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은 미친짓이다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결혼은 미친짓이다 분석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시간 : 103분
1. 영화소개
1) 감독: 유하
-1963년 전북 고창 출생.
-세종대 영문과, 동국대 대학원 영화과 졸업.
-1988년 <문예중앙> 신인상 당선으로 등단.
-시집 <무림 일기>(89),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91),
<세상의 모든 저녁>(93), <세운상가 키드의 사랑>(95),
<나의 사랑은 나비처럼 가벼웠다>(99) 등.
-산문 <이소룡에 세대를 바친다>
-영화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 한다>(1993) 감독
<결혼은, 미친 짓이다>(2002) 감독
<말죽거리 잔혹사>(2003) 감독
◎ 연출 및 각색의 동기:
제 24회 ‘오늘의 작가상\' 수상작으로 화제가 됐던 이만교의 소설 <결혼은, 미친짓이다>를 스크린에서 볼 수 있게 된 건 전적으로 유하 감독의 노력이다. 당시 오늘의 작가상 시부문 심사위원이었던 유하 감독은 소설 부문 후보작으로 올라와 있던 이만교의 <결혼은, 미친짓이다>를 우연히 보게 되었다. 도발적으로 화두를 던지고 있는 이 독특한 제목이 마음에 들어 바로 읽었다고 한다. 특히 결혼이란 아이템은 그동안 유하 감독이 관심을 갖고 있던 소재이고, 트리트먼트 구상을 해 온 상태였다. 원고를 읽어보니, 여성 캐릭터가 두 집 살림을 하는 등 불온한 점이 마음에 들었고 매력을 느꼈다고 한다. 그 동안은 결혼에 대해 성스러운 면으로만 포장되어 있었는데, 지금은 결혼제도의 문제점을 공론화 시키고 담론을 끌어 낼 수 있는 사회문화적 성숙이 도래했다고 판단, 영화화를 결심했다. 유하 감독은 싸이더스의 차승재 대표에게 소설을 읽어보길 권유했고 그 후 싸이더스에서 판권을 구입, 2001년 7월부터 유하 감독이 직접 각색 작업에 들어갔다.
2)배우:
준영/감우성
그, 연애는 좋지만
결혼은 NO! 그러나 사랑은 어쩔 수 없으니...
He said… 평생 한 사람만 사랑하며 사는게 가능할까?
이름 : 김준영 l 나이 : 32세 l 직업 : 대학 영문과 강사
Profile
-1970년생. 서울대 미대 졸업
-1991년 MBC탤런트 공채20기
-영화 <결혼은, 미친짓이다> (2002) 데뷔작
-드라마 MBC <우리들의 천국> <폭풍의 언덕> <산> <예감> <수줍은 연인> <미찌꼬> <사랑해 당신을> <눈으로 말해요>,SBS <메디컬 센터> 등
연희/엄정화
그녀, 결혼도 사랑도 포기하지 않는다!
무슨 일에든 자신 만만한 연희.
She said… 난 절대로 들키지 않을 자신이 있어!
이름 : 강연희 l 나이 : 30세 l 직업 : 조명디자이너
Profile
- 1971년생
- 1989년 MBC합창단 출신
- 영화 <바람부는 날이면 압구정동에 가야한다> (1993)로 데뷔
- 1993년 1집 \'눈동자\'로 가수 데뷔 및 굿모닝영동(KBS)으로 탤런트 데뷔
- <결혼은, 미친짓이다> (2002)
<싱글즈> (2003)
3) 줄거리
대학강사인 준영과 연희는 맞선을 본다. 준영의 표현대로 할리우드영화처럼 찻집, 극장, 레스토랑 등을 거치며 공식화된 맞선을 진행한다. 그들은 왔다갔다 택시 비용보다 여관비가 더 쌀 것 같다는 대화를 나누다 어느새 여관으로 직행하고, 대화만큼 솔직한 섹스가 이어진다. 그리고 데이트, 잠시 동안의 헤어짐. 다시 만난 두 사람은 가상의 신혼여행을 떠나지만 연희의 결혼으로 인해 또 한번 헤어진다. 연희가 웨딩마치를 올린 두 달 뒤, 준영과 연희는 주말부부 행세를 하며 옥탑방에서 또 하나의 살림을 차린다. 거짓말 할 자신이 없어 결혼하지 않는다는 준영과 들키지 않을 자신이 있다는 연희의 만남은 얼마나 지속될 수 있을까?
