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적용범위 및 실험 목적
2.실험 재료 및 기구
3.실험 방법
4.주의 사항
5.실험 결과
2.실험 재료 및 기구
3.실험 방법
4.주의 사항
5.실험 결과
본문내용
체가름 시험(체진동기)
시 험 일
2009년 09 월 23 일
시험일의 상태
실 온(℃)
습 도(%)
-
-
시 료
채취장소
채취날짜
채 취 자
실험동 뒤쪽
09.09.21
오 인 혁
체크기(No)
각 체에 남는량
각 체에 남는 량의 누계
통 과 량
(g)
(%)
(g)
(%)
(%)
No.4
0
0
0
0
100
No.8
0.7
0.14
0.7
0.14
99.86
No.16
49.3
9.862
3.9
10.002
89.998
No.30
132.1
26.4253
179
36.4273
63.5727
No.50
223.5
44.7089
420.5
81.1362
18.8638
No.100
78.5
15.7031
496
96.8393
3.1607
팬(접시)
15.8
3.1606
499.8
100
0
계
499.9
100
조 립 율
FM = (No.4+No.8+No.16+No.30+No.50+No.100)/100
FM = (O+0.14+10.002+36.4273+81.1362+96.8393)/100=2.245448
체가름곡석
고 찰
이번 잔골재 실험에서는 4분법에 의해서 수동과 체 진동기 실험값이 거의 동일하게 데이터가 나왔다. FM값은 규정하는 데이터에 들어가나 조금은 작은 값이 나왔으며,통과 백분의 값 또한 KS에서 규정 하는데로 최대 최소 범위안에 들어갔으나,NO30에서 NO4의 값은 조금 많이 나왔으므로 그사이에 값을 낮추면 잔골재를 이용시 더 좋은 소재의 잔골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
시 험 일
2009년 09월 23 일 수 요일
시험일의 상태
실 온(℃)
습 도(%)
-
-
시 료
채취장소
채취날짜
채 취 자
실험동 뒤쪽
09.09.21
오 인 혁
체크기(㎜)
각 체에 남는량
각 체에 남는 량의 누계
통 과 량
(g)
(%)
(g)
(%)
(%)
50
0
0
0
0
100
40
0
0
0
0
100
25
0
0
0
0
100
20
223
5.5932
223
5.5932
94.4068
15
1681
42.162
1904
47.7552
52.2448
10
1133
28.4174
3037
76.1726
23.8274
5
902
22.6235
3939
98.7961
1.2039
2.5
22
0.5518
3961
99.3479
0.6521
팬(접시)
26
0.6521
3987
100
0
계
3987
100
최대치수(㎜)
20
조 립 율
(각체의 누계량)/100=7.250566
체가름곡석
고 찰
굵은 골재 체가름 실험에서는 많은 문제 점이 나타났다. 2.5mm체와 pan에서 48g의 잔골재가 나타났으며, 또한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에서 부정확한 실험이 나타났다. 또한 ks에서 규정하는 통과율의 값에 대체로 들어갔으나 mix에 가까운 값이 나타났으므로 배합설계과정에서 각 굵은 골재의 양을 조정하여 사용해야 할것이다.이번 실험에서 좋지 않은 데이터값이 나왔으나 이번실험을 통하여 각 크기의 골재를 알게 되었어 좋은 경험이 되었으며 다음 실험에서는 이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좋은 값을 나올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시 험 일
2009년 09 월 23 일
시험일의 상태
실 온(℃)
습 도(%)
-
-
시 료
채취장소
채취날짜
채 취 자
실험동 뒤쪽
09.09.21
오 인 혁
체크기(No)
각 체에 남는량
각 체에 남는 량의 누계
통 과 량
(g)
(%)
(g)
(%)
(%)
No.4
0
0
0
0
100
No.8
0.7
0.14
0.7
0.14
99.86
No.16
49.3
9.862
3.9
10.002
89.998
No.30
132.1
26.4253
179
36.4273
63.5727
No.50
223.5
44.7089
420.5
81.1362
18.8638
No.100
78.5
15.7031
496
96.8393
3.1607
팬(접시)
15.8
3.1606
499.8
100
0
계
499.9
100
조 립 율
FM = (No.4+No.8+No.16+No.30+No.50+No.100)/100
FM = (O+0.14+10.002+36.4273+81.1362+96.8393)/100=2.245448
체가름곡석
고 찰
이번 잔골재 실험에서는 4분법에 의해서 수동과 체 진동기 실험값이 거의 동일하게 데이터가 나왔다. FM값은 규정하는 데이터에 들어가나 조금은 작은 값이 나왔으며,통과 백분의 값 또한 KS에서 규정 하는데로 최대 최소 범위안에 들어갔으나,NO30에서 NO4의 값은 조금 많이 나왔으므로 그사이에 값을 낮추면 잔골재를 이용시 더 좋은 소재의 잔골재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
시 험 일
2009년 09월 23 일 수 요일
시험일의 상태
실 온(℃)
습 도(%)
-
-
시 료
채취장소
채취날짜
채 취 자
실험동 뒤쪽
09.09.21
오 인 혁
체크기(㎜)
각 체에 남는량
각 체에 남는 량의 누계
통 과 량
(g)
(%)
(g)
(%)
(%)
50
0
0
0
0
100
40
0
0
0
0
100
25
0
0
0
0
100
20
223
5.5932
223
5.5932
94.4068
15
1681
42.162
1904
47.7552
52.2448
10
1133
28.4174
3037
76.1726
23.8274
5
902
22.6235
3939
98.7961
1.2039
2.5
22
0.5518
3961
99.3479
0.6521
팬(접시)
26
0.6521
3987
100
0
계
3987
100
최대치수(㎜)
20
조 립 율
(각체의 누계량)/100=7.250566
체가름곡석
고 찰
굵은 골재 체가름 실험에서는 많은 문제 점이 나타났다. 2.5mm체와 pan에서 48g의 잔골재가 나타났으며, 또한 나뭇잎과 같은 이물질이 포함되에서 부정확한 실험이 나타났다. 또한 ks에서 규정하는 통과율의 값에 대체로 들어갔으나 mix에 가까운 값이 나타났으므로 배합설계과정에서 각 굵은 골재의 양을 조정하여 사용해야 할것이다.이번 실험에서 좋지 않은 데이터값이 나왔으나 이번실험을 통하여 각 크기의 골재를 알게 되었어 좋은 경험이 되었으며 다음 실험에서는 이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좋은 값을 나올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