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석빙고의 원리
Ⅲ. 석빙고의 내부
Ⅳ. 석빙고의 우수성
Ⅴ. 석빙고의 환기구
Ⅵ. 석빙고와 경주석빙고
참고문헌
Ⅱ. 석빙고의 원리
Ⅲ. 석빙고의 내부
Ⅳ. 석빙고의 우수성
Ⅴ. 석빙고의 환기구
Ⅵ. 석빙고와 경주석빙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던 사한단에서 얼음의 신에게 제사 지내는 기한제를 지냈다.
Ⅵ. 석빙고와 경주석빙고
이 石造物은 慶州市 仁王洞 月城 안의 北쪽에 築造한 花崗 石材 얼음倉庫이다. 길이 18.8m, 홍예 높이 4.97m, 너비 5.94m이다. 南北으로 길게 造營하고, 出入口는 南쪽에 있다.
氷室의 밑면은 外部 全體의 形態와 같은 直四角形으로 入口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傾瀉졌으며, 바닥 中央에 排水口가 있어 內部의 排水는 이 傾瀉를 따라 外部로 排出되게 만들었다.
內部는 緣石으로 다섯 개의 홍예를 틀어 올리고 홍예와 홍예 사이에 긴 네모돌을 얹어 천장을 삼았다. 벽은 直四角形의 작은 石材로 쌓아 올렸고, 밑부분은 長臺石을 連結하여 地臺石을 삼아 堅實하게 築造하였다. 천장에는 세 곳에 換氣 구멍을 마련하여 外氣와 通하게 하였는데, 구멍을 덮는 돌에 彫刻까지 하여 덮어서 비와 이슬을 막고 있다.
또한, 換氣 구멍은 中心部에서 北쪽으로 치우쳐 施設하였는데, 이것은 入口가 南쪽에 있으므로 안으로 내려가는 層階가 몇 段 있어서 그만큼 자리를 借地하고 얼음 倉庫의 主室은 좀 더 깊이 들어간 內部의 北쪽에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지영 외 2명, 경주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와 미기후환경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김유곤, 석빙고와 빙축열, ㈜정성D&M, 1994
김지영, 한국 석빙고의 손상메커니즘 해석과 보존환경 평가, 공주대학교, 2009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석빙고, 화재관리국, 1994
손영식, 석빙고고, 한국건축역사학회, 1993
이우상 외 1명, 전통과 과학이 빚은 묵직한 유물, 석빙고, 코오롱건설㈜, 2004
Ⅵ. 석빙고와 경주석빙고
이 石造物은 慶州市 仁王洞 月城 안의 北쪽에 築造한 花崗 石材 얼음倉庫이다. 길이 18.8m, 홍예 높이 4.97m, 너비 5.94m이다. 南北으로 길게 造營하고, 出入口는 南쪽에 있다.
氷室의 밑면은 外部 全體의 形態와 같은 直四角形으로 入口에서 안으로 들어갈수록 傾瀉졌으며, 바닥 中央에 排水口가 있어 內部의 排水는 이 傾瀉를 따라 外部로 排出되게 만들었다.
內部는 緣石으로 다섯 개의 홍예를 틀어 올리고 홍예와 홍예 사이에 긴 네모돌을 얹어 천장을 삼았다. 벽은 直四角形의 작은 石材로 쌓아 올렸고, 밑부분은 長臺石을 連結하여 地臺石을 삼아 堅實하게 築造하였다. 천장에는 세 곳에 換氣 구멍을 마련하여 外氣와 通하게 하였는데, 구멍을 덮는 돌에 彫刻까지 하여 덮어서 비와 이슬을 막고 있다.
또한, 換氣 구멍은 中心部에서 北쪽으로 치우쳐 施設하였는데, 이것은 入口가 南쪽에 있으므로 안으로 내려가는 層階가 몇 段 있어서 그만큼 자리를 借地하고 얼음 倉庫의 主室은 좀 더 깊이 들어간 內部의 北쪽에 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지영 외 2명, 경주석빙고의 정량적 훼손도 평가와 미기후환경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9
김유곤, 석빙고와 빙축열, ㈜정성D&M, 1994
김지영, 한국 석빙고의 손상메커니즘 해석과 보존환경 평가, 공주대학교, 2009
문화재관리국, 한국의 석빙고, 화재관리국, 1994
손영식, 석빙고고, 한국건축역사학회, 1993
이우상 외 1명, 전통과 과학이 빚은 묵직한 유물, 석빙고, 코오롱건설㈜, 2004
소개글