2. 영화 분석
1) 상징
◎ 청거북: 준영과 연희 관계의 지속성 암시
* 단서
거북이 한 마리가 없어졌다는 준영의 말에 연희가,
“다섯 마리 다 없어지면 연락하세요.”
말다툼 후 학교로 찾아온 연희의 잘 있었냐는 물음에 준영이가,
“아니. 거북이 언제 죽나 그것만 기다리고 있었지.”
연희와 헤어지기로 한 후 조카집에서 거북이가 두 마리밖에 남지 않은 것을 보고,
“그러니까 잘 돌봐줘야지.”
⇒ 둘 사이의 감정과 관계가 오랫동안 지속될 것임을 암시
◎ 사진: 서로에게 마음을 열게 하는 매개체
* 단서
여동생의 결혼식 날 가족사진 찍을 때 사라진 준영에 대해서 그의 남동생이,
“갔을거야. 형은 내 결혼식 때도 안 찍었잖아.”
→ 남에게, 심지어 가족에게조차 자신의 진실된 모습 드러내기 싫어하는 준영
연희가 차 안에서 준영에게 자신의 어릴적 사진들을 보여줌
→ 준영에게 자신의 진실된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함
연희가 준영과 계속 사진을 찍음
→ 서로에게 자신을 열고 그 진실된 모습을 받아들이길 원함
준영이 연희와 헤어지기로 한 후 그녀가 만든 앨범을 처음으로 보며
“사진 속에서는 모두가 행복해 모였다. 그리고 그녀가 마지막까지 하지 못한 말이 무엇 인지 알 것 같다.”
→ 그 말은 “결혼하자” 였을 것이다. 그것을 뒤늦게 깨달은 준영.
⇒ 사진 찍는 것을 싫어하는 준영이 영희와 많은 사진을 찍었다는 점은 준영이 자신도 모르 는 사이에 자신을 연희에게 조금씩 열어주고 그녀를 받아들이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 콩나물 비빔밥: 연희의 소박한 면과 그들의 일상성 상징
* 단서
첫 만남 때 잘하는 음식이 ‘콩나물 비빔밥’이라는 연희의 말에,
“보기보다 소박하시네요.”
→ 준영은 그녀의 소박함을 받아들이지 못함
“넌 경제적 조건 포기 못해.”
“나를 포함해 가난한 녀석들은 빼.”
“지금이라도 호텔로 가는게 좋지 않겠어?”
끝내 콩나물 비빔밥을 먹지 않음
준영이 연희가 만든 콩나물 비비밥을 먹지 않은 것이 헤어지는 결정적인 계기가 됨
→ 옥탑방에서 주말부부 행세를 하며 연극처럼 지내던 그들. 하지만 아주 사소하고 일상적 인 콩나물 비빔밥의 먹고 안 먹는 문제가 이별로까지 이어지게 되었다. 결국 콩나물 비 빔밥은 가상의 공간(옥탑방)에서 살고있는 연극처럼 지내던 그들을 일상적인 현실의 세 계로 나올 수 있도록 깨우치게 하는 역할을 했다.
◎ 그 외의 상징들
* 슬리퍼: 연희와 헤어진 후 현관 앞에 있는 연희의 슬리퍼를 클로즈업
→연희의 부재를 뜻한다.
* 케익: 생일 케
  • 가격1,4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3.07.10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857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