에 보내서 검사를 하기도 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입원을 시켜 치료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황달이 심하면 황달 색소가 신생아의 뇌로 들어가 핵황달을 일으켜 청각장애, 지능장애, 및 뇌성마비 등을 일으키거나 사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병적인 황달의 경우에도 조기에 발견하면 핵황달의 예방이 가능하기 때문에 황달이 있는 때는 소아과 의사를 찾아가 황달의 원인과 정도를 빨리 알고 치료를 해야 한다.
<신생아 황달의 범위와 종류>
2)진단적 검사
Total 및 direct serum bilirubin
WBC count , differential count
Hb, Hct , PLT count
Reticulocyte count(빈혈이 있을 때)
말초혈액 도말 표본(spherocyte , 유핵 적혈구)
산모 및 신생아의 혈액형
신생아의 직접 및 간접 Coombs\'test
신생아 황달에서 시행되는 검사
황달이 시작된 시기, 전신 상태, 수유량, 체중 증감 상태, 모유 수유 여부, 빌리루빈 수치 및 혈액형 등의 병력이나 진찰 소견, 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하고 아기의 뒷발꿈치를 란셋으로 가볍게 찔러 나오는 소량의 혈액을 가는 관에 채취하여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한다.
3)치료 및 간호
신생아 황달의 대부분은 치료가 필요 없지만 병적 황달일 경우 그 원인을 밝혀야 하며 핵황달을 예방하기 위한 치료가 필요한 경우들이 있다. 신생아 황달의 치료법으로는 약물 투여, 광선요법 및 교환 수혈 등이 있다. 광선 요법과 교환 수혈은 입원하여 시행하는 치료법 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아기의 상태와 혈중 빌리루빈 수치로 결정되는데 건강한 만삭아의 경우, 대개 혈중 빌리루빈이 15~17mg/이 정도에서 광선치료를 하고 교환수혈은 아기의 상태에 따라 20~25mg/dl 이상에서 하게 된다.
광선요법은 아기의 피부에 광선을 쬐어서 황달을 일으키는 빌리루빈을 낮추는 방법인데 광선치료기를 아기에서 가까이 비춰주기 때문에 강한 빛에 의한 망막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안대를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간혹 황달이 있는 아기를 원인을 밝히지 않은 채 집에서 형광등이나 햇볕을 이용해서 치료하려고 하는데 이런 방법들은 그냥 두어도 좋은 생리적 황달에는 약간의 도움이 되나 병적인 황달의 치료에는 별 소용이 없다.
◀광선요법을 위해 안대를 끼고 치료받고 있는 사진
교환 수혈은 황달이 너무 심한 아기의 피를 정상인 피로 바꾸어 주어 황달 수치를 빨리 떨어뜨려주는 치료법이다.
그리고 신생아는 신생아실 퇴원 후에 황달이 시작되거나 치료받고 퇴원했더라도 다시 심해질 수 있으므로 관찰이 필요하다. 미숙아는 혈중 빌리루빈이 더 낮은 상태에서도 신경 독성을 나타낼 수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육안으로 황달이 심해지는 것으로 보이면 외래방문을 서두르는 것이 안전하다.
2. case study
1)간호력
신원정보
이름 : 백진수 아기
성별 : 여자
주소 : 영주시 휴천 2동 642-68번지
출생일 : 2009.04.25(38+2주)
입원일 : 2009.04.29
출생력
재태기간: 38+3주 출생체중:2920g 아프가 점수 : 1분- 9점 /5분- 10점
어머니의 임신력 및 분만력
연령 : 28세 임신횟수 : 1 분만횟수 : 1
분만 형태 : CPD-C/SEC 혈액형: AB+
임심시의 특이사항: GA 5개월째 labor pain으로 Yutopar투여
건강력
주호소 : jaundice
현병력: jaundice
검사소견: 4/29일
total protein : 5.5Lg/dl
D-Bilirubin : 1.1Hmg/dl
T-Bilirubin : 16.2Hmg/dl
치료과정: photo therapy
과거력
질병력: 임신 5개월경 lobar pain으로 한달간 adm하면서 약물 yutopar투여
예방접종력 : B형 간염 1차 예방접종
가족력
당뇨
pt
영양력
모유와 분유를 함께 먹이고 있으며 3시간 마다 주며 대략 1회에 30~40cc를 먹으며 하루 동안대략 320cc 정도 먹는다.
신체 사정
전반적인 외모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