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려고 우리 조는 조교님의 실험기구 설명에 귀를 기울였다.
맨 처음 설명을 듣게 된 것은 버니어 캘리퍼였는데 가장 주의 깊게 들은 부분은 물체 와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깊이를 잴 때에는 눕혀지거나 기울어지면 그 값의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였다. 하지만 처음 보는 기구여서 그런지 한 명 당 2번씩 쟀던 값의 차이가 조금 큰 것같이 느껴졌다. 특히 주척과 부척의 일치점을 잘 못 읽어서 값이 틀려지는 경우도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은 마이크로미터로 핸드폰ㆍ머리카락 직경 그리고 종이 두께를 재는 것이 었다. 마이크로미터는 뒤에 작은 돌리개가 있어서 버니어 캘리퍼와는 조금 다르게 압 력에 의해 물체의 측정값이 많이 달라지지 않았다. 특히 머리카락과 종이는 얇아서 그런 지 측정값이 거의 일치했다. 하지만 핸드폰의 경우 핸드폰의 위아래 두께차이가 있어서 그런지 재는 부위가 틀려질 때마다 약간의 오차가 있었다.
마지막은 구면계로 오목렌즈의 곡률반경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면계는 위에 손잡이를 이용해 밑에 가운데 나사가 오목렌즈에 닿는 순간의 값을 측정하는 기계이다. 하지만 조 금만 살짝 더 돌리게 되면 정삼각형 모양의 꼭짓점이 한쪽은 뜨게 된다거나 하는 경우 때문에 조금 까다로운 실험이었다. 그래서 지면에서의 값은 오차 ±0.01 정도가 나오는 반면 오목렌즈를 잴 때마다 값이 조금 크게 달라져 실험이 매우 어려웠다.
처음 실험이라 값의 오차가 크기도 하고 실험을 어렵고 딱딱하게만 느낀 것도 있지만 실험을 한번 해보고 보고서를 써보는 만큼 다음 실험에서는 더욱더 열심히 참여할 것이 라 생각된다.
맨 처음 설명을 듣게 된 것은 버니어 캘리퍼였는데 가장 주의 깊게 들은 부분은 물체 와 수평을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깊이를 잴 때에는 눕혀지거나 기울어지면 그 값의 오차가 커지기 때문에 주의를 기울였다. 하지만 처음 보는 기구여서 그런지 한 명 당 2번씩 쟀던 값의 차이가 조금 큰 것같이 느껴졌다. 특히 주척과 부척의 일치점을 잘 못 읽어서 값이 틀려지는 경우도 있었다.
두 번째 실험은 마이크로미터로 핸드폰ㆍ머리카락 직경 그리고 종이 두께를 재는 것이 었다. 마이크로미터는 뒤에 작은 돌리개가 있어서 버니어 캘리퍼와는 조금 다르게 압 력에 의해 물체의 측정값이 많이 달라지지 않았다. 특히 머리카락과 종이는 얇아서 그런 지 측정값이 거의 일치했다. 하지만 핸드폰의 경우 핸드폰의 위아래 두께차이가 있어서 그런지 재는 부위가 틀려질 때마다 약간의 오차가 있었다.
마지막은 구면계로 오목렌즈의 곡률반경을 측정하는 것이다. 구면계는 위에 손잡이를 이용해 밑에 가운데 나사가 오목렌즈에 닿는 순간의 값을 측정하는 기계이다. 하지만 조 금만 살짝 더 돌리게 되면 정삼각형 모양의 꼭짓점이 한쪽은 뜨게 된다거나 하는 경우 때문에 조금 까다로운 실험이었다. 그래서 지면에서의 값은 오차 ±0.01 정도가 나오는 반면 오목렌즈를 잴 때마다 값이 조금 크게 달라져 실험이 매우 어려웠다.
처음 실험이라 값의 오차가 크기도 하고 실험을 어렵고 딱딱하게만 느낀 것도 있지만 실험을 한번 해보고 보고서를 써보는 만큼 다음 실험에서는 더욱더 열심히 참여할 것이 라 생각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물리 실험 - 빛지레를 이용한 물체의 두께 측정- 예비리포트
측량이란
버니어캘리퍼스와 마이크로미터 사용법
단진자 운동의 주기와 중력가속도 측정 및 에너지 보존법칙
Borda 진자 운동 - 사전 보고서
[물리실험]관성모멘트
(일반물리학 실험)길이, 면적, 부피 및 밀도 측정(예비 및 결과레포트)
빛지레를 이용한 물체의 두께 측정
비틀림 진자에 의한 강성률 측정 보고서
[실험 보고서] 관성모멘트 측정 장치 (Experimental Apparatus for moment of Inertia)
재료공학 실험 - 굽힘 실험
[일반 물리학 및 실험1] 1.16 관성모멘트 측정 (결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